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l University)



Electric vehicle(EV), Urban dynamometer driving schedule(UDDS), State-of-health(SOH), Machine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Long short term memory(LSTM)

1. 서 론

화석연료 가격의 인상과 환경문제 인식의 변화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시장규모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세계적인 전기자동차 확산정책으로 시장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1). 이에, 전기자동차의 주요 부품들의 연구 및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 중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에너지/고전력밀도 및 장수명의 장점이 있어 전기자동차의 주동력원으로써 사용되고 있다(2). 그렇지만, 급속충전 및 다양한 전류크기(C-rate)로 충전과 방전이 빈번하게 반복되는 전류프로파일의 특성상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화는 불가피하며(3), 이로 인한 배터리의 전기화학적 특성의 변화, 즉 방전용량의 감소 및 내부저항의 증가가 야기된다(4). 열화로 인한 전기화학적 특성변화는 전반적인 전기자동차의 성능을 저하(출력저하 및 열폭주로 인한 안전성의 문제 등)시키는 만큼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화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필요하며, 특히 열화상태의 지표로 사용되는 수명상태(state-of-health; SOH)의 정확한 추정 및 예측이 요구된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화는 외부환경 및 사용조건 등과 같은 다양한 영향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열화에 따른 리튬이온 배터리의 내부 전기화학적 변화의 직접 측정의 어려움과 비선형성으로 예측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내부의 복잡한 변화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비선형 모델 추정에 강점을 갖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nal network; ANN) 기법을 접목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의 여러 방법 중에 음성인식 및 시계열 분석에 강점을 가지는 long short term memory(LSTM) 모델을 이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의 SOH 예측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화 실험 및 전기적 특성분석을 직접 실시하여 내부 열화파라미터를 추출하였고 방전용량과 내부저항의 변화 기반 오프라인 상관분석(상관계수 산출)을 통해 LSTM 모델 구성을 위한 데이터셋을 확립하였다. LSTM 모델 구현을 위해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인 텐서플로우(Tensorflow) 및 케라스(Keras) 패키지를 사용하였고, 이의 검증을 위해 recurrent neurnal network(RNN)기반 SOH 예측알고리즘 결과와 비교하였다.

2. 리튬이온 배터리 열화 실험 및 분석

(자동차 주행 사이클 이용)

2.1 SOH(State-of-health)

SOH는 리튬이온 배터리 열화로 인한 성능 감소의 지표로써 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수명을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SOH는 식(1)과 같은 초기 대비 열화에 의해 감소된 방전용량 및 식(2)와 같은 초기 대비 열화에 의해 감소된 출력, 즉 내부저항 증가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것은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의 감소와 출력 감소로 인한 배터리의 성능 감소를 의미한다.

(1)
$SOH_{capacity}=\dfrac{Cn_{act}- Cn_{EOL}}{Cn_{fresh}- Cn_{EOL}}$

(2)
$SOH_{pulse power}=\dfrac{P_{act}- P_{EOL}}{P_{fresh}- P_{EOL}}$

이 때, $Cn_{act}$와 $P_{act}$는 현재 사용가능 방전용량 및 출력, $Cn_{fresh}$와 $P_{fresh}$는 정격 용량 및 초기 출력, $Cn_{EOL}$와 $P_{EOL}$은 수명 임계점(end of life: EOL)에서의 방전용량 및 출력을 의미한다. 수명 임계점(EOL)은 SOH가 0인 상태를 나타내며, 방전용량의 경우에는 초기 용량 대비 80%의 잔존용량이라는 기준을 사용하지만 저항의 경우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방전용량으로 SOH를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7). 하지만 방전용량 측정은 완전 충전 이후 완전 방전 동안 전류적산법(ah-counting)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센서의 정확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8) 따라서 직접적인 방전용량 측정을 대신하여 특정 파라미터를 통한 간접적인 측정 또는 방전용량을 추정하는 알고리즘 연구가 필요하다.

2.2 자동차 주행 사이클 열화 실험

본 실험은 전기자동차(EV)와 같은 고출력 어플리케이션의 열화 분석을 위한 실험으로 표 1에서 나타난 NCA계열의 고출력 18650 원통형 셀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제 도심에서 주행되는 전기자동차의 다양한 출력이 반복되는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UDDS(urban dynamometer driving schedule)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UDDS 프로파일 기반 실험은 자동차 주행 사이클에 따른 배터리 열화 분석 및 배터리 내부 파라미터 데이터를 확보하여 SOH 추정 모델 개발에 편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의 진동, 충격 등의 물리적 측정 및 사후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성이 존재한다(9).

표 1. 18650 원통형 25R 배터리 사양

Table 1. 18650 cylindrical 25R battery specification

Characteristic

Specification

Nominal discharge capacity

2500mAh

Nominal voltage

3.6V

Standard charge

CCCV, 1.25A, 4.2±0.05V,

125mA cut-off

Discharge cut-off voltage

2.5V

그림. 1. UDDS 프로파일 (a) 단자 전압 (b) 전류

Fig. 1. UDDS profile (a) terminal voltage (b) input current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1.png

그림. 2. 자동차 주행 사이클 열화 실험 프로파일

Fig. 2. Aging experiment profile with UDDS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2.png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항온 항습 챔버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챔버 내부 온도를 상온(25℃)으로 설정한 이후 실제 배터리의 온도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챔버 안에 1시간동안 유지시켰다. 열화 실험은 그림 1에서의 UDDS 프로파일을 1사이클 정의하고 그림 2와 같이 사이클을 반복하며 진행하였다. CC-CV(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를 통한 만충(fully charge) 이후에 SOC(state of charge) 80%까지 방전 이후 10 사이클을 반복하였으며, 각 사이클 사이에 배터리 안정화를 위해 1시간의 휴지간격(Rest)을 부여하였다. 열화 실험은 10사이클 주기로 총 400사이클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3. 열화에 따른 용량 프로파일 전압 곡선의 변화

Fig. 3. Variation of capacity profile voltage curve with aging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3.png

2.3 전기적 특성 기반 열화 판단 특성 파라미터 분석

2.3.1 열화에 따른 용량 실험 및 방전용량 측정

자동차 주행 사이클에 따른 배터리 열화로 변화하는 방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그림 3과 같은 만충 이후 만방으로 진행되는 용량 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용량 프로파일은 1C-rate 충전전류로 SOC 80%에서부터 CC-CV로 만충 이후에 1시간의 휴지시간을 적용하고 1C-rate의 방전전류로 하한 전압까지 만방의 순서로 진행하며 완전 충전 이후 완전 방전을 통해 만방까지 전류를 적산하여 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조건은 상온(25℃)조건의 챔버 내부에서 배터리 스펙에 따라 충전 상한 전압(4.2V)과 방전 하한 전압(2.5V)을 적용하여 UDDS 프로파일 10사이클 이후마다 진행하였다.

2.3.2 열화 판단 특성 파라미터 추출 및 상관분석

SOH 예측을 위한 방전용량 측정은 만충과 만방으로 진행되는 프로파일 특징상 시간 소비가 크며, 배터리 부담이 크기 때문에 실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배터리 열화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 파라미터를 통한 추정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실시간 SOH 예측을 위한 특성 파라미터는 적은 계산량과 SOH 및 방전용량과의 높은 상관관계가 요구된다.

그림 4는 용량 실험에서 열화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사이클의 증가에 따라 전압 변화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의 증가를 보여준다. 내부저항의 증가는 배터리 출력 감소를 의미하며, 즉 열화로 인한 배터리 성능 감소를 나타내는 특성 파라미터이다. 또한 전압의 변화율을 전류로 나누어 계산 가능한 적은 계산량이 특징이며 이러한 특징으로 실시간 열화 판단 특성 파라미터로 사용 가능하다.

그림. 4. 열화에 따른 방전 전압 곡선의 변화 및 저항추출

Fig. 4. Variation of discharge voltage curve with aging and resistance extrac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4.png

내부저항은 특징에 따라 전류에 의한 순간적인 전압강하로 나타나는 직렬저항(series resistance)과 분극효과로 인해 비선형적인 전압강하로 이어지는 분극저항(polarization resistance)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식(3)에서 나타났듯이 직렬저항과 분극저항으로 구분하였다. 직렬저항은 방전 전압곡선에서 100ms의 샘플링시간동안 순간적인 전압변화량을 방전전류로 나누어 계산했으며, 분극저항은 순간적인 전압 변화 이후 짧은 방전 구간동안 1s와 60s의 두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전압변화량을 방전전류를 나누어 계산하였다(10).

(3)
$$R_{(series)}=\dfrac{\triangle V_{100ms}}{I}$$ $$R_{(p_{1s)}}=\dfrac{\triangle V_{1s}-\triangle V_{100ms}}{I}$$ $$R_{(p_{60s)}}=\dfrac{\triangle V_{60s}-\triangle V_{1s}}{I}$$

리튬이온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CC를 통한 충전은 SOC 100[%]까지 만충이 불가능하며, 만충에 가까운 SOC일수록 저항이 올라가는 특징으로 인해 높은 전류는 높은 저항성 발열을 야기시켜 내부에 손상을 일으킨다(11). 따라서 CC충전으로 배터리 상한전압에 도달한 경우 일정한 전압으로 전류를 최소까지 떨어뜨리며 충전하는 CC-CV 충전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그림 5는 용량 실험에서 열화에 따라 변화하는 CC-CV 충전 전압곡선이며, 사이클 증가에 따라 배터리가 열화 될수록 CC충전은 짧아지고 CV충전은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열화에 따라 방전용량은 감소되는 것에 대비되어 충전용량의 경우에는 열화에 의해 CC충전용량은 증가하고 CV충전용량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CV충전용량의 증가는 잔존용량 및 배터리 출력의 손실과 대응되며, 내부 불균형으로 인한 높은 분극현상을 야기하여 용량 감소를 가속시키는 특성 파라미터이다. 또한 CV충전용량의 증가는 CV 충전시간으로 대변하여 계산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열화 판단 파라미터로 사용 가능하다(12).

그림. 5. 열화에 따른 CC-CV 충전시간의 변화

Fig. 5. Variation of CC-CV charging time with aging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5.png

이와 같은 열화 판단 특성 파라미터 및 잔존 방전용량을 총 200사이클의 자동차 주행 열화 실험동안 10사이클마다 용량실험을 통해 계산하여 그림 6에 나타내었다. (a)-(d)는 열화 판단 특성 파라미터(직렬저항, 분극저항, CV 충전시간), (e)는 잔존 방전용량을 그래프로 도시한 결과 근사한 경향성을 갖는다.

(4)
$$ \Upsilon=\frac{S_{X Y}}{S_{X} S_{Y}}=\frac{\sum_{i=1}^{n}\left(X_{i}-\bar{X}\right)\left(Y_{i}-\bar{Y}\right)}{\sqrt{\sum_{i=1}^{n}\left(X_{i}-\bar{X}\right)^{2}\left(Y_{i}-\bar{Y}\right)^{2}}} $$

열화 판단 파라미터와 SOH의 높은 상관관계는 SOH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나타내며, 인공지능 기반 모델에 양질의 학습데이터로써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관분석은 통계적으로 변수들 사이의 선형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변수들은 독립적인 관계로 서로 관련 있을 수 있으며,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의 크기를 상관계수라고 부른다. 식(4)는 피어슨 상관계수에 따라 계산하면 계수의 크기는 -1부터 1까지 데이터 증가, 감소관계에 따라 양수와 음수로 나타나며,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클수록 두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13). 표 2는 SOH 예측을 위한 잔존용량과 열화 파라미터 4개 사이의 상관계수이다, 전체적으로 0.9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갖으며, CV 충전시간이 가장 높은 상관 계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6. 열화 파라미터 (a) 직렬저항 (b) 1s 분극저항 (c) 60s 분극저항 (d) CV 충전시간 (e) 방전용량

Fig. 6. Aging parameter (a) Series resistance (b) 1s polarization resistance (c) 60s polarization resistance (d) CV charging time (e) discharge capacity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6a.png../../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6b.png

표 2. 잔존용량과 열화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계수

Table 2.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esidual capacity and aging parameter

Series resistance

1s polarization resistance

60s polarization resistance

CV charging time

Disgharge Capacity

-0.917

-0.944

-0.994

-0.996

3. 인공신경망 모델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적인 SOH 예측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인공신경망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시계열 데이터 추정 및 예측에 가장 최적화되어 주로 자연어 처리에 사용되는 RNN 모델을 접목하여 SOH를 예측하였다. RNN은 기본적인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은 모든 셀 간의 입출력이 독립적인 반면 그림 7에서와 같이 이전 출력 결과에 영향을 받음으로써

그림. 7. RNN 구조

Fig. 7. Architecture of the RNN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7.png

그림. 8. LSTM 구조

Fig. 8. Architecture of the LSTM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8.png

과거의 데이터가 미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연속해서 이어지는 체인형식 모델 특징상 데이터가 길어질수록 과거의 학습결과가 사라지는 vanishing gradient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anishing gradient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된 LSTM(long short term memory)모델을 통해 예측 성능을 상승시켰으며. RNN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림 8의 LSTM 구조는 기존 RNN보다 복잡한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총 4개의 레이어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 forget gate layer는 이전 출력과 현재의 입력을 sigmoid 함수를 통해 삭제하거나 보관할 정보를 결정한다. 두 번째로 input gate layer는 이전 출력과 현재의 입력을 sigmoid 함수와 tanh 함수를 통한 결과 값의 곱으로 셀 스테이트에 저장될 데이터를 결정한다. 세 번째로 forget gate layer와 input gate layer에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셀 스테이트를 업데이트한다. 네 번째로 output gate layer에서는 이전 출력과 현재의 입력의 sigmoid 함수 결과 값과 업데이트된 셀 스테이트의 tanh 함수 결과 값의 곱으로 최종 출력 값을 결정한다(14).

4. 실험 및 결과

인공신경망 기반 모델은 높은 추정 및 예측 성능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학습데이터의 양과 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논문의 데이터 셋은 총 400 사이클의 열화실험 분석을 통해 10 사이클 이후 진행된 용량 실험에서 높은 상관관계의 열화 판단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구성하였다. 입력값 데이터는 4가지 열화 파라미터(직렬저항, 1s 분극저항, 60s 분극저항, CV 충전시간)로 각각 40개의 데이터와 출력 값 데이터는 40개의 잔존 방전용량으로 학습 데이터 셋을 구성하였다.

서로 크기와 단위가 다르게 구성되어있는 학습 데이터 셋의 파라미터 특징상 모델이 학습하는 과정에서 가중치가 다르게 적용되며, 학습 성능을 저하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5)와 같이 정규화의 한 종류인 MinMaxScaler를 통해 크기를 전부 0부터 1사이의 값으로 변환 이후 학습을 진행하였다.

(5)
$MinMax Scaler =\dfrac{X -\min(X)}{\max(X)-\min(X)}$

본 연구의 인공신경망 모델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인 텐서플로우, 케라스 패키지를 사용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제안하는 인공신경망 모델은 RNN과 LSTM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두 모델 전부 단일 은닉층 구성으로 모델의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무작위로 노드의 연결을 끊어서 학습하는 Dropout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학습과정은 정방향 학습과 역방향 학습 과정을 통틀어 전체 데이터 셋의 학습완료 횟수를 표현하는 Epoch와 각 Epoch 마다 입력되는 데이터 셋의 크기를 표현하는 Batch로 나눌 수 있으며, 본 모델의 파라미터들의 조합은 표 3에 제시하였다.

표 1. SOH 예측 모델의 파라미터 조합

Table 1. Parameter combinations for SOH prediction model

Learning rate

Hidden neuron

Batch size

Epochs

Dropout

0.01

20

1

20

20%

RNN 모델과 LSTM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총 400사이클의 열화 실험을 통한 데이터 셋에서 학습 범위에 따라 모델 성능을 비교하였다. 전체 데이터 셋의 50%인 200사이클의 학습 이후 나머지 200사이클에 대한 예측 성능과 전체 데이터 셋의 80%인 320사이클의 학습 이후 나머지 80사이클에 대한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림 9에서 RNN 모델과 그림 10에서 LSTM 모델의 학습범위에 따른 예측 값과 실제 값의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그림. 9. (a), (b) 200 사이클 학습 RNN 모델 예측 값 그래프 (c), (d) 320 사이클 학습 RNN 모델 예측 값 그래프

Fig. 9. (a), (b) 200 cycle training RNN model prediction graph (c), (d) 320 cycle training RNN model prediction graph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9a.png../../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9b.png

(6)
RMSE =$\sqrt{\dfrac{1}{n}\sum_{i=1}^{n}e_{i}^{2}}$

모델의 예측 성능은 평균 제곱근 오차율(root mean square error: RMSE)으로 계산하여 표 4에서 수치로 나타내었다. 평균 제곱근 오차율은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식(6)에 따라 계산하여 모델의 성능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이에 따른 모델 성능 비교 결과, RNN 모델보다 LSTM모델이 예측 성능이 뛰어나며, 학습범위가 늘어날수록 예측 성능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0. (a), (b) 200 사이클 학습 LSTM 모델 예측 값 그래프 (c), (d) 320 사이클 학습 LSTM 모델 예측 값 그래프

Fig. 10. (a), (b) 200 cycle training LSTM model prediction graph (c), (d) 320 cycle training LSTM model prediction graph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10a.png../../Resources/kiee/KIEE.2019.68.10.1214/fig10b.png

표 4. RNN 모델과 LSTM 모델의 학습범위에 따른 성능 비교(RMSE)

Table 4. Comparison of performance by learning rates between RNN model and LSTM model(RMSE)

200 cycle training

(50% data)

320 cycle training

(80% data)

RNN model

0.0507

0.0179

LSTM model

0.0407

0.006

5. 결 론

본 연구는 실제 고출력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크기의 출력과 그에 따른 열화 분석을 위해 UDDS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총 400사이클의 열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제 어플리케이션에서 SOH 추정을 위한 방전용량 측정은 어려움이 있으며, 그에 따라 SOH와 상관관계가 높은 열화 판단 특성 파라미터를 통해 방전용량을 추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기적 특성 기반 열화 파라미터 분석을 통해 계산에 용이하고 상관계수가 높은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SOH 예측 모델 검증 데이터 셋을 구성하였다.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SOH를 예측하기 위하여 시계열 데이터 추정에 주로 사용되는 RNN, LSTM 인공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구글에서 제공하는 텐서플로우, 케라스 패키지를 사용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RNN과 LSTM 두 모델의 예측 성능과 데이터 셋의 학습 범위에 따라 예측 성능을 비교한 결과 학습 범위가 증가할수록 모델 성능은 증가하며, RNN 모델에 비교하여 LSTM 모델의 성능이 더 뛰어난 것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A. Barré, B. Deguilhem, S. Grolleau, M. Gérard, F. Suard, D. Riu, November 2013, A review on lithium-ion battery ageing mechanisms and estimations for automotive ap- plication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41, pp. 680-689DOI
2 
T. Kodama, H. Sakaebe, September 1999,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for national project on lithium batteri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81, pp. 144-149DOI
3 
L. Su, J. Zhang, C. Wang, Y. Zhang, Z. Li, Y. Song, Z. Ma, February 2016, Identifying main factors of capacity fading in lithium ion cells using orthogonal design of experi- ments, Applied Energy, Vol. 163, pp. 201-210DOI
4 
X. Han, M. Ouyang, L. Lu, J. Li, Y. Zheng, Z. Li, April 2014, A comparative study of commercial lithium ion battery cycle life in electrical vehicle: Aging mechanism identi- fication,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51, pp. 38-54DOI
5 
M. Berecibar, I. Gandiaga, I. Villarreal, N. Omar, J. van Mierlo, P. van den Bossche, April 2016, Critical review of state of health estimation methods of Li-ion batteries for real application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56, pp. 572-587DOI
6 
H. Chaoui, C. C. Ibe-Ekeocha, June 2017, State of charge and state of health estimation for lithium batteries using re- current neural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66, No. 10, pp. 8773-8783DOI
7 
A. Nuhic, T. Terzimehic, T. Soczka-Guth, M. Buchholz, K. Dietmayer, October 2013, Health diagnosis and remaining useful life prognostics of lithium-ion batteries using data-driven method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39, pp. 680-688DOI
8 
R. Xiong, L. Li, J. Tian, November 2018, Towards a smarter battery management system: a critical review on battery state of health monitoring method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405, pp. 18-29DOI
9 
Y. Zhang, C. Y. Wang, X. Tang, 2011, Cycling degradation of an automotive LiFePO4 lithium-ion battery,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96, No. 3, pp. 1513-1520DOI
10 
Y. Gao, J. Jiang, C. Zhang, W. Zhang, Y. Jiang, October 2018, Aging mechanisms under different state-of-charge ranges and the multi-indicators system of state-of-health for lithium-ion battery with Li (NiMnCo) O2 cathod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400, pp. 641-651DOI
11 
A. S. Mussa, M. Klett, M. Behm, G. Lindbergh, R. W. Lindström, October 2017, Fast-charging to a partial state of charge in lithium-ion batteries: A comparative ageing study,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13, pp. 325-333DOI
12 
S. S. Zhang, October 2006, The effect of the charging protocol on the cycle life of a Li-ion battery,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61, No. 2, pp. 1385-1391DOI
13 
K. Pearson, 1895, Notes on Regression and Inheritance in the Case of Two Paren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 58, pp. 240-242Google Search
14 
Q. Lyu, J. Zhu, December 2014 publish- ed, Revisit long short-term memory:,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 tion Processing Systems Workshop on Deep Learning and Representation Learning, pp. 1-9DOI

저자소개

권상욱 (Sanguk Kw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au1.png

1995년 4월 22일생.

2014~ 현재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학부과정

한동호 (Dongho Han)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au2.png

1993년 1월 27일생.

2018년 충남대 전기공학과 졸업.

2018년~현재 충남대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박성윤 (Seongyun Park)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au3.png

1991년 7월 10일생.

2016년 한국기술교육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생산시스템전공 졸업.

2018년∼현재 충남대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김종훈 (Jonghoon Kim)
../../Resources/kiee/KIEE.2019.68.10.1214/au4.png

1979년 4월 22일생.

2005년 충남대 정보통신공학부 전기전자전파전공 졸업.

2012년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졸업(공박;석박통합과정).

2012년∼2013년 삼성SDI ES사업부 책임연구원.

2013년∼2016년 조선대 전기공학과 조교수.

2016년∼현재 충남대 전기공학과 조교수.

2018년∼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친환경센터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 겸직교수.

2015년∼현재 JPE Associate Editor.

2016년∼현재 당 학회 편집위원. 2017년 당 학회 학술위원.

2019년∼현재 IEEE Senior M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