•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New Business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KOGAS Research Institute, Korea Gas Corporation, Republic of Korea.)



Natural Gas, Hydrogen, Hydrogen mixing, Hydrogen blending, Hydrogen injection, Governor station

1. 서 론

21세기 들어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강조되면서, 에너지 전환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거나, 보다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대체하는 방안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수소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천연가스는 현재 전 세계 에너지 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효율성과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배출량으로 인해 계속해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CH4)이 연소될 때도 여전히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탄소중립적인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천연가스에 수소를 혼입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수소는 연소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많은 국가들은 천연가스 기반의 수소 혼입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유럽 그린 딜”의 일환으로 수소 경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수소와 천연가스를 혼합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독일과 네덜란드는 천연가스 인프라를 활용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천연가스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일본과 한국 역시 수소 혼입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연구 및 개발(R&D) 지원을 통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1,2]. 이렇듯, 천연가스와 수소의 혼입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가스공사는 해외 원산지로 부터 LNG 수송선으로 천연가스를 도입하여 전국 5개의 생산기지에 보관하였다가 전국 배관망을 통해 전국 각 지점의 공급관리소로 천연가스를 송출한다. 그림 1과 같이 생산기지에서는 장거리 수송이 가능하도록 기화된 고압의 천연가스를 송출하고 각 지역의 공급관리소에서는 수요처(도시가스사, 발전소 등)의 요구에 맞춰 중·저압의 천연가스를 공급한다.

정부에서는 2022년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발족해 도시가스사업법을 개정하여 수소혼입을 제도화하려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본 추진단에서 한국가스공사는 천연가스 인프라 고압시설분야에 대한 실증 주관기관으로 지정되어 천연가스 공급관리소에 수소를 혼입하고 이를 복합발전 시설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천연가스 공급관리소에 수소를 혼입하기 위해서는 배관, 밸브, 히터, 정압기 등 기존 가스설비에 대한 수소호환성에 대한 분석, 유체 변경에 따른 물질수지 분석과 가스품질 확보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혼합가스의 조성은 복합발전소, 도시가스, 일반 산업용 등 수요처의 설비 운영 안정성, 효율성 등에 영향을 끼치므로 품질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급되는 혼합가스 중 수소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천연가스 공급관리소 기반의 수소혼입공정에 대한 개념과 혼합가스의 수소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인 정적믹서를 소개하고 정적믹서를 적용한 가스배관망 내부의 유동특성을 전산유체역학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❶ 해외 원산지 공정 : 해외에서 액화상태의 천연가스(LNG)로 도입

❷ 도매공정 : LNG를 기화하여 발전소나 도시가스사에 공급

❸ 소매공정 : 복합화력발전소, 가정 및 일반 산업용으로 활용

그림 1. 천연가스 도입 및 공급과정

Fig. 1. Process of Procurement and Supply for Natural Gas

../../Resources/kiee/KIEE.2025.74.6.1148/fig1.png

2. 본 론

2.1 천연가스 공급관리소 기반의 수소혼입 및 혼소발전

정부는 수소 경제 진입의 교두보 역할을 위해 기존 천연가스 배관망에 일정 비율로 수소를 혼입해 천연가스 배관을 수소 이송‧공급으로 활용하는 정책을 발표하였고, ‘22년 2월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발족해 도시가스사업법을 개선하여 수소혼입을 제도화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천연가스 인프라 고압시설분야에 대한 실증 주관기관으로 지정되었고 정부 시책에 맞춰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천연가스 공급 인프라를 활용하여 천연가스에 수소를 혼입하고 이를 복합발전 시설에 활용함으로써 수소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림 2는 실증 대상지로 한국가스공사의 한림 천연가스 공급관리소와 남부발전의 한림복합발전소 간의 수소 혼입 및 혼소 발전에 대한 개념도 이다.

한국가스공사의 한림 정압기지와 한국남부발전의 복합발전소는 제주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존 공급관리소에서 발전소로 공급되는 천연가스 공급배관 거리는 직선거리로 약 7 km 이다. 한국가스공사는 2019년부터 일평균 약 100~200 톤의 천연가스를 한림복합발전소로 공급하고 있으며 한국남부발전은 복합발전으로 약 35 MW~100 M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실증 대상지의 수소혼입, 혼소 형태는 분산형 수소혼입 방식으로 수소생산단지에서 생산된 수소를 천연가스 공급관리소로 이송(튜브트레일러) 기존 운영 중인 복합발전소 공급배관에 저농도 수소(최대 10%)를 혼입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림 2. 수소혼입 혼소발전 실증 대상지

Fig. 2. Empirical Work Place for Hydrogen Mixing to Pipeline and Mixed Power 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25.74.6.1148/fig2.png

2.2 수소혼입 공정설계

천연가스 공급관리소는 수요처의 요구에 맞춰 천연가스의 유량과 압력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는 시설로 공급 과정은 그림 3과 같이 본관으로부터 공급 된 고압의 천연가스가 정압기지 내 정압시설(필터-히터-감압-계량 등)을 통해 수요처의 요구에 맞춰 중·저압으로 공급되는 공정이다. 이 논문에 제시된 수소혼입 공정은 기존 천연가스 정압기지 내 공급배관에 일정 비율의 수소를 혼입하여 혼입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으로 안정적인 수소 혼입을 위해서는 수소 주입방식, 공급유량, 압력, 온도 등 다양한 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2.2.1 수소 및 천연가스 공급

튜브트레일러로 수소 생산단지에서 수소를 이송하며, 동시에 천연가스는 생산기지로부터 고압 본관으로 이송된다.

그림 3. 수소혼입 공정

Fig. 3. Process for Hydrogen Mixing

../../Resources/kiee/KIEE.2025.74.6.1148/fig3.png

2.2.2 수소 혼입설비

튜브트레일러로 이송된 수소는 수소혼입설비에 의해 천연가스 배관에 공급되며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 필터 : 불순물 제거

․ 긴급차단밸브 : 긴급상황에 대비해 수소 공급을 차단하여 시스템을 보호

․ 감압밸브 : 약 200 MPa로 이송된 수소를 천연가스 배관 압력과 동일한 압력(약 4.5 MPa)으로 감압

․ 가스분석기 : 혼입된 가스를 분석해 배관 내 천연가스와 수소의 농도(부피)비율 확인

․ 유량제어기, 유량계, 유량조절기 : 가스분석 결과를 받아 천연가스 배관에 공급하는 수소 유량을 조절

2.3 천연가스/수소 혼합효율 향상을 위한 정적믹서 종류

낮은 분자량을 가진 수소를 천연가스를 배관에 주입 시 부력에 의해 계층을 분리하는 경향이 있어 배관의 상부 부분에서는 배관 평균 농도보다 수소 농도가 비교적 높으며 배관에서의 수소 농도 불균형은 수요처에서의 가스 품질의 불안정을 가져오게 된다3.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천연가스와 수소와 같은 두 이종가스의 혼합을 도와 줄 수 있는 정적믹서가 중요하다. 정적믹서는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관로 내의 속도에 의해 형성되는 난류를 이용해 유체를 혼합시킨다4. 부적절한 믹서의 선택은 낮은 가스품질과 압력강하를 야기하므로5 시뮬레이션을 통한 효과적인 믹서의 선택은 필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In-line, unflow, X-grid 3종류의 믹서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림 4와 같이 정적믹서는 분할, 전환, 반전 3가지의 원리로 유체의 혼합을 돕는다. 관 내부의 유체 흐름을 나누고(분할), 믹서 형상에 따라 흐름을 움직임을 바꾸고(전환) 유체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난류의 흐름을 유도(반전) 한다.

그림 4. 정적믹서 종류

Fig. 4. A Type of Static Mixer

../../Resources/kiee/KIEE.2025.74.6.1148/fig4.png

믹서의 길이는 각 element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element의 개수는 유체에 의해 정해진다. 보통 가스의 경우 4~6, 저점도 섬유체는 6~12, 중점도는 12~18, 고점도는 18~24 element를 필요로 한다. 각 엘리멘트는 배관 직경 대비 1~1.5배의 길이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2.4 정적믹서 적용 배관망 유동해석

세 타입의 믹서형상에 따라 유동해석을 진행하였으며, 해석시 경계조건으로 Inlet은 질량유량을 기준으로 Outlet은 압력으로 설정하였다. 이 때 질량유량은 수소혼입비율 10 vol.% H2를기준으로 질량유량으로 환산하였으며 이 때 천연가스는 9 ton/hr, 수소는 115 kg/hr이다. 압력은 복합화력발전소 공급압력 기준이며, 난류모델은 κ-ω 기반 SST model을 사용하였다.

그림 5. 배관망 내 정적믹서 유동해석 경계조건

Fig. 5. Boundary Condition f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of Static Mixer in Pipe line

../../Resources/kiee/KIEE.2025.74.6.1148/fig5.png

2.5 유동해석 결과분석

그림 6은 정적믹서 별 유동해석 결과이다. 수소의 질량분율이 높을수록 혼합율이 낮다.

Unflow type은 5개의 element를 거치고도 다른 믹서에 비해 혼합율이 비교적 낮은 구간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In-line type과 X-grid type 비교 시 X-grid type이 비교적 혼합이 잘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믹서의 형상이 비교적 복잡할수록 유체 흐름의 분활, 전환 및 반전이 많아지고 체류시간이 길어 믹서의 길이가 짧아도 혼합이 잘 되는 것을 보여준다.

2.6 수소혼입 시스템의 향후 연구 방안

천연가스 공급관리소 수소혼입을 위해서는 향후 연구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 시스템의 안전성

수소의 인화성 : 수소는 천연가스에 비해 폭발 한계 범위가 넓어, 혼합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천연가스에 비해 작은 분자 크기로 인해 누출 가능성이 더 크고, 누출 시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수소 혼입 시스템은 누출 감지, 방지 및 차단 장치, 긴급 차단 밸브 등의 안전장치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압력 및 온도 제어 : 혼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및 온도의 변동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소 혼입으로 인해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적절하게 제어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불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압기는 혼합 가스의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필요 시 히터를 통해 온도 변화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2) 모니터링

가스 품질 모니터링 : 천연가스와 수소의 혼합 가스가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공급 후에도 지속적인 품질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수요처로 가는 가스의 품질이 불안정하면 연소 효율이 떨어지거나 가동 중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혼합 시스템에는 가스 품질을 모니터링 하는 다양한 센서와 분석 장치가 포함되어야 하며, 필요 시 자동 조정 기능을 통해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 6. 정적믹서 종류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

Fig. 6. Result of Flow Analysis for A Type of Static Mixer

../../Resources/kiee/KIEE.2025.74.6.1148/fig6.png

3. 결 론

이 논문에서 한국가스공사의 공급관리소를 기반으로 천연가스 공급 배관에 일정 비율의 수소를 혼입하여 수요처인 복합발전소로 공급하기 위한 설계 방안 및 안정성 확보 방안을 소개하였다.

(1) 수소 경제 진입의 교두보 역할을 위한 천연가스 배관을 수소 이송・공급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정부 시책에 맞추어 한국가스공사의 한림 천연가스 공급관리소와 남부발전의 한림 복합발전소를 실증 대상지로 활용 할 예정이다.

(2) 실증 연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시스템 설계와 관계 법령 검토 내용은 규제 특례(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 할 예정이다.

(3) 배관 내 이종가스의 혼합 효율을 높이기 위해 3가지 타입의 static 믹서에 대해 유동해석을 진행하였으며, X-grid type의 믹서가 혼합성능이 높은 것을 확인 하였다.

(4) 향후 최종 목표인 천연가스 정압기지 기반 수소 혼입 및 혼소발전에 관한 실증연구가 완료된다면 국가 에너지 측면에서 수소 경제 실현이 가능하고, 전 세계적으로 기술을 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has been supported by the “Study to ensure the safety of hydrogen mixing in the natural gas ditribute station (RS-2023-00305219)” research project from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and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ng and Planning(KETEP)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lanning report for 2023 energy research program for new R&D project, 2023.URL
2 
H2News, Ketep take the head in promoting for hydrogen industry, 2023. https://www.h2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1556URL
3 
I. Earnes et al., “Injectionf of gaseous hydroen into a natural gas pipe 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7, pp. 25745-25754, 2002.URL
4 
Dae-Gyeom yu et al., “Effect of Mixing Elements in Line mixer on Mixing and Flow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pp. 437-443, 2018.DOI
5 
Yongzhen Liu et al., “Investigation of mixing characterisitcs of hydrogen and natural gas fuel based on SMX static mixer,”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vol. 197, 738-749, 2003.DOI

저자소개

박소진(So-Jin Park)
../../Resources/kiee/KIEE.2025.74.6.1148/au1.png

Sojin Park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Chem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2012 and 2014 respectively. 2016~ Present Senior Researcher, Korea Gas Research Institute, Korea Gas Corporation. Her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rocess analysis, planning, calculation of conversion of energy

조영아(Youngah Cho)
../../Resources/kiee/KIEE.2025.74.6.1148/au2.png

Youngah Cho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Materi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Her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OGAS Research institute, Ansan, Korea. Her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urbo expander generator, H2 mixing system.

최경식(Kyoungshik Choi)
../../Resources/kiee/KIEE.2025.74.6.1148/au3.png

Kyoungshik Choi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OGAS Research institute, Ansa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urbo expander generator, H2 mixing system.

김형태(Hyoungtae Kim)
../../Resources/kiee/KIEE.2025.74.6.1148/au4.png

Hyoungtae Kim received Ph.D. degrees in Industrial engineering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OGAS Research institute, Ansa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urbo expander generator, H2 mix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