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Korea)



SiC, MOSFET, Process deviation, Retro-grade, RA-JTE

1. 서 론

탄화규소 (SiC, Silicon Carbide)는 높은 임계 전계와 열전도도 특성을 보유하므로 작은 면적으로도 전기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력반도체 제작에 적합한 재료이다 (1-2). 그러나 SiC 소재의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의 전기적 특성은 공정 편차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공정 산포에 둔감한 설계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1.2 kV SiC MOSFET의 활성영역과 종단영역에서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을 찾기 위한 것으로써, 공정변수에 따른 문턱전압과 항복전압 분석을 통해 공정 산포에 강한 설계를 목표로 한다.

2. 시뮬레이션 방법

본 논문에서는 Synopsys 사의 TCAD simulator를 통해 활성영역과 종단영역에서 공정변수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림 1은 설계한 1.2 kV SiC MOSFET의 활성영역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셀 간격은 6 μm이며, Drift 층의 농도와 두께는 각각 8×$10^{15}$ $cm^{-3}$, 10 μm로 설정하였다. n-source의 깊이와 농도는 각각 0.15 μm, 1×$10^{20}$ $cm^{-3}$이며, p-source의 깊이와 농도는 각각 0.20 μm, 1×$10^{20}$ $cm^{-3}$이다. 시뮬레이션에는 고농도 불순물 주입에 의한 소자 내의 밴드갭 감소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OldSlotboom 모델을 사용하였고, 재결합 및 항복전압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SRH (Shockley-Read-Hall), Auger 재결합 모델과 Okuto 애벌런치 모델을 포함하였다.

3.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 및 항복전압

문턱전압과 항복전압 특성 확보를 위해 p-base의 농도 구간을 문턱전압에 영향을 주는 표면 지점과 항복전압에 영향을 주는 바닥 지점으로 나누었다 (3).

그림. 1. 1.2 kV SiC MOSFET의 활성영역 단면

Fig. 1.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tive region of 1.2 kV SiC MOSFET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1.png

p-base 표면 농도 프로파일은 완전 이온화와 불완전 이온화 여부, 산화막의 두께와 게이트 산화막 내에 존재하는 전하 (Oxide Charge, $Q_{ss}$)의 영향을 고려하였고, p-base의 바닥 농도 프로파일은 $SiO_{2}$와 SiC 계면의 전계를 고려하여 p-base 농도에 따른 항복전압 분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문턱전압은 2.5 V 이상 3 V 미만을 만족하고, 활성영역과 종단영역의 항복전압은 각각 1.2 kV의 120 %인 1440 V와 1.7 kV의 120 %인 2040 V를 만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고전압 차단 모드에서 SiC MOSFET은 높은 전계에 의해 주입된 Al의 완전 이온화를 가정할 수 있는 반면, 도통 모드에서 SiC MOSFET의 정확한 문턱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불완전 이온화를 고려한 p-base 농도에 대한 경향성 분석이 필요하다 (4). 그림 2는 $Q_{ss}$ = 4×1011 $cm^{-2}$인 조건에서 이온화 여부를 고려하여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불완전 및 완전 이온화 여부를 고려한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 분포

Fig. 2.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p-base concentration considering complete ionization and incomplete ionization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2.png

p-base의 농도가 8 ~ 9.5×$10^{16}$ $cm^{-3}$ 일 때,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은 불완전 및 완전 이온화 여부와 상관없이 목표 문턱전압인 2.5 ~ 3 V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턱전압 조절에 있어 불완전 및 완전 이온화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p-base 표면 농도 프로파일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SiO_{2}$ 두께는 p-base 농도와 더불어 문턱전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SiO_{2}$ 두께 편차의 영향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SiO_{2}$ 두께 변화를 고려한 p-base 농도 설계가 요구된다. 그림 3은 $Q_{ss}$ = 4×1011 $cm^{-2}$, p-base의 농도가 9×$10^{16}$ $cm^{-3}$ 일 때, $SiO_{2}$ 두께에 따른 문턱전압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표준 공정에서 형성되는 $SiO_{2}$ 두께가 50 nm이고, 10 %의 공정 편차가 발생했을 때를 가정하여 $SiO_{2}$가 45, 50, 55 nm인 경우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 특성을 나타내었다. p-base 농도가 9×$10^{16}$ $cm^{-3}$ 일 때, $SiO_{2}$ 두께와 상관없이 목표 문턱전압인 2.5 ~ 3 V를 달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SiO_{2}$ 두께가 50 nm인 공정을 기준으로 $SiO_{2}$ 두께 편차가 ±10 %인 범위에서 목표 문턱전압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Q_{ss}$는 산화막 내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우의 문턱전압 값을 산화막 내 전하량을 산화막의 커패시턴스 값으로 나눈 만큼 이동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따라서, $Q_{ss}$에 따른 문턱전압 분포 확인을 통해 목표 문턱전압을 만족하는 농도 범위를 알아내는 과정이 요구된다. p-base 농도가 9×$10^{16}$ $cm^{-3}$이고, $SiO_{2}$ 두께가 50 nm인 조건에서 $Q_{ss}$에 의한 문턱전압 특성을 그림 4에 나타내어 목표 문턱전압을 만족시키는 $Q_{ss}$ 범위를 결정하였다. $Q_{ss}$ = 4×1011 $cm^{-2}$, 6×1011 $cm^{-2}$, 8×1011 $cm^{-2}$, 1×1012 $cm^{-2}$ 일 때, p-base의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은 각각 2.83, 2.37, 1.90과 1.44 V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목표 문턱전압인 2.5 ~ 3 V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Q_{ss}$는 6×1011 $cm^{-2}$ 미만의 값을 유지해야 한다.

그림. 3. $SiO_{2}$ 두께를 고려한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 분포

Fig. 3.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p-base concentration considering $SiO_{2}$ thickness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3.png

그림. 4. $Q_{ss}$ 농도를 고려한 p-base 농도에 따른 문턱전압 분포

Fig. 4.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p-base concentration considering $Q_{ss}$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4.png

목표 항복전압인 1440 V를 확보하는 p-base 바닥 농도 설계를 위해 p-base 농도에 따른 항복전압과 산화막과 SiC 계면에 인가되는 전계 분포 분석이 요구된다. 그림 5는 p-base 농도에 따른 항복전압과 항복전압이 1200 V, 1440 V, 그리고 1560 V일 때, p-base 농도에 따른 계면 전계의 최댓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p-base 농도가 증가할수록 (< 8.4×$10^{17}$ $cm^{-3}$) 항복전압은 2500 V까지 증가하며, 1440 V 이상의 항복전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p-base 농도가 약 5.9×$10^{17}$ $cm^{-3}$ 이상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항복전압이 1200 V, 1440 V, 그리고 1560 V인 경우 모두 p-base 농도가 증가할수록 계면에 인가되는 최대 전계가 감소하며, 이는 p-bas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JFET 영역에 형성되는 공핍영역이 증가하여 게이트 산화막을 높은 전계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그림. 5. p-base 농도에 따른 항복전압 및 JFET 영역에서의 최대 전계

Fig. 5. Breakdown voltage and maximum electric-field distribution at a JFET region according to p-base concent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5.png

산화막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계면에서의 전계는 1.5 MV/cm 미만이어야 하는데, 항복전압이 1200 V, 1440 V, 그리고 1560 V인 경우 모두 p-base의 농도가 5.9×$10^{17}$ $cm^{-3}$ 이상인 범위에서 계면에서의 전계가 1.5 MV/cm 미만의 값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JFET 영역과 접하는 p-base의 바닥 농도는 5.9×$10^{17}$ $cm^{-3}$ 이상이어야 한다.

4. 종단영역 구조에 따른 항복전압 변화

소자의 종단영역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으로 인해 고전압 차단 모드에서 종단영역에 걸리는 전계는 활성영역의 전계와 차이가 적고, 낮은 산포를 갖춰야 한다 (6). 2 kV 이상의 안정적인 항복전압을 확보하기 위해 공정 산포에 적은 영향을 받는 종단영역의 구조 및 파라미터를 설정하였으며, FLR (Field Limiting Ring)과 RA-JTE (Ring-Assisted JTE) (7-8)를 대상으로 항복 특성을 분석하였다.

4.1 FLR

FLR은 고농도로 p-type 불순물을 도핑한 링을 사용한 구조로, 원하는 항복전압 특성을 얻기 위해 링 간의 간격과 개수의 설계에 주의가 필요하다 (8). 그림 6은 FLR의 단면이며, 그림 7은 첫 번째 링 간격을 1 μm로 설정하고, 링 간격의 증가 없이 20개의 링을 배치한 FLR의 수평 전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7을 통해 전계가 종단영역에 고루 분포되지 않고, 마지막 링에 4H-SiC의 임계 전계보다 큰 전계가 인가되어 항복 특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산포에 강한 단위공정 설계에 FLR은 적합하지 않다.

그림. 6. FLR 단면

Fig. 6.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R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6.png

그림. 7. FLR 구조에서의 수평 전계

Fig. 7. Horizontal electric field in the FLR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7.png

4.2 RA-JTE

그림 8의 RA-JTE는 JTE (Junction Terminal Extension)에 FLR을 추가한 구조로, JTE와 FLR이 각각 JTE의 농도와 링의 배치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점을 보완한 것이다.

그림. 8. RA-JTE 단면

Fig. 8. Cross-sectional view of the RA-JTE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8.png

RA-JTE는 고른 전계의 분포를 위해 링의 간격이 점차 증가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우수한 항복전압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10). 그러나 SiC의 경우, $SiO_{2}$와 SiC 계면 근처의 결함과 산화막 내의 탄소결합으로 인해 표면전하밀도가 종단영역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임계 치수와 동시에 표면전하밀도에 따른 항복전압 특성 분석이 요구된다 (11). 따라서 JTE 농도가 3.0×$10^{17}$ $cm^{-3}$인 RA-JTE를 대상으로 표 1에 따라 링 간격의 증가 폭을 고려하여 표면전하밀도와 임계 치수에 따라 항복전압 분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그림 9와 10을 통해 나타내었다.

표 1. 링 간격 증가 폭에 따른 시뮬레이션 조건

Table 1. Simulation condition according to ring space increment

첫 번째 링 간격 (μm)

링 간격 증가 폭 (μm)

a

1.5

0.5

b

1.5

1.0

첫 번째 링 간격이 1.5 μm이고, 링 간격의 증가 폭이 0.5 μm인 경우, 표면전하밀도와 임계 치수에 따른 평균 항복전압은 2450 V, 항복전압의 균일도는 1.66 %였다. 평균 항복전압은 목표 항복전압인 2040 V를 만족하였으나, 양의 표면전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복전압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9. 링 간격 증가 폭인 0.5 μm인 경우 표면전하밀도와 임계 치수에 따른 항복전압 분포

Fig. 9. Breakdown volt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surface charge density and critical dimension in case of ring space increment is 0.5 μm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9.png

이는 양의 표면전하밀도가 JTE 농도를 증가시킨 것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전계 분포에 영향을 미친 것이 원인으로, 표면전하밀도 편차에 강한 설계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링 간격 증가 폭을 1 μm로 증가시켜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그림 10을 통해 나타내었다 (12).

첫 번째 링 간격이 1.5 μm이고, 링 간격의 증가 폭이 1.0 μm인 경우, 표면전하밀도와 임계 치수에 따른 평균 항복전압은 2489 V, 항복전압의 균일도는 0.01 %였다. 링 간격의 증가 폭이 0.5 μm인 경우에 비해 평균 항복전압과 항복전압 균일도 모두 개선되었으며, 특히 표면전하밀도가 양의 값을 보유할 때의 항복전압 특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링 간격 증가 폭이 증가함에 따라 전계가 더욱 고르게 분포하여 양의 표면전하밀도가 JTE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10. 링 간격 증가 폭인 1.0 μm인 경우 표면전하밀도와 임계 치수에 따른 항복전압 분포

Fig. 10. Breakdown volt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surface charge density and critical dimension in case of ring space increment is 1.0 μm

../../Resources/kiee/KIEE.2022.71.6.871/fig10.png

5. Conclusion

활성영역의 경우 p-base의 표면 농도는 8 ~ 9.5×$10^{16}$ $cm^{-3}$, 바닥 농도는 5.9×$10^{17}$ $cm^{-3}$ 이상을 갖는 Retro-grade type의 구조를 가질 때 $SiO_{2}$ 두께 편차가 ±10 %인 범위까지 2.5 V ~ 3 V의 문턱전압과 1500 V 이상의 항복전압을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단영역에 RA-JTE를 적용할 경우, 첫 번째 링의 간격이 1.5 μm, 링 간격 증가 폭이 0.5 μm, 1.0 μm일 때 모두 2400 V 이상의 항복전압을 확보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표면전하밀도와 임계 치수에 따른 항복전압의 균일도는 링 간격 증가 폭이 1.0 μm일 때가 0.01 %으로 링 간격 증가 폭이 0.5 μm인 경우에 비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활성영역의 p-base와 종단영역을 설계할 때, p-base의 표면 농도와 바닥 농도는 각각 8 ~ 9.5×$10^{16}$ $cm^{-3}$, 5.9×$10^{17}$ $cm^{-3}$이고, RA-JTE의 첫 번째 링 간격은 1.5 μm, 링 간격 증가 폭은 1.0 μm가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공정 산포에 강한 단위공정 설계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2021년 국립대학 육성사업비로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J. Millán, P. Godignon, X. Perpiñà, A. Pérez-Tomás, J. Rebollo, May 2014, A Survey of Wide Bandgap Power Semiconductor Devices, IEEE Trans. Power Electronics, Vol. 29, No. 5, pp. 2155-2163DOI
2 
Inho Kang, April 2019, SiC power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4, No. 2, pp. 26-32Google Search
3 
H. Bencherif, L. Dehimi, F. Pezzimenti, A. Yousfi, G. D. Martino, F. G. D. Corte, January 2020, Impact of a non-uniform p-base doping concentration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low power MOSFET in 4H-Si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Electrical Engineering, pp. 19-21DOI
4 
I. G. Ivanov, A. Henry, E. Janzén, June 2005, Ionization energies of phosphorus and nitrogen donors and aluminum acceptors in 4H silicon carbide from the donor-acceptor pair emission, Phys. Rev. B, Vol. 71, No. 24, pp. 241201DOI
5 
J. Campi, Y. Shi, Y. Luo, F. Yan, J. H. Zhao, March 1999, Study of interface state density and effective oxide charge in post-metallization annealed $SiO_{2}$/SiC structures, IEEE Trans. Power Electronics, Vol. 46, No. 3, pp. 511-519DOI
6 
R. Pérez, N. Mestres, S. Blanque, D. Tournier, X. Jordà, P. Godignon, R. Nipoti, January 2004, A highly effective edge termination design for SiC planar high power devices, Mater. Sci. Forum, Vol. 457-460, pp. 1253-1256DOI
7 
B. J. Baliga, 2019, Fundamentals of Power Semiconductor Devices, Springer, pp. 119-136Google Search
8 
Jong-Gyeum Kim, Young-Jeen Park, Eun-Woong Lee, May 2008,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ower Capacitor with Unbalanced Voltage Operation, KIEE, Vol. 22, No. 5, pp. 64-72DOI
9 
X. Deng, L. Li, J. Wu, C. Li, W. Chen, J. Li, Z. Li, B. Zhang, December 2017, A Multiple-Ring-Modulated JTE Technique for 4H-SiC Power Device With Improved JTE-Dose Window,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64, No. 12, pp. 5042-5047DOI
10 
C. -N. Zhou, Y. Wang, R. -F. Yue, G. Dai, J. -T. Li, March 2017, Step JTE, an Edge Termination for UHV SiC Power Devices With Increased Tolerances to JTE Dose and Surface Charge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64, No. 3, pp. 1193-1196DOI
11 
G. Y. Chung, C. C. Tin, J. T. Williams, March 2000, Effect of nitric oxide annealing on the interface trap densities near the band edges in the 4H polytype of silicon carbide, Appl. Phys. Lett., Vol. 76, pp. 1713-1715DOI
12 
Y. -M. Koo, D. -H. Cho, K. -S. Kim, December 2015, The Analysis of the Breakdown Volt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JTE Structures and Design Parameters of 4H-SiC Devices, Journal of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Vol. 19, No. 4, pp. 491-499DOI

저자소개

윤효원 (Hyowon Yoon)
../../Resources/kiee/KIEE.2022.71.6.871/au1.png

2022-Present: Master’s degree candidat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2018-2022: B.S. degre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E-mail : hwyoon@kumoh.ac.kr

김채윤 (Chaeyun Kim)
../../Resources/kiee/KIEE.2022.71.6.871/au2.png

2022-Present: Master’s degree candidat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2018-2022: B.S. degre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E-mail : codbs36@kumoh.ac.kr

박영은 (Yeongeun Park)
../../Resources/kiee/KIEE.2022.71.6.871/au3.png

2019-Present: Undergraduate cours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E-mail : yepark@kumoh.ac.kr

김광재 (Gwangjae Kim)
../../Resources/kiee/KIEE.2022.71.6.871/au4.png

2017-Present: Undergraduate cours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E-mail : kimgwangjae@kumoh.ac.kr

강규혁 (Gyuhyeok Kang)
../../Resources/kiee/KIEE.2022.71.6.871/au5.png

2019-Present: Undergraduate cours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E-mail : kanggh210@kumoh.ac.kr

석오균 (Ogyun Seok)
../../Resources/kiee/KIEE.2022.71.6.871/au6.png

2020-Present: Assistant Professor,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2014-2020: Senior Researcher,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2013-2014: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E-mail : ogseok@kumoh.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