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Yonsei Graduate School Technology Policy, Yonsei University, Korea.)
  2.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



Pad mounted transformer, Weibull analysis, Statistical life expectancy, Remaining Lifetime, PoF(Probability of Failure), CoF(Consequence of Failure), AMS(Asset Management System), Health Index, RBM(Risk Based Maintenance)

1. 서 론

전기소비자들이 고품질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설치된 전력설비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수적이고, 우리나라도 해외 전력회사처럼 전력설비의 노후도가 심화됨에 따라 전력설비 유지보수 및 교체 비용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한정된 예산으로 전력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전력설비 유지보수에 있어서 자산관리 개념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55000이 제정되어 산업일반에 있어서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에 대한 일반적인 총론을 제시하고 있으나 개별산업에 대한 상세한 방법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1). 또한, 전력설비는 나라마다 설비 종류와 규격 그리고 운영방법이 상이하여 해외의 자산관리 체계를 그대로 이전하여 도입할 수 없기 때문에, 개별 국가의 전력설비에 적합한 자산관리 체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를 생산하여 유통하는 과정 중 최종 단계에서 전기소비자에게 전기를 직접 공급하는 지상용 변압기에 대한 효과적인 자산관리를 위하여 잔여수명과 고장확률(Probability of Failure, PoF)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력회사가 전력설비의 잔여수명과 PoF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면 예산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감내할 수 있는 공급신뢰도 내에서 전력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국내 지상용 변압기 유지보수 방법과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동향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현장에서 실제 운영 중인 지상용 변압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수명, 통계 및 상태 잔여수명, 최종잔여수명을 실증적으로 도출한다. 4장에서는 최종잔여수명을 PoF로 변환하고 5장에서는 주요 연구내용,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한다.

2. 국내 지상용 변압기 유지보수 방법 및 전력설비 자산관리 동향

154kV 변전소로부터 인출된 22.9kV 배전선로에 지상용 변압기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지상용 변압기는 22.9kV의 특고압을 220V 또는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하여 전기사용자에게 전기를 공급한다. 전력공급 체계상 최말단에 위치한 필수 전력설비인 지상용 변압기 자체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기공급은 중단되고 고장난 변압기를 교체하기 전까지 저압전기사용자는 전기를 사용할 수 없어, 생활불편은 물론 경제적 피해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력회사 입장에서 지상용 변압기의 유지보수 등 자산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2.1 국내 지상용 변압기의 유지보수 방법

과거 한국전력은 배전용 변압기를 13년마다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변압기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공급신뢰도 위주의 유지보수방법을 시행하였다. 이는 높은 공급신뢰도를 위하여 변압기의 높은 설비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고신뢰성의 변압기 수명 설정이 필요했던 것이다. 즉 변압기의 한계수명(End of Life)이 아닌,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교체수명(Replacement Life)이 변압기 수명으로 사용된 것이다. 하지만, 2008년 한국전력의 첫 적자와 함께 찾아온 투자비 부족으로 변압기 유지보수의 패러다임이 크게 바뀌어 상태기반의 설비 유지보수기법을 도입하여 변압기와 개폐기를 대상으로 건전도(Health Index)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Health Index란 현재의 설비상태에 지수를 부여한 것으로 설비운영, 현장점검 및 실험결과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치로 계량하여 설비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5). 현재 공중변압기, 지상용 변압기, 공중개폐기, 지상용 개폐기 등 배전계통상 중요설비를 대상으로 Health Index를 적용하고 있으며 개별 설비상태의 결과는 Very Good, Good, Fair, Poor, Very Poor의 5단계로 평가된다. 표 1과 같이 Health Index 결과값이 81점 이상이면, 변압기 상태를 “Very Poor”로 판정하고 이 변압기를 대상으로 매년 교체계획을 수립한다(5). 공사시행은 배전정보시스템 내 변압기의 Health Index가 “Very Poor”인 변압기 중 점수가 높은 순으로 현장에서 변압기의 상태를 확인 후 예산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교체하고 부하상태를 고려하여 적정용량으로 교체하거나 보강공사를 시행한다(5).

표 1 Health Index 판정기준

Table 1 udgement criteria of health index

Health Index

(평점)

VeryGood

(20점

이하)

Good

(21점~

40점)

Fair

(41점~

60점)

Poor

(61점~

80점)

VeryPoor

(81점

이상)

상태판정

21~30년

11~20년

5~10년

2~3년내 교체

현장확인 후

선별교체

2.2 전력설비 자산관리 동향

2004년 영국표준협회는 공공활용표준(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PAS) 55를 제정하여 전력, 가스, 수자원, 항공, 철도 설비 등에 대한 자산관리의 가이드를 제시하였다(6). 이를 기반으로 ISO는 2014년 자산관리에 대한 국제 표준인 ISO 55000을 제정하였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에서는 2015년 전력설비에 대한 국제 표준을 제시하기 위해 White Paper "Strategic asset management of power network"를 발간하였다(7). 그러나 ISO 55000, IEC 전력설비 자산관리 백서 등에서는 자산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은 제공하지만, 개별 전력설비를 어떤 방법과 절차로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상세한 지침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1).

위의 기준들을 바탕으로 투자효율성에 민감한 해외 전력사들은 전력설비의 건정성 유지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설비 유지보수방법의 선택을 위해 자산관리시스템(Asset Management System, AMS)을 도입하였거나 도입 중에 있다. 해외 전력회사의 자산관리 활동은 설비고장을 회피하면서 전력계통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으로부터 통제된 리스크를 감수하는 리스크 기반 유지보수(Risk Based Maintenance, RBM) 방법론으로 발전되었다. RBM은 리스크 평가기술로서 리스크를 기준으로 설비의 교체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리스크는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Probability of Failure, PoF)과 그 고장에 따른 영향(Consequence of Failure, CoF)으로 구성된다(7,8).

3. 잔여수명 도출

본 연구에서는 지상용 변압기의 상태평가방법으로서 잔여수명 개념을 적용하였다. 잔여수명은 통계잔여수명과 상태잔여수명으로 구성되며, 이들 2개의 잔여수명 중 최소값을 갖는 잔여수명을 최종잔여수명으로 선정한다.

3.1 데이터

본 절에서는 지상용 변압기의 잔여수명 계산에 사용되는 자산 데이터, 고장 데이터, 상태 데이터의 수집 및 정제 등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경우나 데이터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도 자산상태를 예측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불확실성이 증가한다(8,10). 데이터의 품질은 자산관리의 성능 및 정확도와 비례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데이터 수집과 정제 과정을 진행하였다.

3.1.1 분석 데이터

한국전력에서 설치하여 운전하고 있는 지상용 변압기의 데이터를 각종 Legacy 시스템에서 취득하였다. 표 2와 같이 제작사, 용량, 설치년도 등의 자산 데이터와 현장 설치하여 운전 중 발생한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데이터는 영배정보시스템(New Customer Information System/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NCIS/NDIS) 영배정보시스템은 한국전력의 영업과 배전업무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고객정보, 요금정보 그리고 GIS를 기반으로 배전설비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있다. 에서 추출하였고 개별 지상용 변압기에 대한 점검 및 진단 결과값은 진단실적시스템과 정기점검시스템에서 추출하였다. 기자재 납품정보는 ERP시스템에서 추출하여 데이터 정제에 사용되었으며, 기상정보는 기상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Health Index 평가항목 중 “주위온도”에 적용되었다. 표 2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와 이들 데이터가 추출된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표 2 연계 시스템과 데이터

Table 2 Data and its source

연계 시스템

연계 데이터

영배정보시스템

․ 고장데이터: 정전통계

․ 자산데이터: GIS설비정보

․ 영업데이터: 고객정보

진단실적시스템

․ 진단데이터: 초음파, 열화상, 광학 진단값

정기점검시스템

․ 점검데이터: 배전설비 정기점검 결과값

ERP시스템

․ 기자재 납품정보:계약업체, 납품수량

기상청시스템

․ 날씨정보: 지역별 날씨, 기온

표 3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 종류와 내용 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전력이 현재 현장에서 운전 중인 전체 지상용 변압기 61,028대로부터 자산데이터 512,667개, 1986년부터 2020년까지 지상용 변압기의 점검데이터 626,593개, 1994년부터 2020년까지의 고장데이터 18,828개를 영배정보시스템, ERP, 진단실적시스템, 정기점검시스템 등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자산데이터는 2020년 초를 기준으로 추출하였으며, 61,028대의 지상용 변압기의 자산 데이터중에서 정제작업으로 사용할 수 없는 일부데이터는 제외하였다. (2, 3, 4)

표 3 데이터 종류 및 내용

Table 3 Data types and contents

구 분

내 용

데이터수

년도

자 산 데이터

식별번호, 제조사, 제작년도, 설치년도, 변압기종류, 권선종류, 용량, 절연지종류, 설치지역

512,667

1986

~

2019

점 검 데이터

HI점수, 이용률, 외관상태, 주위온도, 광학, 열화상, DGA, 퓨란, 부식, 누유

626,593

1986

~

2020

고 장 데이터

고장식별번호, 고장년도, 고장원인, 정전호수, 정전시간, 정전종류

18,828

1994

~

2020

3.1.2 데이터 정제

지상용 변압기 자산관리를 위해서는 자산・운전・점검 및 진단・고장 데이터의 분석이 중요하며, 여기서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품질이 매우 중요하다. 데이터의 품질은 시스템 성능과 신뢰도 확보를 위한 핵심요소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데이터 전처리 과정은 필수적이다(11). 2006년 Forbes가 데이터 분석가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데이터 분석시간 중에서 데이터 수집에 19%, 데이터 정제 및 재구성하는데 60%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전처리 과정에서 데이터 정제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데이터 전처리(Pre-processing)란 데이터 수집, 정제, 분석, 시각화 순서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의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과정이다(11). 정제되지 않은 오염데이터의 비율이 총 데이터의 일정 수준 이상을 차지하면 데이터의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전처리과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11).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정제할 경우에는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Deduction과 통계적 추론의 두 가지 기법을 사용한다(8). 표 4의 데이터 주요 정제사례와 같이 2008년 이전 또는 이후 데이터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 정제작업을 하였다. 한전의 변압기 유지보수 패러다임이 전환된 2008년 이후에는 Health Index 관리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다수의 시스템에서 분산처리되었던 설비제원과 설비점검정보 등의 자산 및 점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2008년 이후의 데이터를 보다 많이 활용할 수 있었다. 데이터 정제작업을 예를 들면, ‘2021년 5월 25일’의 변압기 점검일자를 ‘1921년 5월 25일’로 연도를 잘못 입력하거나 열화상 진단결과 측정온도가 ‘22℃’인데 ‘222℃’로 입력에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 변압기 규격이 제정된 후 실제 납품되어 현장에 건설되는 적용시점보다 설치일자가 앞선 일자로 시스템에 입력되어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동일한 변압기 제작사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명칭으로 입력되어 있어 데이터 미정제시 1개 제작사가 여러 개의 제작사로 분류되어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입력된 오류데이터는 데이터 프로파일링을 통해 패턴을 분석하여 정제 알고리즘을 만들어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표 4 주요 데이터 정제사례

Table 4 Major data cleansing cases

구 분

현황 및 문제점

오류탐색

및 정제(안)

제조사

명 칭

․ 다양한 제조사 명칭 존재

- ㈜ OOO

- OOO회사

․ 패턴 분석

․ 사업소 문의

․ 현장 확인

점 검

일 자

․ 오기입 의심 데이터 존재

- 2021년 5월 25일

- 1921년 5월 25일

․ 패턴 분석

․ 사업소 문의

․ 현장 확인

제 조

일 자

․ 구매규격 제정일자보다

현장 설치일자가 앞섬

- 구매규격 제정 2017년

- 설치일자 2010년

․ 규격 분석

․ 패턴 분석

․ 사업소 문의

정 전

통 계

․ 구매실적 없는데 데이터 존재

- 2008~2015년 납품없음

- 2008~2015년 정전통계있음

․ 구매 분석

․ 패턴 분석

․ 자재부서 문의

․ 오기입 의심 고객호수 존재

- 특고압 고객 8,091호

- 저압 고객 132호

․ 패턴 분석

․ 사업소 문의

․ 현장 확인

점 검

실 적

․ 오기입 의심 온도값 존재

- 열화상 측정온도 22℃

- 열화상 측정온도 222℃

․ 패턴 분석

․ 사업소 문의

․ 현장 확인

3.2 통계잔여수명

전력회사에서 효과적인 자산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리스크의 PoF를 정의해야 한다. PoF는 지상용 변압기의 자산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 등으로부터 통계적 기대 수명을 도출하여 고장확률을 추정해야 하며, 이는 지상용 변압기의 리스크 예측과 중장기 유지보수 계획에 활용된다. PoF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정보는 과거 고장실적, 유지보수 실적, 점검 및 검사 결과, 부하이력 등이다. 통계 데이터는 지상용 변압기 잔여수명의 첫 번째 추정치를 제공하는 출발점이며, 이는 상태 또는 운전 데이터에 의해 더욱 세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13). 이는 통계적 방식으로 지상용 변압기의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것으로 과거 고장 데이터를 통해 Hazard rate를 도출하여 와이블(Weibull) 분포곡선으로 지상용 변압기의 운전년도에 따른 고장발생 확률을 표시할 수 있다(9).

3.2.1 모든 유형의 고장데이터를 활용한 와이블 분포 분석

한국전력에서 사용하는 전체 지상용 변압기의 자산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를 입력한 와이블 분포를 기반으로 통계분석하여 특정고장확률인 B(x)값을 갖는 통계수명을 도출하였다. 통계수명은 PoF 산출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이를 기준으로 지상용 변압기의 상태평가를 적용하여 최종적인 PoF를 산출할 수 있다(9). 여기서 B(x)는 x%의 고장확률을 갖는 통계수명으로서 전력회사가 허용할 수 있는 고장율 범위를 결정하여 전략적 통계수명을 설정해야 한다(9). 본 연구에서는 B1~B100의 통계수명을 도출하기 위하여 와이블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와이블 분석은 설비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분석법으로서 초기고장, 랜덤고장, 열화고장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분포이다(14). 그림 1은 제작년도에 따른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대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는 사용년수에 따른 고장대수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그림 2에서의 고장대수는 초기고장, 랜덤고장, 열화고장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림. 1. 제작년도별 지상용 변압기 고장대수

Fig. 1. Number of pad mounted transformer failures by year of manufacture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1.png

그림. 2. 사용년수별 지상용 변압기 고장대수

Fig. 2. Number of pad mounted transformer failures by year of use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2.png

먼저, 과거 27년(1994년~2020년)간 지상용 변압기의 모든 유형의 고장 데이터에서 초기고장과 랜덤고장을 제거하지 않고 와이블 분포 분석을 수행하고 특정고장확률 B(x)에 따른 통계수명을 도출하였다. 와이블 분포의 결과로서 형상모수와 척도모수가 도출되는데, 이를 통해 Hazard rate,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와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ensity Function, CDF)를 도출할 수 있다. 형상모수는 분포도의 모양을 결정하는 요소이며, 형상모수 값에 따라 고장데이터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상모수가 2 이상의 값을 가지면 열화고장이라 할 수 있다(14). 그림 3, 그림 4, 표 5는 지상용 변압기의 자산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로 와이블 분포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한 지상용 변압기의 와이블 분포 분석결과, Hazard rate, 형상모수와 척도모수를 각각 나타낸다. 초기고장과 랜덤고장을 제외하지 않고 와이블 분포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형상모수는 0.64, 척도모수는 699.1으로 도출되었다. 여기서 척도모수는 B63.2일 때의 값과 같으며, 국내에서는 50년 이상의 전력설비가 거의 없음을 감안할 때 척도모수의 값이 약 700년으로 도출된 결과는 매우 비현실적인 값으로 판단된다. 그림 4의 Hazard rate 분포를 보면, 초기 고장율이 매우 높은 분포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는 욕조곡선의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 구간에 해당된다. 그 이유는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작불량, 시공불량, 보수불량, 자연열화, 과부하, 부식, 작업자 과실, 일반인과실, 침수, 화재 등 모든 유형의 지상용 변압기 고장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3 지상용 변압기의 와이블 분포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 포함)

Fig. 3 Weibull distribution of the pad mounted transformer (Including early and random failures)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3.png

그림. 4 지상용 변압기의 Hazard rate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 포함)

Fig. 4 Hazard rate of the pad mounted transformer (Including early and random failures)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4.png

그림. 5 고장유형별 지상용 변압기 고장대수

Fig. 5 Number of pad mounted transformer failures by failure type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5.png

표 5 와이블 분포의 형상모수와 척도모수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 포함)

Table 5 Shape and scale parameters of Weibull distribution

구 분

형상모수

척도모수

0.64

699.1

3.2.2 마모기의 고장데이터를 활용한 와이블 분포 분석

위와 같은 왜곡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상용 변압기의 수명을 분석할 때는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을 제거하고 마모기의 고장만을 추출하여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노후 지상용 변압기의 효율적인 교체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이후의 와이블 분포 분석은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을 제외한 마모기의 고장만을 고려한다. 지상용 변압기의 열화 매커니즘을 분석해보면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유형 중 열화에 의한 고장으로는 그림 5의 다양한 고장원인 중 제작불량, 보수불량, 자연열화, 부식 등 4가지만으로 한정할 수 있다. 마모기 고장의 기준은 EPRI Industry-wide Transformer Database의 권고사항인 10년을 적용하여 수집한 고장 데이터 중 10년 이상 사용 후 고장 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14). 그림 6표 6은 초기고장과 랜덤고장을 제거한 고장 데이터로 와이블 분포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한 지상용 변압기의 와이블 분포 분석결과와 형상모수 그리고 척도모수를 각각 나타낸다(14).

그림. 6 지상용 변압기의 와이블 분포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 제외)

Fig. 6 Weibull distribution of the pad mounted transformer (Excluding early and random failures)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6.png

표 6 와이블 분포 형상모수와 척도모수 (초기고장 및 랜덤고장 제외)

Table 6 Shape and scale parameters of Weibull distribution (Excluding early and random failures)

구 분

형상모수

척도모수

3.6

51.9

3.2.3 통계수명 산출

누적분포함수에 시간을 적용하면 B1~B100까지의 고장확률 B(x)에 따른 통계수명을 도출할 수 있다. B(x)는 지상용 변압기가 특정고장확률을 갖는 전략적 기대수명으로서 100대 중 누적 x대의 고장이 발생하는 시점이며 전력회사가 전력회사의 공급신뢰도 정책에 따라 리스크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고장확률을 결정하여 통계수명을 설정할 수 있다(9). 즉, 지상용 변압기의 수명을 통계적으로 계산하는 의도와 가장 부합하는 신뢰성 측도는 누적분포함수를 활용한 B(x)값이다(9). 전 세계적으로 보통 B5를 적용하지만 전반적인 공급신뢰도나 개별 전력설비의 공급신뢰도를 높은 수준으로 운영하고자 할 때는 B(x)값을 더 강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표 7은 열화고장 데이터를 적용한 지상용 변압기의 B1~B100을 갖는 통계수명을 나타낸다. B(x)값을 선정하기 위하여 Hazard rate 함수를 사용한다. Hazard rate는 순간고장율로서 특정한 t시간까지 살아남은 설비가 t시간 이후에 고장날 비율을 의미한다. Hazard rate 그래프를 보면, x축의 시간 t에 따라 순간고장율값이 계산되어 있으므로 t시간에 해당되는 Hazard rate 값과 t시간까지 살아남은 지상용 변압기의 대수를 곱하면, 다음해에 고장날 설비대수를 예측할 수 있다. 식(1)은 Hazard rate를 이용한 고장대수 예측값 계산식을 나타낸다(9).

(1)
$$고장대수=\sum_{i=1}^{n}운영대수_{i}\times 고장비율_{i}$$

표 7 고장확률(B(x))과 통계수명

Table 7 Failure probability (B(x)) and statistical life expectancy

고장확률(%)

통계수명(년)

고장확률(%)

통계수명(년)

B1

15

B20

35

B2

18

B30

39

B3

20

B40

43

B4

21

B50

47

B5

22

B60

51

B6

24

B70

55

B7

25

B80

60

B8

26

B90

66

B9

27

B99

80

B10

28

B100

122

여기서 식(1)을 사용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이 필요하다(9,14).

① 통계수명을 선정하면, 통계수명 이상의 설비는 강제교체를 진행한다.

② 강제교체 및 고장대수 만큼 다음 해에 신설설비로 추가된다.

표 8은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을 22년으로 선정했을 때의 Hazard rate를 이용한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대수 예측값을 나타낸다. 표 8에서 t시점에 발생한 고장대수를 모두 누적하면 다음해에 발생하는 고장대수 예측값이 된다(9,14). 예측된 고장대수와 최근 5년의 실제 고장대수를 비교하여 최적의 B(x)값을 선정한다.

표 8 Hazard rate를 이용한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건수 예측

Table 8 Forecasted number of failures of pad mounted transformers using hazard rate

Age

2020년

운영 대수

Hazard rate

(%)

2021년

예상고장대수

1

1,099

0.00

0

2

1,510

0.00

0

3

3,026

0.00

0

4

4,317

0.01

0

5

4,180

0.02

0

6

3,461

0.03

1

7

3,060

0.04

1

8

3,411

0.05

1

9

2,436

0.07

2

10

1,877

0.10

2

11

1,263

0.12

2

12

2,585

0.15

2

13

3,738

0.19

4

14

3,638

0.23

7

15

3,759

0.28

8

16

4,352

0.33

10

17

1,798

0.38

14

18

1,586

0.44

7

19

1,733

0.51

7

20

1,570

0.58

9

21

1,492

0.66

9

22

810

0.74

10

계 (누적)

96

그림 7은 최근 5년 전국 지상용 변압기의 실제 고장대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분석기간 동안의 고장대수 평균값은 약 142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급신뢰도를 최소한 현행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장대수보다 적은 값을 갖는 B(x)를 통계수명으로 선정한다. 표 9는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확률에 따른 통계수명과 예상고장 대수를 나타낸다. 표 9의 결과를 보면 B11의 값을 갖는 통계수명 29년을 선정해도 예상 고장대수가 115대로 최근 5년 평균 고장대수 142대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최근 5개년 지상용 변압기의 열화고장대수

Fig. 7 Number of deterioration failures of pad mounted transformers during the last 5 years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7.png

표 9 지상용 변압기의 고장확률에 따른 통계수명과 예상고장 대수

Table 9 Statistical life expectancy and forecasted number of failures according to the failure probability of the pad mounted transformer

고장확률(%)

통계수명(년)

예상고장 대수

B11

29

115

B10

28

114

B9

27

113

B8

26

111

B7

25

109

B6

24

105

B5

22

96

B4

21

86

B3

20

68

B2

18

54

B1

15

21

1년 후의 고장대수만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수명은 29년 이상의 값을 선정할 수 있지만, 향후 10년간의 고장대수를 예측하면 최근 5년 평균 고장대수를 월등히 넘는 고장대수가 예측된다. 표 10은 통계수명을 29년과 22년으로 선정할 때 향후 10개년 고장대수 예측값을 나타낸다. 통계수명을 29년으로 선정할 때 2021년 예상고장대수는 115건으로 최근 5년 평균 고장대수인 142건 이하이지만, 매년 예상고장대수는 증가하여 2023년부터는 최근 5년 평균 고장대수를 초과한다. 반면에 통계수명을 22년으로 선정할 때 2021년 고장대수는 96건으로 최근 5년 평균 고장대수인 142건 이하이고, 매년 예상고장대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지만, 2026년도 134대를 기점으로 다시 감소하여 2030년도에는 104건의 예상고장대수를 갖는다. 전력회사 입장에서는 현재보다 공급신뢰도를 낮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B(x)값을 B5로 선정하며, 이에 따른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은 22년으로 결정한다.

표 10 통계수명이 22년과 29년일 때 향후 10년 고장대수 예측

Table 10 Forecasted number of failures for the next 10 years when the statistical life expectancy is 22 years and 29 years

년도

예상고장 대수

통계수명 29년

통계수명 22년

2021

115

96

2022

134

103

2023

154

110

2024

176

117

2025

199

126

2026

221

134

2027

247

124

2028

268

118

2029

281

112

2030

293

104

3.2.4 계층화

한국전력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상용 변압기는 타입, 용량, 제작사, 철심, 권선, 부싱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지금까지는 이들 지상용 변압기 전체를 하나의 그룹으로 간주하고 통계수명을 산출하였으나 지상용 변압기의 특성과 종류를 고려하여 세부그룹별 통계수명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그룹핑 작업을 “계층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앞에서 최적의 B(x)값으로서 B5를 선정하였으며, 모든 지상용 변압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간주한 B5 값은 22년으로 계산되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지상용 변압기의 용량, 타입, 권선종류, 절연지 종류 등과 같은 제조 특성에 따라 지상용 변압기를 세분화여 각 그룹별 B5 값을 갖는 통계수명을 도출하면 통계잔여수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림 8은 지상용 변압기의 계층화를 통한 통계잔여수명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계산된 통계수명에서 설비의 현재 나이를 빼면,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잔여수명이 계산된다.

그림. 8 계층화에 의한 통계잔여수명 도출 프로세스

Fig. 8 Process of deriving the statistical remaining lifetime by stratification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8.png

지상용 변압기를 타입별, 철심종류별, 권선종류별, 절연지별, 용량별, 제조사별로 계층화하여 총 3,590건의 계층화 항목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3,590건의 계층화 항목 결과는 고장데이터의 최소개수, 신규도입 설비 및 년수, 설비 전문가의 경험 등이 고려되지 않은 결과이다. 그러므로 계층화 항목의 정제를 수행하였으며, 정제조건은 다음과 같다(8,14).

① 고장대수가 10건 이하인 항목 삭제

② 형상모수가 2 미만인 항목 삭제

③ 새로운 설계안이 도입된 년수가 10년 미만인 항목 삭제

위의 정제조건을 보면, 와이블 분석의 결과가 신뢰성을 갖기 위해선 최소 고장대수 10건 이상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와이블 분석에서 열화고장에 해당하는 구간은 형상모수가 2 이상인 값이므로 2 미만의 값을 갖는 항목은 삭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설계안이 도입된 설비의 경우 운전된 시간이 짧으면 현재 확보한 데이터만으로 설비의 실제 수명을 도출하기 어려우며, 대표적으로 AL 권선을 사용한 설비가 이에 해당된다. AL 권선은 2008년에 도입되어 현재 약 12년간 운전되었으며,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B5의 통계수명을 도출하면, 약 10년의 통계수명이 도출된다(14). 이것은 설비 전문가의 경험상 현실성이 없는 너무 작은 값이어서 계층화 항목으로 사용하기 부적절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정제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53건의 계층화 항목을 선정하였다.

표 11은 계층화 항목의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상용 변압기의 용량에 따른 통계수명을 나타내며 지상용 변압기 75kVA의 통계수명은 26년으로 제일 길고, 500kVA의 통계수명은 15.8년으로 제일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1 계층화 항목에 따른 통계수명

Table 11 Statistical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the stratified item

타입

용량

절연지

재질

철심

재질

권선

재질

척도

모수

형상

모수

B5

전체

50

전체

전체

전체

47.6

4.3

21.1

전체

75

전체

전체

전체

57.6

4.4

26.0

전체

100

전체

전체

전체

84.7

2.8

24.7

전체

300

전체

전체

전체

43.1

4.0

17.8

전체

500

전체

전체

전체

39.5

3.8

15.8

3.3 상태잔여수명

지상용 변압기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설비상태는 어떤 환경에 설치되었고 어떻게 운전이 되었는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한국전력은 정기적으로 지상용 변압기를 점검하고 진단하며 그 결과값을 진단실적시스템에 입력하여 이를 지상용 변압기의 Health Index의 주요 평가인자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ealth Index를 이용하여 지상용 변압기의 상태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표 12는 한국전력에서 사용하는 Health Index의 평가항목을 나타낸다(15). 지상용 변압기의 Health Index의 평가항목으로서 사용년수, 이용율(부하율), 주위온도, 절연종류, 불량률, 고장경험, 진단결과를 사용한다. 본 연구는 전력회사에 적용하기 위한 지상용 변압기의 자산관리방안이므로 한국전력의 변압기 운영지침에서 사용하고 있는 Health Index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태잔여수명을 도출한다. 표 13은 한국전력의 Health Index 점수에 따른 지상용 변압기의 상태잔여수명 판정결과를 나타낸다(5,15). Health Index의 점수가 81점 이상인 경우 현장확인 후 지상용 변압기 교체를 진행하며, 80점 이하인 경우 Health Index의 점수에 따른 잔여수명을 제시한다. Health Index 점수가 20점 이하이면 잔여수명이 21~30년으로 도출되고, 20점 초과 40점 이하이면 11~20년, 40점 초과 60점 이하이면 5~10년, 60점 초과 80점 이하이면 2~3년으로 계산된다.

표 12 한국전력의 Health Index 평가항목

Table 12 Evaluation items of KEPCO's Health Index

평가항목

평가방법

사용년수

운영기간(제작년도 기준)

이 용 율

최대이용율

주위온도

계절별 온도차

절연종류

내열절연물(내열지, 식물유, 실리콘유)

불 량 률

불량률 = 기자재 불량대수 × 100 / 연도별 동일제원 설치대수

고장경험

고장발생 횟수(배전선로별 일시, 순간 정전)

진단/점검

퓨란검사, 열화상, 부식, 누유, 초음파

표 13 Health Index 점수에 따른 상태잔여수명 판정결과

Table 13 Judgement result of the condition remaining lifetime by according to the Health Index score

Health Index 점수

상태잔여수명

20점 이하

21년~30년

20점 초과 40점 이하

11년~20년

40점 초과 60점 이하

5년~10년

60점 초과 80점 이하

2년~3년이내

81점 이상

현장확인 후 선별교체

일반적으로 Health Index는 설비의 교체기준을 정량적으로 정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지상용 변압기를 현장확인 후 선별교체하거나 2~3년 이내 교체하는 판정을 제외하고는 높은 신뢰도를 갖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Health Index 점수가 60점 이하인 경우는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잔여수명을 기반으로 적용하며, Health Index 점수가 60점 초과인 경우는 지상용 변압기의 열화가 상당히 진행한 것으로 간주하여 앞서 산출한 통계잔여수명에서 수명을 감소토록 적용하여 상태잔여수명을 도출한다. 상태잔여수명의 판정기준은 좋음, 정상, 위험, 불량으로 4단계로 구성되며 Health Index 점수에 따라 판정되고 각 판정단계마다의 계산식은 표 14와 같이 상이하다.

표 14 Health Index 점수에 따른 상태잔여수명 계산식

Table 14 Equation of the condition remaining lifetime according to the Health Index score

Health Index 점수

상태

판정

상태잔여수명 판정수식

40점 이하

좋음

통계잔여수명 + 추가수명

40점 초과 60점 이하

정상

통계잔여수명

60점 초과 80점 이하

위험

$10+\frac{3-10}{80-60} \times(H I-60)$

80점 초과

불량

1

표 14에서 Health Index 점수가 40점 이하인 경우는 지상용 변압기의 사용년수와 비교하여 변압기 상태가 매우 좋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통계잔여수명에 추가수명을 제공한다. 이 추가수명은 전력회사의 점검주기에 해당하는 값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Health Index 40점 초과 60점 이하인 경우는 지상용 변압기의 열화가 없는 정상적인 상태로서 통계잔여수명을 그대로 적용한다. Health Index 점수 60점을 초과하는 경우는 지상용 변압기에 열화가 발생한 위험한 상태로서 그림 9의 Health Index 60점 초과 80점 이하 사이의 그래프 곡선을 따른다. Health Index 점수가 80점을 초과하는 경우는 지상용 변압기의 열화가 심각하고 상태가 불량한 단계로 즉시교체가 필요한 시점이므로 기존의 통계잔여수명과 관계없이 잔여수명을 1년으로 설정한다. 그림 9는 Health Index 점수에 따른 상태잔여수명 계산의 그래프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 9 Health Index 점수에 따른 상태잔여수명 분포

Fig. 9 Distribution of the condition remaining lifetime according to Health Index score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9.png

3.4 최종잔여수명

한국전력의 Health Index의 5단계의 평가기준에 통계잔여수명을 적용하여 4단계의 상태잔여수명 계산식을 만들었다. 여기서 Folding Function을 통해 최종잔여수명을 도출할 수 있다(13). Folding Function은 통계잔여수명, 상태잔여수명 중 최솟값을 최종잔여수명으로 도출하는 함수이다(9). 예를 들면, 그림 10의 잔여수명 산출 프로세스에서 자산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로부터 지상용변압기 300kVA의 통계수명이 18년이고 사용년수가 10년이라면 통계잔여수명은 8년이다. 만약 Health Index 점수에 의한 상태잔여수명이 5년으로 도출되었다면, 통계잔여수명 8년, 상태잔여수명 5년 중 작은 값인 5년을 지상용 변압기의 최종잔여수명으로 판정한다.

그림. 10 잔여수명 산출 프로세스

Fig. 10 Process of deriving the remaining lifetime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10.png

4. 최종잔여수명의 PoF 변환

지상용 변압기의 리스크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PoF값 도출이 필수적이다. PoF는 지상용 변압기가 고장날 가능성을 확률로 표현한 값이며, 이 PoF에 CoF를 곱함으로써 정량적 리스크를 도출한다(9). 지금까지는 지상용 변압기가 고장날 가능성을 잔여수명으로 도출하였기 때문에 잔여수명을 PoF로 변환해야 한다. 잔여수명을 PoF로 변환하기 위하여 Hazard rate 분포를 이용한다. Hazard rate는 특정시점에 순간적으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며, 특정시점까지 고장 없이 작동하던 지상용 변압기가 고장날 가능성은 특정시점의 고장비율과 같다. 그러므로 해당 지상용 변압기의 사용년수를 도출하면 PoF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PoF 변환에 사용되는 지상용 변압기의 사용년수는 공장에서 제조후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된 기간이 아니라, 자산 및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변압기의 운전환경과 열화상태를 반영한 수명으로서 지상용 변압기의 생체나이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 수명을 건강 수명($Age_{apparent}$)이라 정의한다. 식(2)는 건강 수명 계산을 나타낸다.

(2)
$$Age_{apparent}=B(5)^{계층화}-최종잔여수명$$

여기서 $B(5)^{계층화}$값은 계층화가 적용된 B5의 통계수명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용 변압기의 용량에 따라 상이하다. 식(3)은 $B(5)^{계층화}$ 계산식을 나타낸다.

(3)
$$B(5)^{계층화}= 통계잔여수명 + 사용년수$$

그러므로 최종 건강 수명은 식(4)와 같다.

(4)
$$Age_{apparent}=통계잔여수명+사용년수-최종잔여수명$$

식(4)에서 계산된 건강 수명을 Hazard rate 분포에 적용하면 PoF가 도출되며, 식(5)와 같다.

(5)
$$Po F = Hazard rate,\:\lambda(t=Age_{apparent})$$

그림 11은 전체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에서 건강 수명 기반의 PoF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 X축은 사용년수, Y축은 고장확률이다. 예를 들면, 통계잔여수명이 8년, 사용년수가 25년, 최종잔여수명이 2년이라면 식(5)에 따라 $Age_{apparent}$는 31년이다. 건강 수명이 31년인 경우 Hazard rate 값이 약 0.03%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잔여수명 2년을 PoF로 변환한 값으로 0.03%는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에서 선정한 5%와 비교하면 매우 작은 값이다.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에서 선정한 5%는 신규 제작된 지상용 변압기가 5%의 고장확률을 갖기 위한 수명으로 누적함수이다. 반면에 그림 11과 같이 건강 수명이 31년인 경우의 0.03%는 지난 31년 동안 고장 없이 작동한 지상용 변압기가 향후 고장날 확률이므로 순간적인 확률과 같다. 그러므로 순간확률은 누적확률과 비교하여 작은 값이 도출되는 것이 적정하다. 여기서는 최종잔여수명을 Hazard rate 분포에 적용하여 PoF로 변환하였으며, 이 PoF는 지상용 변압기의 정량적인 리스크 예측과 리스크 매트릭스 도출에 사용된다.

그림. 11 건강 수명 기반 지상용 변압기의 Hazard rate

Fig. 11 Hazard rate of pad mounted transformer distribution based on the apparent age

../../Resources/kiee/KIEE.2022.71.5.723/fig11.png

5. 결 론

효율적인 전력설비 자산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력설비의 종류와 운전여건에 따라 전력회사 나름대로 전력설비 잔여수명 예측과 PoF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연구는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을 산출하는데 그쳤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상용 변압기의 통계수명, 통계잔여수명과 상태잔여수명을 산출한 후, 폴딩함수를 통하여 최종잔여수명을 도출하고 이를 고장확률 즉 PoF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전력이 현장에서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지상용 변압기의 자산 데이터, 고장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와이블 분포 분석을 수행하고 최적의 특정고장확률인 B(x)값으로서 B5를 선정하여 지상용 변압기의 용량에 따른 통계수명을 22년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한국전력의 Health Index를 이용하여 지상용 변압기의 상태에 따라 통계잔여수명에 추가수명을 증감하는 상태잔여수명 판정기준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폴딩 함수를 통하여 지상용 변압기의 최종잔여수명을 도출하고 이것을 PoF로 변환하기 위하여 지상용 변압기의 건강 수명을 Hazard rate 분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PoF는 전력회사가 운영하고 있는 모든 지상용 변압기의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예측하여 체계적인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변압기 수명은 변압기가 부담하는 부하(loading)와도 관련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상용 변압기의 많은 데이터 중에서 자산 데이터, 고장 데이터, 점검 및 진단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PoF를 도출하였다. 현재 구축 중인 AMI시스템으로부터 향후 변압기의 부하데이터를 취득, 활용할 수 있다면 PoF를 보다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상용 변압기 고장시 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의 고장영향인 CoF와 정량적 리스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리스크 매트릭스를 개발하는 추가적인 연구 역시 필요하다.

References

1 
Dongjin Kweon, January 2018, Technology Trend of Power Facility Asset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1, pp. 30-33Google Search
2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21, e-Sales statistics system, distribution informationGoogle Search
3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21, ERP systemm, Distribution budgetGoogle Search
4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20, Power failure analysis and prevention measures for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to prevent power failures in 2021Google Search
5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15, The management procedure for the distribution TransformerGoogle Search
6 
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2008, Asset Management - Specification for the optimized management of physical assets, PAS 55-1Google Search
7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15, Strategic asset management of power networks, IEC White PaperGoogle Search
8 
Martijn S. Janssen, December 2014, Extending the scientific foundation of the DNV GL Health Index methodology for electrical power equipment, Master of science Dissertation,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Google Search
9 
Hongseok Lee, December 2020, RISK Assessment of Asset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Transformer,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Google Search
10 
Jos Wetzer, 2018, Transformer health and risk indexing, Transformer Magazine, Vol. 5, No. no 2, pp. 74-79Google Search
11 
Hee-Jung Seo, Tae-Joon Kim, Sung-Duk Mun, Kang-Sik Kim, Jae-Sang Hwang, November 2020, A study on data cleansing method for asset management of transmission cables, The dissertation book of the Summer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 No. , pp. 125-126Google Search
12 
ngeun Cho, July 2021, Cleansing method of asset data in the distribution sector,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Google Search
13 
Dongjin Kweon, Yonghyun Kim, 2020, Development of Health & Risk Evaluation Process to Establish the substation facility asset management system,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Google Search
14 
Onyou Lee, August 2021, A Lifetime Assessment Technology for Asset Management of Distribution Transformers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Google Search
15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13, User Guide for Health Index of the pad mounted Transformer, 2016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대한 (Daehan Kim)
../../Resources/kiee/KIEE.2022.71.5.723/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92. He received the MBA degree from the Aalto university, Helsinki, Finland.

He is a Ph.D.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Policy of the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E-mail : kshoyaa@kepco.co.kr

이홍석 (Hongseok Lee)
../../Resources/kiee/KIEE.2022.71.5.723/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 and the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Korea, in 2014.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KEPRI, Deajeon, South Korea.

E-mail : hongs19@kepco.co.kr

조영상 (Youngsang Cho)
../../Resources/kiee/KIEE.2022.71.5.723/au2.png

He is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of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e received a Ph.D. degree at Techno-Economics and Policy Progra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7.

His primary research interests are technology evaluation, market analysis of new product/service,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new product development energy policy, and technology convergence.

E-mail : y.cho@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