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시뮬레이션 조건
(1) 일부하 및 발전량
일 부하는 대표적인 산업용 부하를 고려하여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으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태양광전원은 용량별로 09시∼18시까지 일조량에 따라 발전량을
달리 적용하며, 소수력발전기는 24시간 연속 운전하는 것으로 그림 12와 같이 상정한다.
그림. 12. 부하, 태양광전원 및 소수력발전기의 일일 패턴
Fig. 12. Daily profiles of customer loads, PV system and MHG
(2) 배전계통 조건
태양광전원과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된 배전선로는 표 1과 같이 총 긍장이 30[km]이며, 총 6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선종은 1번∼4번 구간에 ACSR-160[㎟], 5번∼6번 구간에 ACSR-95[㎟]를
적용한다. 또한, 배전용 변전소의 송출전압은 13,200[V]로 상정하며, 주상변압기의 탭은 1~4번 구간에 13,200[V], 5~6번 구간에 12,600[V]을
적용한다. 따라서, 배전계통의 구성은 그림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 배전선로 임피던스
Table 1. Impedance of primary feeder
sections
|
type of cables
|
impedance of feeder
(Ω/Km)
|
length
(km)
|
section 1
|
ACSR160SQ
|
0.181+j0.390
|
4
|
section 2
|
ACSR160SQ
|
0.181+j0.390
|
5
|
section 3
|
ACSR160SQ
|
0.181+j0.390
|
6
|
section 4
|
ACSR160SQ
|
0.181+j0.390
|
6
|
section 5
|
ACSR95SQ
|
0.403+j0.484
|
5
|
section 6
|
ACSR95SQ
|
0.403+j0.484
|
4
|
그림. 13. 배전계통 구성
Fig. 13. Configuration of distribution system
(3)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제어 범위
소수력발전기는 동기기로써, 발전기의 온도상승 등을 고려하여 유⋅무효전력에 대한 출력가능범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발전기의 출력가능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연속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무효전력제어 범위를 그림 14와 같이 진상역률 0.85에서 지상역률 0.85까지 제어하도록 상정한다. 또한, 발전기의 단독운전에 의한 영향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림. 14.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 제어범위
Fig. 14. Control range of reactive power of MHG
5.2 소수력발전기 최적제어 기준전압에 따른 전압특성
일반적으로 소수력발전기는 계통전압을 기준으로 소수력발전기의 전압을 제어하는데 이 경우 계통전압의 크기에 따라 수용가 전압이 전압 상⋅하한값을 벗어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계통전압, 즉 수용가 전압을 최적제어하기 위해 발전기 전압제어를 위한 기준전압을 설정하여 그 크기와
발전기 전압을 비교하여 무효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전압제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 기준전압 설정을 위해 계통표준전압 및 주상변압기 Tap 전압
설정시 전압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1) 계통표준전압 설정시 수용가 전압특성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 제어를 위한 기준전압을 계통표준전압(22,900[V])으로 설정하여 제어하는 경우, 태양광전원 3[MW]와 소수력발전기 2[MW]가
배전계통의 말단에 운영될 때의 구간별 수용가 전압특성은 그림 15와 같다. 여기서, 그림 15 (a)는 구간별 계통전압, (b)는 구간별 수용가 전압, (c)는 소수력발전기 및 태양광전원의 발전량을 나타낸다. 그림 15 (a)의 ③에서 알 수 있듯이 소수력발전기 연계지점의 계통전압은 전시간대가 소수력발전기 설정치(계통표준전압, 22,900[V])보다 낮기 때문에, 소수력발전기는
그림 15 (a)의 ③에 따라 연계지점의 계통전압에 따라 그림 15 (c)의 ②와 같이 무효전력을 0.2 ~ 1[MVar]까지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가 전압은 그림 15 (b)의 ③과 같이 전 구간에 걸쳐 상승하게 되어 전압상한값(233[V])을 벗어나, 소수력발전기의 기준전압을 계통표준전압으로 설정하는 경우 문제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5. 계통표준전압 적용시 수용가 전압특성(태양광전원 3MW, 소수력발전기 2MW)
Fig. 15. Customer voltages with system voltage control of MHG(3MW of PV and 2MW of
MHG)
(2) 최적전압제어에 의한 수용가 전압특성
3.1절에서 제시한 소수력발전기 최적전압제어 방안에 의하여, 소수력발전기의 기준전압을 주상변압기 Tap 전압(12.6[kV]×√3 = 21.8[kV])으로
설정하여 수용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면 그림 16과 같다. 그림 16 (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수력발전기 연계지점의 계통전압은 붉은색과 같이 전시간대가 소수력발전기 설정치(주상변압기 Tap 전압, 21.8[kV])보다 높기
때문에, 소수력발전기는 그림 16 (a)의 ③에 따라 그림 16 (c)의 ②와 같이 무효전력을 –0.7 ~ 0[MVar]까지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가 전압은 그림 16 (b)의 ③과 같이 전 구간에 걸쳐 규정전압 이내로 감소하게 되어 소수력발전기의 최적전압제어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수력발전기를
변전소 직하, 중간 및 말단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특성을 알 수 있다.
그림. 16. 주상변압기 tap 전압 적용시 수용가 전압특성(태양광전원 3MW, 소수력발전기 2MW)
Fig. 16. Customer voltages with P.tr tap voltage control of MHG(3MW of PV and 2MW
of MHG)
4.4 전체 배전계통 모델링
(1)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 미제어시의 수용가 전압특성
소수력발전기는 5.1 (3)의 시뮬레이션 조건과 같이 역률 ±0.85범위 내에서 무효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림 17은 4[MW]의 태양광전원과 2[MW]의 소수력발전기 배전선로 말단에 연계되는 경우의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 미제어시의 수용가 전압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그림 17 (a)는 시간에 따른 구간별 고압측 전압, (b)는 각 구간별 수용가 전압, (c)는 소수력발전기 및 태양광전원의 발전량을 나타낸다. 그림 17 (b)의 ③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시간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전압상한치(233[V])를 초과하여 과전압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그림 18은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제어시의 수용가 전압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그림 18 (b)의 ③에서 알 수 있듯이 전 시간대에 걸쳐 수용가 전압이 적정 범위 이내로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림 17과 그림 18에서 소수력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이 가장 낮은 10시와 가장 높은 13시의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 미제어시와 제어시의 전압특성을 비교하면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표에서와 같이, 소수력발전기 연계지점의
그림. 17.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 미제어시의 수용가 전압특성 (태양광전원 4MW, 소수력발전기 2MW)
Fig. 17. Customer voltages 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4MW of PV and 2MW
of MHG)
그림. 18.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 제어시의 수용가 전압특성(태양광전원 4MW, 소수력발전기 2MW 출력시)
Fig. 18. Customer voltages with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4MW of PV and 2MW
of MHG)
전압이 가장 낮은 10시의 경우, 소수력발전기가 무효전력량 0.5[MVar]를 소비하면, 연계점 전압은 21,970[V]에서 22,900[V]로 감소하고,
수용가 전압은 228[V]에서 227.5[V]로 0.5[V] 감소한다. 또한, 소수력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이 가장 높은 13시의 경우, 소수력발전기가
무효전력량 0.95[MVar]를 소비하면, 연계점 전압은 22,850[V]에서 22,250[V]로 감소하고, 수용가 전압은 238[V]에서 231.6[V]로
6.4[V]가 감소하여, 규정전압범위 이내로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시와 미제어시의 전압특성 비교(태양광전원 4MW, 소수력발전기 2MW 출력시)
Table 2. Customer voltages with or 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4MW of PV
and 2MW of MHG)
time interval
|
MHG
operation
|
PCC voltage
|
reactive power
|
customer voltage
|
10H
|
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
21,970[V]
|
0[MVar]
|
228[V]
|
with
reactive power control
|
21,900[V]
|
-0.5[MVar]
|
227.5[V]
|
13H
|
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
22,850[V]
|
0[MVar]
|
238[V]
|
with
reactive power control
|
22,250[V]
|
-0.95[MVar]
|
231.6[V]
|
또한, 표 3은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을 제어하지 않은 경우의 수용가 전압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표에서의 구분 ①과 같이,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되지 않으면
태양광전원은 3[MW]까지 연계가 가능하고, 구분 ②와 같이 1[MW]의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되면, 태양광전원이 2[MW]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용가에
과전압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구분 ④와 같이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을 제어하지 않을 경우, 소수력발전기의 연계용량이 3[MW] 이상이면
태양광전원을 연계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2) 태양광전원 및 소수력발전기의 연계용량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
태양광전원과 소수력발전기가 배전선로 말단에 연계되는 경우, 태양광전원 및 소수력발전기의 연계 용량에 따라 수용가 전압특성을 산정하면 표 4와 같다. 여기서, 구분 ①의 4[MW] 이상의 태양광전원만 연계되는 경우, 수용가 전압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배전계통에 전력품질을 악화시키지만, 구분
②와 같이 1[MW]의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되는 경우, 무효전력제어에 의하여 수용가 전압이 7.5[V] 감소되어 태양광전원이 6[MW]까지 연계되어도
과전압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즉,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제어에 의해 수용가 전압이 3.9[V] 감소되어
표 3. 연계용량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무효전력 미제어시)
Table 3. Customer voltages according to capacity of PV system and MHG(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
cases
|
items
|
PV1MW
|
PV2MW
|
PV3MW
|
PV4MW
|
PV5MW
|
PV6MW
|
PV7MW
|
①
|
MHG 0MW
|
223.0V
|
226.7V
|
230.3V
|
233.4V
|
236.3V
|
238.8V
|
240.1V
|
②
|
MHG 1MW
|
227.1V
|
230.1V
|
233.0V
|
235.3V
|
237.6V
|
240.0V
|
242.0V
|
③
|
MHG 2MW
|
230.1V
|
233.1V
|
235.6V
|
238.0V
|
240.4V
|
242.1V
|
244.3V
|
④
|
MHG 3MW
|
233.3V
|
236.0V
|
238.2V
|
240.8V
|
242.9V
|
244.9V
|
246.2V
|
⑤
|
MHG 4MW
|
236.3V
|
238.6V
|
241.0V
|
243.3V
|
245.3V
|
247.1V
|
249.5V
|
⑥
|
MHG 5MW
|
239.0V
|
241.3V
|
243.5V
|
245.4V
|
247.2V
|
248.8V
|
251.2V
|
⑦
|
MHG 6MW
|
241.6V
|
244.0V
|
246.0V
|
247.8V
|
249.3V
|
250.0V
|
251.6V
|
태양광전원을 기존보다 4[MW] 정도 추가로 연계 가능하여, 배전계통에 태양광전원의 수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분 ③과
같이 2[MW]의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되는 경우, 태양광 전원은 5[MW]까지 추가로 연계할 수 있어 배전계통의 수용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구분 ⑥과 같이 5[MW]의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되는 경우, 소수력발전기의 유효출력에 의한 연계계통의 전압상승으로 태양광전원을 2[MW]까지만 추가로
연계할 수 있어, 소수력발전기에 의한 수용성 향상에 제한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4. 연계용량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무효전력 제어시)
Table 4. Customer voltages according to capacity of PV system and MHG(with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
cases
|
items
|
PV1MW
|
PV2MW
|
PV3MW
|
PV4MW
|
PV5MW
|
PV6MW
|
PV7MW
|
①
|
MHG 0MW
|
223.0V
|
226.7V
|
230.3V
|
233.4V
|
236.3V
|
238.8V
|
241.1V
|
②
|
MHG 1MW
|
226.9V
|
228.3V
|
229.4V
|
230.6V
|
231.7V
|
232.5V
|
233.3V
|
③
|
MHG 2MW
|
228.0V
|
229.3V
|
230.5V
|
231.6V
|
232.7V
|
233.4V
|
234.3V
|
④
|
MHG 3MW
|
229.1V
|
230.4V
|
231.6V
|
232.5V
|
233.2V
|
234.1V
|
234.7V
|
⑤
|
MHG 4MW
|
230.3V
|
231.1V
|
232.3V
|
233.1V
|
234.1V
|
234.9V
|
235.3V
|
⑥
|
MHG 5MW
|
230.8V
|
231.9V
|
233.1V
|
233.9V
|
234.5V
|
235.2V
|
235.8V
|
⑦
|
MHG 6MW
|
231.8V
|
233.1V
|
233.6V
|
234.5V
|
235.1V
|
235.6V
|
236.1V
|
또한, 그림 19는 표 4의 구분 ①의 태양광전원만 연계되는 경우와 구분 ②의 소수력발전기 1[MW]가 연계되는 경우에 대하여 수용가 전압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
그림에서 파선은 태양광전원이 1[MW] ~ 7[MW]까지 연계되는 경우의 수용가 전압을 나타내며, 태양광전원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수용가 전압의 과전압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실선은 1[MW]의 소수력발전기가 연계된 경우를 나타내며, 1[MW] ~ 2.5[MW]의 태양광전원에서는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수용가 전압을 상승시키고, 2.5[MW] ~ 7[MW]의 태양광전원에서는 무효전력을 소비하여 수용가 전압을 감소시켜 규정전압 이내로 유지시킴을
알 수 있었다.
그림. 19. 1MW 소수력발전기의 연계 여부에 의한 수용가전압 특성
Fig. 19. Customer voltages depending on 1MW of MHG
한편, 그림 20은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 여부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파선은 표 3에서 제시한 무효전력 미제어시의 수용가 전압 특성이며, 실선은 표 4의 무효전력 제어시의 수용가 전압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서와 같이, 태양광전원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수용가 전압의 과전압 현상은 점점 심각해지지만,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 제어량에 따른 수용가 전압의 감소 효과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0.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 여부에 따른 용량별 수용가 전압특성
Fig. 20. Customer voltages with or 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
또한,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 여부에 따른 수용가 전압차이는 표 5와 같다. 여기서, 굵은 글씨는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 제어시와 미제어시 모두 수용가의 전압이 규정전압을 만족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밑줄 글씨는
수용가의 전압이 규정전압을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수용가 전압차이는 태양광전원과 소수력발전기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0.2[V]에서 15.5[V]까지
점점 커지며, 소수력발전기 용량이 증대될수록 무효전력 제어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는 수용가 전압을 3.6[V]에서
9.8[V]까지 감소시켜 규정전압 이내로 제어함에 따라 수용가 전압안정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표 5.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 여부에 따른 수용가 전압차이
Table 5. Deviations of customer voltages with or without reactive power control of
MHG
items
|
PV
1MW
|
PV
2MW
|
PV
3MW
|
PV
4MW
|
PV
5MW
|
PV
6MW
|
PV
7MW
|
MHG 1MW
|
0.2V
|
1.8V
|
3.6V
|
4.7V
|
5.9V
|
7.5V
|
8.7V
|
MHG 2MW
|
2.1V
|
3.8V
|
5.1V
|
6.4V
|
7.7V
|
8.7V
|
10.0V
|
MHG 3MW
|
4.2V
|
5.6V
|
6.6V
|
8.3V
|
9.7V
|
10.8V
|
11.3V
|
MHG 4MW
|
6.0V
|
7.5V
|
8.7V
|
10.2V
|
11.2V
|
12.2V
|
14.2V
|
MHG 5MW
|
8.2V
|
9.4V
|
10.4
|
11.5V
|
12.7V
|
13.6V
|
15.4V
|
MHG 6MW
|
9.8V
|
10.9V
|
12.4
|
13.3V
|
14.2V
|
14.4V
|
15.5V
|
(3) 태양광전원 및 소수력발전기의 연계 위치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
태양광전원과 소수력발전기의 연계위치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을 나타내면 표 6과 같다. 여기서, 태양광전원이 배전계통의 말단에 연계하는 경우, 2[MW]의 소수력발전기가 말단에 연계되면 직하 또는 중간에 연계되는 것에 비하여,
2[MW]의 태양광전원을 추가로 연계할 수 있어 수용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수력발전기의 연계위치에 상관없이 태양광전원이 6[MW]
이상 연계되면 수용가 전압은 전압상한치(233[V])를 초과하여 과전압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수력발전기가 배전계통의 말단에 연계되는
경우, 태양광전원이 직하 또는 중간에 연계되면 태양광전원의 용량에 관계없이 과전압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6[MW] 이상의 태양광전원이 말단에 연계되면
과전압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6. 연계위치에 따른 수용가 전압특성(소수력발전기 2MW)
Table 6. Customer voltages according to location of PV system and MHG(2MW of MHG)
item
|
PV
1MW
|
PV
2MW
|
PV
3MW
|
PV
4MW
|
PV
5MW
|
PV
6MW
|
PV
7MW
|
PV- end point
|
MHG-
end point
|
228.0V
|
229.3V
|
230.5V
|
231.6V
|
232.7V
|
233.4V
|
234.3V
|
MHG-
middle point
|
224.6V
|
227.8V
|
230.6V
|
233.3V
|
235.5V
|
237.5V
|
239.2V
|
MHG -
first point
|
224.8
|
227.8V
|
231.1V
|
234.2V
|
237.1V
|
239.7V
|
241.5V
|
MHG- end point
|
PV-
end point
|
228.0V
|
229.3V
|
230.5V
|
231.6V
|
232.7V
|
233.4V
|
234.3V
|
PV-
middle point
|
226,8V
|
227.3V
|
227.8V
|
228.2V
|
228.7V
|
229.0V
|
229.5V
|
PV -
first point
|
226.7V
|
226.8V
|
227.0V
|
227.2V
|
227.3V
|
227.4V
|
227.6V
|
상기의 표 6을 바탕으로 연계위치에 따른 소수력 무효전력 제어 효과를 나타내면 그림 21과 같다. 그림 21의 (a)는 태양광전원이 배전선로 말단에 연계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소수력발전기의 연계위치가 말단에서 변전소 직하로 이동할수록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제어
효과가 감소되어, 말단의 수용가 전압이 상승한다. 한편, 그림 21의 (b)는 소수력발전기가 말단에 연계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태양광전원의 연계위치가 말단에서 변전소 직하로 이동할수록 소수력발전기의 무효전력제어
효과가 증가되어, 말단의 수용가 전압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1. 연계위치에 따른 소수력발전기 무효전력제어 효과
Fig. 21. Effect of reactive power control according to location of MHG and PV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