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Korea.)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Feed forward neural network, Hosting capacity, On-load tap changer, Recurrent neural network, Renewable energy resources, Voltage control

1. 서 론

최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3020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의 확대 정책뿐만 아니라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분산전원에 대해서 한국전력 전력망 접속의 무조건 허용 정책을 발표함에 따라 배전선로 측에 분산전원의 광범위한 연계가 예상된다 (1), (2). 하지만 배전계통에서 분산전원이 대규모로 연계될 때 부하 공급 위주의 배전계통 운영 체계에 영향을 끼치며 전압관리, 보호협조 등 다양한 기술적 이슈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분산전원의 연계 제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인 연계 확대를 위해서는 배전계통의 분산전원 수용량 증대를 위한 물리적·기술적 개선이 필수적이다.

배전계통에서의 분산전원 수용량 확대 기술 중 분산전원 연계에 따른 전압문제를 적절한 전압제어를 통해 해소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3)-(6). 한편, 배전계통 전압제어의 대표적인 방법은 주변압기의 OLTC (부하시 탭 변환기, On load tap changer)를 활용하는 것이다. OLTC는 일반적으로 주변압기에서 송출되는 전압과 부하전류의 크기를 기준으로 선로에서 예상되는 전압강하분을 보상하게끔 주변압기의 탭을 조정하는 LDC (Line Drop Compensation) 제어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에서는 분산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주변압기에서 측정되는 부하전류의 크기가 변동되기 때문에, 기존의 LDC 기반의 OLTC 제어로 유효적절한 전압관리가 곤란하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전원의 간헐적인 발전특성으로 인한 부하전류의 변동은 과도한 탭 조정을 유발하기 때문에 OLTC의 기계적 수명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전압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밀한 부하 및 일사량 예측을 통한 전압제어가 필요하다. 최근 부하 및 일사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7)의 경우 FFNN (Feed Forward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LSTM (Long Short Term Memory)을 이용한 부하 및 전력요금을 예측에 성공하여 머신러닝을 통한 부하 예측의 가능성을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8)의 저자는 전일 일사량 예측을 위해 다중 계층 FFNN을 이용했으며, 평균 오차가 30% (단일 계층 FFNN)에서 20% (다중 계층 FFNN)으로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 참고문헌 (9)에서는 다음날 태양 조도 예측에 관한 FFNN과 LSTM 비교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LSTM이 FFNN을 포함한 많은 대안 모델을 상당한 차이로 앞서는 것을 보여주었다.

LDC와 같은 주변압기의 OLTC의 기존 전압제어방식의 한계는 분산전원 연계로 인한 주변압기에서 송출되는 부하전류변동에 기인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배전계통의 전압 프로파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OLTC의 탭 조정 스케줄링 방법을 제안한다. 부하 및 일사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불확실성 및 변동성에 대응하여야 하므로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부하 및 일사량 기반의 분산전원(태양광발전기)의 발전량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예측 기반의 OLTC의 탭 조정 스케줄링의 결과, 배전계통의 전압문제 해소 및 이에 따른 분산전원의 수용량 확대 효과를 검증하였다.

2.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루 전 부하 및 일사량 예측 알고리즘

배전 전력망은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안정적인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하 및 일사량 예측이 큰 도움이 된다. 최근까지 예측 영역은 통계 모델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의 가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머신러닝 모델로의 전환이 증가하고 있다. 부하 혹은 일사량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문헌에서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10)-(12).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머신러닝 모델은 FFNN이었으며, 일사량과 같은 수행할 때에는 시계열 데이터 예측에 강점을 가진 RNN 기반의 LSTM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FNN 및 RNN-LSTM을 이용하여 개선된 전력수요 및 태양광 발전원의 출력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보다 정확한 예측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선 보다 많은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며, 보다 정밀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이 필요하다. 그림 1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부하 및 일사량 예측 알고리즘이다.

그림 1 RNN-LSTM, FFNN을 이용한 부하, 일사량 예측 알고리즘

Fig. 1 Load and Solar irradiation forecasting algorithm using RNN-LSTM, FFNN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1.png

2.1 입력 데이터 선정 및 데이터 엔지니어링

부하 및 일사량 예측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예측모델에 가장 관련성이 높은 변수를 식별하기 위해 각 변수와 일사량 사이의 PCC(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하였다. 부하량과 일사량에 대한 상관계수를 국내 여러 지점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예측에 가장 관련성이 높은 변수를 식별하기 위해 각 변수와 일사량 사이의 PCC를 계산했다. PCC는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1과 –1사이의 값을 갖는다. +1은 양의 선형 상관이며, -1은 음의 상관이다. 두 변수 X와 G를 이용해 PCC를 계산하는 식은 1과 같다 (13).

(1)
$PCC(X,\:G)=\dfrac{1}{N-1}\sum_{i=1}^{N}\left(\dfrac{\overline{X_{i}-\mu_{X}}}{\sigma_{X}}\right)\left(\dfrac{G_{i}-\mu_{G}}{\sigma_{G}}\right)$

여기서, $\mu$와 $\sigma$는 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X, G)이며, N은 각 변수의 관측계수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량과 가장 관련 있는 특징인 인구수 및 최고온도를 선택하였으며, 일사량과 가장 관련 있는 특징인 건구온도, 이슬점, 습도 총 3개의 특징을 선택하여 예측모델 훈련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데이터로 과거 데이터가 충분한 부산의 총 6년간의 과거 부하 데이터(11/01/01~ 17/12/31)와 총 12년간의 과거 일사량 데이터(09/01/01~ 17/12/31)를 입력 데이터로 선정하였으며, 이는 표 1에 명기하였다.

선정한 입력데이터를 훈련하기 위한 데이터(Training Set), 유효성 데이터 (Validation Set), 시험 데이터 (Test Set)으로 분할하였다. 유효성 데이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하게 예측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유효성 데이터와 시험 데이터와의 차이점은 테스트 데이터는 모델의 ‘최종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쓰이며, 훈련의 과정에는 관여하지 않는 차이가 있다. 반면 유효성 데이터는 여러 모델 중에서 최종 모델을 선정하기 위한 성능 평가에 관여한다.

표 1 일사량 및 부하 예측을 위한 입력 데이터

Table 1 Input data for irradiation and load prediction

대한민국 / 부산

데이터 타입

기간

데이터 수

일사량

Training Set

2009–01-01 ~2015-12-31

2554

Validation Set

2016–01-01 ~2016-12-01

366

Test Set

2017–01-31 ~2017-12-01

365

부하

Training Set

2011–01-01 ~2015-12-31

1454

Validation Set

2016–01-01 ~2016-12-31

366

Test Set

2017–01-01 ~2017-12-31

365

이때 유효성 데이터는 훈련 과정에 관여하며, 훈련된 모델의 정확성 검사, 하이퍼-파라미터 조정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 예측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법으로는 특징 스케일링과 인코딩(feature scaling and encoding)이 있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입력 수치의 기준 척도가 매우 다를 때 종종 예측 성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위에 선정한 데이터를 0의 평균과 단위 분산을 가지도록 다시 조정했으며, 1-핫 인코딩(1-hot encoding)을 통해 시간, 일, 월 같은 범주형 특징을 인코딩하였다. 여기서 1-핫 인코더는 M 카디널리티가 있는 범주형 형상 벡터의 원래 요소를 M요소와 함께 새로운 벡터로 매핑하며, 새로운 요소들의 나머지 부분은 0이 된다.

2.2 FFNN 기반의 부하 및 일사량 예측 모델

FFNN은 각 퍼셉트론 간의 연결이 주기를 형성하지 않는 인공신경망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고안된 인공신경망의 최초이자 입력 계층(input layer), 은닉 계층(hidden layer), 출력 계층(ouput layer)로 구성된 가장 단순한 유형이며 그림 2와 같다. FFNN의 학습방법은 가중치의 반복적인 업데이트를 통하여 출력값의 에러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때, 가중치 업데이트 방법은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이용하여 에러를 역전파(back propagation) 하는 것이다. FFNN은 변동성이 적은 패턴에 강점을 가졌으며, 패턴 인식, 이미지 처리, 분류 및 예측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FFNN은 은닉층이 깊은 모델일수록 기울기가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4).

그림 2 FFNN의 구조

Fig. 2 The structure of FFNN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2.png

그림 2는 각 고유의 가중치를 지닌($W_{M,\:D}$, $W_{K,\:M}$) D개의 입력 데이터 ($x_{1},\: x_{2}\bullet\bullet\bullet x_{D}$)와 M개의 은닉계층 노드($z_{1},\: z_{2}\bullet\bullet\bullet z_{M}$)를 통해 K개의 출력 데이터 ($y_{1},\: y_{2}\bullet\bullet\bullet y_{k}$)를 출력하는 FFNN의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 FFNN 기반의 부하 및 일사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전 처리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였으며, 그림 1의 예측 알고리즘을 다수의 반복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FFNN 학습에 사용되는 하이퍼 파라미터를 learning rate은 0.001, 은닉 계층은 3계층, 은닉계층의 노드는 20, 500 epochs로 최적화하였다.

2.3 RNN-LSTM 기반의 부하 및 일사량 예측 모델

본 논문에서 제안한 RNN-LSTM 모델은 그림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계층(input layer), LSTM 은닉 계층(LSTM hidden Layer), 연결 계층(fully connected layer) 및 출력 계층(output layer)로 구성된다. 입력 계층(은 전 처리된 시계열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입력하고, 은닉 계층은 예측을 위해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 단계들 사이에 장기적인 의존성을 학습한다. 그 후 네트워크는 연결 계층(Fully Connected Layer)과 출력 계층으로 연결된다. 제안하는 입력 데이터 차원은 $d\in D$ (특성의 수), $t\in D$ (수평적 시간 단계), $m\in M$ (훈련 예제의 총 수)으로 나타낼 수 있다. 태양광 예측모델의 경우 D는 세 가지 특성(건구온도, 이슬점 온도, 상대 습도) 및 두 가지 추가 범주적 특징(하루와 일월의 시간)으로 총 특징 수 D를 5로 설정하였으며 부하량 예측모델의 경우 인구수, 최고온도 및 두 가지 추가 범주적 특징(하루와 일월의 시간)으로 D를 4로 설정한다. 또한 수평 데이터(시간) T는 수평 예측의 길이로서 일일 예측의 경우 24이다. 마지막으로 M은 데이터 집합에 있는 훈련 예제의 총량이다. 전체 훈련 세트의 총 치수는 $(D\times T\times M)$이다. 본 연구에서 그림 1의 예측 알고리즘을 다수의 반복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최적화한 하이퍼-파라미터는 표 2에 제시하였다 (15). 위 그림에서 h는 출력을, c는 셀 상태를, N은 레이어의 수를 나타낸다. 그림 3의 학습과정은 첫 번째 LSTM 유닛은 네트워크의 초기 상태와 초기 훈련 예제 $x_{1}$ 첫 번째 출력 $h_{1}$, 업데이트된 셀 상태 $c_{1}$을 계산한다. 시간 단계 t에서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c_{t-1},\:h_{t-1})$와 훈련 예제 $x_{1}$의 다음 단계(t)를 취하고 출력 $h_{t}$와 업데이트된 셀 상태 $c_{t}$를 계산한다. 최종 산출물은 부하량 및 일사량 예측값은 $y_{1},\: ...y_{T}$이다.

그림 3 제안한 RNN-LSTM 예측모델

Fig. 3 Proposed RNN-LSTM forecasting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3.png

표 2 제안한 RNN-LSTM 예측모델 하이퍼 파라미터

Table 2 RNN-LSTM forecasting model hyper-parameter

설계 파라미터

범위

Learning rate

0.005

0.1, 0.01, 0.005, 0.001, 0.0005

Optimization solver

Adam

adam, sgdm, rmsprop

Feature scaling

Standard

Min-Max and Standard scaler

Number of layers

3

1, 3, 5, 7

Hidden units/layer

24

12, 24, 48, 96, 192

Number of epochs

1250

500–2000

Dropout rate

0.5

0.3-0.8

2.4 머신러닝 기반 예측 모델 성능 검증

개발한 머신러닝 예측모델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제 측정된 값(measured value), FFNN, LSTM, 퍼시스턴스 모델(persistence model)을 이용하여 부하 및 일사량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퍼시스턴스 모델은 예측 전날과 당일이 유사할 것으로 가정하여 예측 전날의 일사량 및 부하량으로 구축하였다. 이후 연간 RMSE(Root Mean Squared Error), MAE(Mean Absolute Error, MAE) 계산 공식 등을 구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그 식은 아래와 같다 (16).

(2)
${RMSE} =\sqrt{\dfrac{1}{{T}.{m}}\sum_{{i}=1}^{{m}}\sum_{{t}=1}^{{T}}\left({h}\left({x}_{{t}}^{({i})}\right)-{y}_{{t}}^{({i})}\right)^{2}}$

(3)
$MAE =\dfrac{1}{T.m}\sum_{i=1}^{m}\sum_{t=1}^{T}\left | h\left(x^{(i)}\right)-y^{(i)}\right |$

여기서 $m$은 데이터 인스턴스 집합의 수이고 $x^{(i)}$는 데이터 집합의 $i^{th}$ 인스턴스의 특성값 벡터, $y^{(i)}$는 $i^{th}$ 인스턴스의 출력값, $h$는 시스템 예측 함수이다. 그림 45은 전력 부하와 태양광 일사량 예측결과 그래프이다. 예측한 부하량 결과는 FFNN이 실제 측정된 값과 가장 근접하였으며, 일사량 예측값의 결과는 LSTM을 이용하여 결과가 실제 측정된 값과 가장 근접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4 일사량 예측 FFNN 및 LSTM 성능 비교

Fig. 4 Irradiation forecasting performance comparison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4.png

그림 4, 5 그리고 표 3에서 일사량 예측 성능은 시퀀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장점을 가진 LSTM이 FFNN이 보다 실제값에 더 가까웠으며, 부하량 예측 성능은 변동이 적은 예측에서 강점을 보이는 FFNN이 LSTM보다 우세하였다. 이후 본 논문에서 배전계통 전압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일사량 예측모델은 LSTM 모델, 부하량 예측모델은 FFNN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하 및 일사량 예측 값을 기반으로 조류계산을 수행하면 전압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림 5 부하 예측 FFNN 및 LSTM 성능 비교

Fig. 5 Load forecasting performance comparison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5.png

표 3 부하 및 일사량 예측모델 성능검증

Table 3 Performance verification of prediction model

성능검증

LSTM

FFNN

Persistence

일사량

RMSE

65.65

94.08

193.92

MAE

39.72

64.41

108.11

부하

RMSE

105.881

79.8

215.93

MAE

85.313

62.25

136.35

3. 하루 전 OLTC 탭 동작 스케줄링 알고리즘

일반적으로 배전계통에서 사용하고 있는 송출전압조정 방식으로 일정송출전압 혹은 LDC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OLTC의 시지연 특성 및 기계적 수명이 존재하여 변동성이 큰 분산형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기계적수명의 값은 구체적으로 한국전력공사의 154kV 전력용변압기 (규격번호 GS-6120-0028)에 따르면 OLTC의 동작수명은 기계적 수명 80만회, 전기적 동작수명 30만회로 규정하였다 (17). 이러한 동작수명을 고려하여 계통관리자들은 하루 중 최소한의 탭을 사용하면서 전압제어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정확한 전압분포곡선 예측을 기반으로 OLTC 탭 제어 동작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의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부하 및 일사량 예측값을 기반으로 조류계산을 수행하여 하루 전 24시간의 전압 분포 곡선을 예측한 뒤, 이 값을 기반으로 OLTC 탭 동작 제어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압 상·하한 여유도는 배전계통의 최소부하 조건에서 산정한 특고압 계통의 임의의 지점의 전압과 전기사업법 제 18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 18조에서 정한 저압 고객층 표준전압 및 허용오차의 상·하한치 (220V±13V)를 특고압으로 환산한 전압의 차이를 공칭전압에 대하여 백분율로 표시한 값을 말한다 (18). 분산전원이 배전계통 연계시 특고압 배전계통 선로의 전압 유지범위는 다음 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V_{\min}\le V_{i}\le V_{\max}$

여기서 전압 상한($V_{\max}$)은 1.02$pu$, 전압 하한($V_{\min}$)은 0.99$pu$이다. 탭이 동작하는 조건은 기본적으로 배전계통의 전압($V_{i}$)이 전압 유지 규정을 위반하였을 때 동작하며, OLTC 탭 하강 동작 조건은 배전계통의 전압($V_{i}$)이 전압상한($V_{\max}$)을 초과하였을 때 동작하며 탭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탭 위치를 하강하고 탭 하강 동작 횟수를 증가한다. 이는 식 5, 6과 같다.

(5)
$T A P_{p, t}=T A P_{p, t-1}-\left[\frac{\left|V_{\mathrm{max}}-V_{i}\right|}{a_{t}}\right]$

(6)
$TAP_{D,\:t}=TAP_{D,\:t-1}+1$

여기서 $TAP_{p,\:t}$, $TAP_{D,\:t}$는 전압문제 발생 시 시간($t$)의 탭 위치, 탭 하강 동작 횟수를 나타내며 이 값들은 정수다. $a_{t}$는 탭 비율로 값은 0.0125$pu$이다. OLTC 탭 하강 동작 조건은 배전계통의 전압($V_{i}$)이 전압하한($V_{\min}$) 미만일 때 동작하며 탭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탭 위치를 상승하고 탭 하강 상승 횟수를 증가한다. 이는 식 7, 8과 같다.

(7)
$T A P_{p, t}=T A P_{p, t-1}+\left[\frac{\left|V_{\mathrm{max}}-V_{i}\right|}{a_{t}}\right]$

(8)
$TAP_{U,\:t}=TAP_{U,\:t-1}+1$

여기서 $TAP_{U,\:t}$는 전압문제 발생 시 시간($t$)의 탭 상승 동작 횟수를 나타내며 정수이다. 일정한 시간에 탭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미리 정해두고 동작시키는 현재 우리나라의 탭 운전 방식을 고려하여 제약조건을 설정하였다. 우선 탭의 위치는 24시에 0이어야 하며, OLTC의 기계적 수명을 고려하여 탭 상승 동작 횟수 1회, 하강 동작 횟수 1회로 설정하여 하루 총 2회 동작하는 것으로 제한하였다. 이 설명의 식은 다음 식 9, 10과 같다. 이러한 동작 알고리즘에 의하여 하루 전 OLTC 동작 스케줄을 세운 후 당일에 이를 적용한다.

(9)
$\sum_{t=1}^{24}(TAP_{U,\:t}+TAP_{D,\:t})=2$

(10)
$\sum_{t=1}^{24}TAP_{p,\:t}=0$

4. 사례 연구

본 논문에서 머신러닝 예측기반 OLTC 탭 동작 제어 알고리즘이 전압문제 해소 및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제안한 FFNN 및 RNN-LSTM을 이용한 예측모델을 통하여 1년간의 부하 및 일사량 예측한 후, 이 값을 대상 배전계통에 적용하여 전압제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4.1 사례연구 개요

4.1.1 대상 배전계통

그림 6은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전형적인 구성의 154/22.9kV 방사형 배전 계통도를 나타낸다. 이 계통은 8개의 버스로 구성된 방사형 계통이며, 각 버스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대상 배전계통의 각 부하들은 균등분포 되어있으며 태양광발전기가 말단 분포된 형태이다. 154kV 측과 Bus1 사이에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 변압기 데이터를 적용했다. 이 데이터는 154/22.9kV OLTC(주상변압기, 17개 탭, 탭 비율 1.25%)가 있으며, Bus 1~7 에는 역률이 0.9이며 각 시간에 따라 부하량이 변하는 시변부하, Bus8에는 태양광발전기가 말단분포된 형태로 22.9kV/380V 태양광 발전기용 10MW급 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태양광발전기 정격용량($P_{PV}$)은 시뮬레이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대상 계통의 정격은 30MVA이며 배전선로 ACSR $160 mm^{2}$로 가정하였고 선로저항 및 리액턴스는 각각 $R=0.1820\Omega /km$ 및 $X=0.3912\Omega /km$, 각 버스 사이의 선로 길이는 5km로 가정하였다.

그림 6 연구대상 154/22.9kV 방사형 배전계통

Fig. 6 154/22.9kV radial distribution pow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6.png

4.1.2 대상계통에서의 시뮬레이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압제어 알고리즘의 첫 번째 단계는 배전계통에서의 부하 및 일사량을 수집한 이후 제안한 FFNN 및 RNN-LSTM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1년간의 부하량 및 일사량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때 부하 예측은 FFNN을 이용하였으며, 일사량 예측은 RNN-LSTM을 이용하였다. 예측된 부하량 및 일사량을 기반으로 조류해석하기 위해서 식 11을 이용하여 예측된 일사량을 기준으로 예상되는 태양광발전기 연계용량 대비 발전량을 계산하였다 (19).

(11)
$P_{PV}=P_{PV,\:STC}\bullet\dfrac{G}{G_{STC}}1+k_{T}(T_{cell}-T_{cell,\:STC})$

여기서 $P_{PV},\: P_{PV,\:STC}$는 태양광발전량($k W ,\: 8000k W$), $G ,\: G_{STC}$는 태양광 일사량 ($k W/m^{2},\: 1 k W/m^{2}$) 이며, $k_{T}$는 온도계수 $T_{cell},\: T_{cell,\:STC}$ 는 태양광패널 온도($^{\circ}{C},\: 25^{\circ}{C}$) 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기 연계용량만을 변화시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예측한 부하 및 태양광발전기 발전량을 기반으로 대상 배전계통에서의 조류계산을 시행하며 예측 전압프로파일을 도출한다. 도출한 예측 전압프로파일을 통하여 OLTC 탭을 고정했을 경우와 제안한 OLTC 전압제어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사례를 비교하여 전압제어 능력을 검증한다. 이때, 조류계산은 앞에서 예측한 값을 기준으로 수행한 것이 아니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당일 실제 부하량과 일사량을 기준으로 산출한 태양광발전기 발전량을 기준으로 수행한다. 또한, 제안한 전압제어 알고리즘이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증대 영향 검증을 위해 배전계통의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을 산출한다. 본 논문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은 하루 중 일사량 패턴을 유지하면서 태양광발전기 정격용량이 공급 전압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까지 스케일링하여 최대 연계용량을 산출한다. 배전계통 모델링과 조류해석은 OpenDSS를 이용하였으며, 신재생에너지 예측과 전압제어는 Matlab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20), (21).

4.2 전압프로파일 예측 기반 전압제어 효과 검증

4.2.1 전압프로파일 예측 결과

본 논문에서는 1년동안의 부하 및 일사량 예측을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했으며 부하 예측은 FFNN, 일사량 예측은 RNN-LSTM 예측모델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예측 알고리즘으로 1년 동안의 예측결과 중 임의의 하루를 선정하였고, 부하량과 일사량은 모두 1시간 단위로 예측하였다. 그림 7은 이날의 예측 부하량 및 일사량, 실제 부하량 및 일사량 그래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 7(b)에서의 일사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기의 발전량을 식 1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를 그림 6의 대상 배전계통에 적용하여 예측 전압 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그림 8은 태양광발전기 정격용량 4000kW, 6000kW를 배전계통에 연계하였을 때의 전압 프로파일이다. 그림 8(a)에서 모든 구간의 전압이 공급전압 규정을 만족하였으며, 그림 8(b)에서 태양광발전기 정격용량 6000kW를 연계했을 때 과전압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미루어 봤을 때. 태양광발전기의 연계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압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확대를 위해서는 배전계통 전압제어가 필수적이다.

그림 7 (a) FFNN 기반 예측 및 실제 부하량 비교 (b) RNN-LSTM 기반 예측 및 실제 일사량 비교

Fig. 7 (a) Forecasted and actual load comparison based FFNN (b) Forecasted and actual irradiation comparison based RNN-LSTM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7-1.png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7-2.png

그림 8 (a) 예측 전압 프로파일 (PV 4000kW) (b) 예측 전압 프로파일 (PV 6000kW)

Fig. 8 (a) Forecasted voltage profile (PV 4000kW) (b) Forecasted voltage profile (PV 6000kW)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8-1.png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8-2.png

4.2.2 전압제어 유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산출

본 절에서는 제안한 전압제어의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증대 영향 검증을 위하여 전압제어 전·후의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을 산출하여 비교 검토한다. 이때, 그림 7에서 예측한 임의의 날의 부하 및 일사량에 기반한다. 먼저 전압제어 전의 수용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OLTC 탭을 고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4,459kW였으며, 제안한 예측기반 OLTC 전압제어 후의 수용량은 6,759kW였다. 이러한 수용량의 의미는 태양광발전기 연계용량이 4,459kW보다 작을 때에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OLTC의 탭 제어 없이도 해당 계통에서 공급전압 규정을 위배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계용량이 전압제어 전 수용량보다 커지게 되면 공급전압 규정을 위배하게 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한 OLTC의 탭 제어를 수행할 경우 6,759kW까지는 해당 전압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안한 OLTC 탭 제어를 이용한 전압제어가 전압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수용량 확대에 영향을 끼친다고 말할 수 있다.

4.2.3 전압프로파일 예측 기반 전압제어 사례

그림 7의 임의의 날의 예측기반 OLTC 탭 제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태양광발전기 연계용량을 전압제어 전 수용량(4,459kW)과 전압제어 후 수용량(6,759kW) 사이의 값인 6,000kW로 연계되었다고 가정하고, 하루 동안의 각 버스별 프로파일을 살펴보았다. 이날의 전압제어 전 전압프로파일은 그림 8(b)와 같았으며, 이때 최초 10~11시에 Bus8에서 1.0258$pu$로 과전압이 발생하며, 최고 전압(peak voltage)은 13시에 1.0285$pu$로 나타났다. 과전압이 발생했기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탭 제어 스케줄링을 이 프로파일에 적용하였다. OLTC 탭 제어가 적용된 전압 프로파일을 그림 9에 나타내었다.

그림 9 OLTC 탭 제어 후 전압 프로파일 (PV 6000kW)

Fig. 9 Voltage profile after OLTC tap control is applied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9.png

그림 9에서 과전압이 10~11시에 발생하였기 때문에 탭 동작 지연시간 고려하여 09시에 탭 하강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탭 하강 동작으로 인하여 16-17시에 Bus8에서 0.9807$pu$로 저전압이 발생하여 탭 동작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15시에 탭 상승 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림 89를 미루어 봤을 때, 태양광발전기 연계용량이 6000kW일 때 전압제어 없이는 공급전압 규정을 위배하여 연계 불가능하며, 제안한 OLTC 탭 제어 알고리즘 적용 시 공급전압 문제가 해소되어 연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과거 부하 및 일사량 데이터가 모두 1시간 단위임에 따라 OLTC 탭 동작은 1시간 단위로 이루어졌다. 만약 데이터 수집 및 예측 단위가 세밀해질 수 있다면 좀 더 효과적인 OLTC 탭 제어 스케줄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4.3 연간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도출

이전 사례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압제어 알고리즘이 전압문제 해소 능력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또한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은 하루 동안이 아닌 매 순간 확보할 수 있을 때 의미가 있다. 본 절에서는 OLTC 탭 고정(Case1), OLTC 탭 제어 적용 후(Case2) 총 2가지의 사례의 연중 신재생에너지 최소수용량, 평균수용량 그리고 최대수용량을 도출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압제어가 연간 신재생에너지 수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 검증한다. 여기서, 최소수용량은 연중 수용량이 가장 작은 날이다. 즉, 분산전원 연계용량을 최소수용량보다 적게 연계하면 1년 동안 공급전압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10은 Case1, 2에 대한 최소, 평균, 최대수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 10 연간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Fig. 10 Hosting capacity of the year

../../Resources/kiee/KIEE.2020.69.8.1165/fig10.png

그림 10에서 전압제어 전과 전압제어 후를 비교하자면, 최소수용량은 3,797kW에서 4,450kW로 증가하였으며 평균수용량은 7,217kW에서 13,683kW로, 최대수용량은 10,591kW에서 15,983kW로 증가하였다. 이로 미루어 봤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예측기반 OLTC를 이용한 전압제어는 연간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증대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사례연구에서 검토한 전압제어 후의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은 OLTC의 탭 동작 횟수를 식 9, 10과 같이 하루에 2회로 제한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OLTC의 탭 동작 횟수에 대한 제약이 완화될수록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예측기반 OLTC를 이용한 전압제어로 인한 신재생에너지 수용량 증대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확대되어야만 하는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을 위하여 FFNN 및 RNN-LSTM 예측모델에 기반한 OLTC 탭 제어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압제어 알고리즘은 대용량 분산전원 연계환경에서의 선로 과전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상시 배전선로의 전압을 낮게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전압 변동 마진을 추가 확보할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 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측에 기반한 OLTC의 스케줄링 제어는 기계적 수명 및 탭 동작 시 시·지연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이는 탭 동작의 시·지연시간 동안의 해결할 수 없는 전압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탭 동작을 일정 수준 이하로 억제하여 전압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압 조정기기의 수명을 보장할 수 있고, 빈번한 탭 동작 또한 억제하여 배전선로의 전압품질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의 전압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상시 배전계통에 저전압을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선로 전반적으로 전압을 낮게 유지함으로써 부하량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력구매비용 절감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of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 funded by Korea governmen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No. 2018201060010C).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ttp://motie.go.kr/common/download.do?fid=bbs&bbs_cd_n=81&bbs_seq_n=159996&file_seq_n=2Google Search
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ttps://motie.go.kr/common/download.do?fid=bbs&bbs_cd_n=81&bbs_seq_n=158705&file_seq_n=1Google Search
3 
Eunmi Lee, Daeseok Rho, Changho Park, 2004, A study on the Optimal Operation of Step Voltage Regulator (SVR) in the Distribution Feeder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4 
Y. Kubota, T. Genji, 2007, Finding Optimal SVR Placement in Distribution Systems Using Power Dedsity Model, Electrical Engineering in Japan, Vol. 1584, No. 4, pp. 11-21DOI
5 
W. H. Kersting, 2010, Distribution Feeder Voltage Regulation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6, No. 2DOI
6 
W. H. Kersting, 2009, The Modeling and Application of Step Voltage Regulators, IEEEDOI
7 
Aqdas Naz, Muhammad Umar Javed, Nadeem Javaid, Tanzila Saba, Musaed Alhussein, Khursheed Aurangzeb, 2019, Short-Term Electric Load and Price Forecasting Using Enhanced Extreme Learning Machine Optimization in Smart Grids, EnergiesDOI
8 
Y. Kemmoku, S. Orita, S. Nakagawa, T. Sakakibara, 1999, Daily insolation forecasting using a multi-stage neural network, Solar EnergyDOI
9 
S. Srivastava, S. Lessmann, 2018, A comparative study of LSTM neural networks in forecasting day ahead global horizontal irradiance with satellite data, Solar EnergyDOI
10 
C. Paoli, C. Voyant, M. Musselli, M. L. Nivet, 2010, Forecasting of preprocessed daily solar radiation time series using neural networks, Solar Energy, Vol. 84, pp. 2146-2160DOI
11 
G. Wang, Y. Su, L. Shu, 2016, One-day-ahead daily power forecasting of photovoltaic systems based on partial functional linear regression models, Renewable Energy, Vol. 96, pp. 469-478DOI
12 
Y. Yu, J. Cao, J. Zhu, 2019, An LSTM Short-Term Solar Irradiance Forecasting Under Complicated Weather Conditions, IEEE Access, Vol. 7, pp. 145651-145666DOI
13 
Jifri, Mohammad Hanif, 2017, Macro-Factor Affecting the Electricity Load Demand in Power SystemGoogle Search
14 
A. Moreno, M. A. Gilabert, B. Martinez, 2011, Mapping daily global solar irradiation over Spain: A comparative study of selected approaches, Solar Energy, Vol. 85, pp. 2072-2084DOI
15 
Munir Husein, Il-Yop Chung, 2019, Day-Ahead Solar Irradiance Forecasting for Microgrids Using a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 A Deep Learning Approach, Energies, Vol. 12, 1856DOI
16 
M. H. K. Tushar, C. Assi, M. Maier, M. F. Uddin, 2014, Smart microgrids: Optimal joint scheduling for electric vehicles and home appliance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5, pp. 239-250DOI
17 
KEPCO, 154kV/PowerTransformer, GS6120-0028Google Search
18 
Hyun-Koo Kang, 2019, Assessment of Distributed Generation Hosting Capacity Considering Steady-state Voltage Problem, in KIEE ConferenceGoogle Search
19 
J. A. Duffie, W. A. Beckman, 2013,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 John Wiley & SonsGoogle Search
20 
EPRI, openDSS, https://sourceforge.net/projects/electricdss/Google Search
21 
Mathworks, https://kr.mathworks.com/Google Search

저자소개

원규현 (Gyu-Hyun Won)
../../Resources/kiee/KIEE.2020.69.8.1165/au1.png

He received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7.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his Master Degree at the SmartGrid and Power System Laboratory, same Universit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modeling and control (using PSCAD and Power Factory); Microgrid control and operation scheme.

정일엽 (Il-Yop Chung)
../../Resources/kiee/KIEE.2020.69.8.1165/au2.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9, 2001, and 2005, respectively.

He was a Postdoctoral Associate at Virginia Tech, Blacksburg, VA, USA from 2005 to 2007.

From 2007 to 2010, he worked for the Center for Advanced Power Systems at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USA as an Assistant Scholar Scientist.

Currently,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강현구 (Hyun-Koo Kang)
../../Resources/kiee/KIEE.2020.69.8.1165/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the integrate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5 and 2013, respectively.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RI), Daejeon, Korea, from 2013 to 2018.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at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