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표준의 핵심요소로써 요구사항 2를 보장하는 할당방법은 고조파 전압 한계와 관련이 있다. IEEE Std. 519에 비하여 IEC
61000-3-6 방출 한계값은 고조파 전압 한계 및 계통 임피던스 특성으로부터 더 정교하게 유도된다.
3.3.1 IEC 61000-3-6
단일 피더 계통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값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Z_{hi}$는 전압을 고조파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평가지점에서 계통 고조파 임피던스이다.
표 8은 고조파 임피던스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임피던스에 대해 적용하는 세 가지 조건을 보여준다. IEC 61000-3-6은 식(5)와 (6)에 주입세트(Injection set) (b)를 적용한다.
표 8. 고조파 전류 평가 방법
Table 8. Harmonic current evaluation condition
주입 방법
|
일정 전류
|
일정 전력
|
일정 전압
|
주입 세트
|
a
|
b
|
c
|
$I_{h}$
|
K(상수)
|
$\dfrac{1}{\sqrt{Z_{h}}}$
|
$\dfrac{1}{Z_{h}}$
|
다중 피더계통의 경우, 상위 임피던스에서 흐르는 병렬 피더 전류로 인해 식(5)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IEC 61000-3-6은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평가하기 위한 다음 일반식을 제시한다.
여기서, $Z_{h}$는 평가지점에서 고조파 리액턴스이며 $A_{h MV}$는 할당 상수, $S_{i}$는 개별 수용가의 계약전력이다.
할당 상수는 제일 먼저 계획레벨에 도달할 가장 취약한 노드의 위치가 긴 피더의 끝에 있으며, 제일 큰 계약전력을 가질 것이라는 예상을 통해 설정한다(1). 할당 상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S_{MVw}$ : 가장 약한 피더에 연결된 중압 부하
$S_{MVn}$ : 남은 피더에 연결된 중압 부하
$R_{w}$ : 가장 약한 피더의 수전단 측 고장레벨에 대한 송전단의 비
$R_{a}$ : 남은 피더의 수전단 측 고장레벨에 대한 송전단의 비
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게 방출한계를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균등분산 부하라는 가정으로 인해 부정확한 면이 있다(5). 이로 인해 계획레벨을 위반할 수 있으므로 IEC 61000-3-6의 할당 방법은 많은 지로(branch)와 망상 계통이 있는 실제 배전계통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1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값 할당에 대해 가정 없이 IEC 61000-3-6의 원칙을 준수하기로 하였다.
3.3.3 두 표준의 비교
두 표준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비교하기 위해 IEEE 123 노드 계통을 기반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13). 그림 3의 IEEE 123 노드 계통은 다양한 배전계통의 특성(방사형, 망상, 분산전원, 망상+분산전원)을 반영하기 위해 수정하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 및 고압 · 특고압은 제외하고 중압만을 고려한다. 즉, 계통 고조파 전압 한계는 계획레벨과 동일하며. 각 수용가가 연결된 노드의
고조파 전압을 평가하기 위해 결정론적(IEEE Std. 159) 및 확률론적(IEC 61000-3-6) 전류 주입 방
그림. 3. IEEE 123 노드 계통
Fig. 3. IEEE 123 node system
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간단히 하기 위해 5차 고조파와 표 4의 계획레벨 3%을 사용하였다. 표 10은 배전계통의 특성에 따른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E_{Ih MV}$)와 최대 전압 왜형률($V_{h}$)한계를 보여준다.
표 10. 계통형태에 따른 고조파 한계값1)
Table 10. Harmonic limits of system configuration
구분
|
노드
|
부하
(MVA)
|
단락
용량
(MVA)
|
고조파 할당 (%)
|
방사형
|
망상
|
분산전원
|
망상+
분산전원
|
$E_{Ih MV}$
|
$V_{h}$
|
$E_{Ih MV}$
|
$V_{h}$
|
$E_{Ih MV}$
|
$V_{h}$
|
$E_{Ih MV}$
|
$V_{h}$
|
IEC
61000
-3-6
|
114
|
2.0
|
59.0
|
3.4
|
3.0
|
4.4
|
3.0
|
4.7
|
3.0
|
6.4
|
3.0
|
111
|
2.0
|
62.0
|
3.5
|
3.0
|
4.6
|
3.0
|
4.8
|
3.0
|
6.7
|
3.0
|
94
|
1.5
|
60.0
|
3.8
|
2.9
|
6.7
|
2.4
|
5.1
|
2.9
|
10.6
|
2.2
|
96
|
0.5
|
58.0
|
5.1
|
2.9
|
10.3
|
2.3
|
6.9
|
2.9
|
17.0
|
2.0
|
300
|
2.0
|
65.0
|
3.6
|
2.9
|
4.7
|
2.9
|
5.0
|
2.9
|
7.0
|
2.9
|
92
|
0.5
|
62.0
|
5.3
|
2.9
|
8.9
|
2.4
|
7.2
|
2.9
|
14.0
|
2.2
|
90
|
0.5
|
65.0
|
5.4
|
2.9
|
8.9
|
2.5
|
7.3
|
2.9
|
13.9
|
2.3
|
IEEE
Std.
519
|
114
|
2.0
|
59.0
|
7.0
|
16.2
|
7.0
|
12.9
|
7.0
|
11.2
|
7.0
|
8.6
|
111
|
2.0
|
62.0
|
7.0
|
16.1
|
7.0
|
12.9
|
7.0
|
11.2
|
7.0
|
8.5
|
94
|
1.5
|
60.0
|
7.0
|
16.1
|
10.0
|
10.5
|
7.0
|
11.2
|
12.0
|
6.3
|
96
|
0.5
|
58.0
|
12.0
|
16.1
|
12.0
|
9.9
|
12.0
|
11.2
|
12.0
|
5.8
|
300
|
2.0
|
65.0
|
7.0
|
15.9
|
7.0
|
12.7
|
7.0
|
11.0
|
10.0
|
8.4
|
92
|
0.5
|
62.0
|
12.0
|
16.1
|
12.0
|
10.6
|
12.0
|
11.2
|
12.0
|
6.4
|
90
|
0.5
|
65.0
|
12.0
|
16.0
|
12.0
|
10.8
|
12.0
|
11.1
|
12.0
|
6.6
|
∙ GhMV : 3%, Fault level at node 149 : 291MVA,
Line : 0.6504 ohms/mile
∙ Linked switch sets : 6-16, 17-96, 39-66
|
1) 수용가의 모든 노드부하에 따른 정보는 (13)에서 볼 수 있다.
∎방사형(Radial) 계통
표 10에서 가장 약한 노드는 114이다. IEC 61000-3-6의 경우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가장 약한 노드에서 3%이다. IEEE Std. 519의
경우 16.2%로 나타났다.
∎망상(Meshed) 계통
세 개의 루프(6-16, 17-96, 39-66)을 가진 시스템에서 가장 약한 노드는 111과 114이다. IEC 61000-3-6의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3%, IEEE Std. 519는 12.9%로 나타났다.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or, DG)
그림 3과 같이 순 정현파 전압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방사형 계통에 추가하였다. IEC 61000-3-6에는 발전기 추가를 고려한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계산조건이 없으며 분산전원은 일정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원으로 볼 수 있으므로 발전기의 리액턴스만 고려하였다. 가장 약한 노드는 111과 114이며
이때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IEC 61000-3-6은 3%, IEEE Std. 519는 11.2%로 나타났다.
∎망상 + 분산전원
망상 계통에 발전기를 추가한 계통이다. 가장 약한 노드는 114이며 이때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IEC 61000-3-6은 3%, IEEE Std.
519는 8.6%로 나타났다.
표 10은 계통 토폴로지와 관계없이 IEC 61000-3-6의 최악의 고조파 전압이 계획레벨 3%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IEC 61000-3-6은
계획레벨을 위반하지 않고 요구사항 2를 충족시킨다. 그러나 IEEE Std. 519의 경우 계획레벨의 3~5배 전압위반이 나타났다. 따라서 IEEE
Std, 519는 요구사항 2를 충족하지 않는다.
그림 4는 표 10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의 추세를 보여준다. 수렴과 발산여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전원측에서 가까운 노드를 표현하였다. 그림 4(a)에서 IEC 61000-3-6에 의해 평가된 방출한계는 강인한 계통이 연결된 수용가로부터 더 많은 고조파 전류를 흡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계통이 서로 연계되어 강인한 계통은 수용가에서 바라보는 전원 측 계통임피던스가 작아진다. 낮은 계통임피던스는 단락전류가 커져 단락비의 증가를 가져오며
표 9와 같이 IEEE Std. 519는 고조파 전류 한계치의 증가를 계산함으로써 망상 계통에 연결된 수용가는 더 많은 고조파 전류 방출이 허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 수용가의 계통조건, 부하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할당되는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그림 4(a)와 같이 IEC 61000-3-6의 방출한계 할당이 합리적임을 보여준다. 반대로 그림 4(b)는 크기와 위치가 다른 수용가가 IEEE Std. 519의 표 9의 사전 계산된 5개의 방출한계로 인해 동일한 방출한계를 할당받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계통의 강인성에 따른 고조파 방출한계의 추세가 명확하지 않다.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의 요구사항 2 충족여부 확인을 위해 그림 4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계통에 적용하였다. 요구사항 2를 만족하려면 전압 왜형률이 표 4의 계획레벨 3% 이하이어야 한다.
그림 5는 수용가가 연결된 노드의 고조파 전압 한계값을 보여준다. 그림 5(a)는 계통 토폴로지에 무관하게 수용가의 최종 고조파 전압 추세가 계획 수준인 3%로 수렴하므로 IEC 61000-3-6의 우수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림. 4. 두 가지 표준에 근거한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Fig. 4. Harmonic current emission limits by standards
그림. 5. 두 가지 표준에 근거한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
Fig. 5. Harmonic voltage emission limits by standards
그림 5(b)는 IEEE Std. 519의 고조파 전압 추세를 보여준다. 전압추세는 계획레벨 3%에 수렴하지 않으며, 최대 고조파 전압이 계획레벨의 3~4배 이상으로
위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모든 수용가가 계통을 합리적으로 공유할 수 없으며 전류 방출한계내의 수용가에게 전압 왜곡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계획레벨을 위반할 경우 전력회사가 전압 품질을 복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
표 11은 두 표준의 장단점과 보완사항을 나타낸 것이며, 향후 두 표준의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 현장에서 전력회사와 모든 수용가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표 11. 2가지 표준의 장·단점과 보완사항
Table 11. Harmonic current evaluation condition
표 준
|
장 점
|
단 점
|
보완사항
|
IEC
61000-3-6
|
높은
정확도
|
복잡한 계산과정
|
각 변수의 정형화
|
IEEE
Std. 519
|
단순한 계산과정
|
계통 임피던스 변화에
대한 불분명한 적용
|
단순화 과정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