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Harmonic, IEC 61000­-3-­6, IEEE Std. 519, Harmonic allocation, Harmonic emission limits, Planning level

1. 서 론

고조파 표준은 계통전압(중압, 고압-특고압)(1-2)과 IEC 60725 기준 임피던스($Z_{ref}$)에 의한 저압(3)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적용분야에 따라서는 계통표준과 설비표준으로 나눌 수 있다. 계통표준은 큰 고조파를 계통에 유입하는 수용가 연결 시 사용되며 설비표준은 기기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에 사용한다. 입력 전류가 위상 당 16A 이하인 설비는 제조사가 국제표준을 준수하여 제작해야 하고 계통표준은 전력회사의 전기품질 관리에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압계통의 고조파 표준(IEC 61000­-3-­6, IEEE Std. 519)의 방출한계 할당 과정을 분석하였다. 두 표준의 목적은 계통의 고조파 전압왜형이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특정 레벨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표준의 목적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계획레벨, 고조파 전압 및 전류 방출한계 설정의 세 가지 주요 제한사항이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수용가 측에서 고조파 방출한계 검토를 요청할 때 전력회사는 두 표준의 차이로 인해 수용가에게 다른 검토의견을 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두 표준의 차이와 정확성 및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나 IEC ­61000-­3-­6와 IEEE Std. 519의 방출한계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IEEE Std. 519 방출한계는 사전 계산된 표준을 적용하여 가장 간단한 표준으로 사용되지만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고(4), IEC 61000­-3-­6은 구체적 근거는 있지만 단순화를 위한 가정으로 인해 고조파 방출한계의 정확성이 미흡하다(5).

표준제정의 과정이 공개되지 않아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여 두 표준을 요약하거나 (6-9), 결정론(IEEE Std. 519) 및 확률론적(IEC 61000-­3-­6) 고조파 조류해석이 각 표준의 고조파 방출한계를 분석하는데 적용되었다(10). 분석 결과 두 표준의 불일치와 부정확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IEEE Std. 519표준은 단순화를 위한 가정이 많아 오차가 크고 한계값에 수렴하지 않아 전력회사는 IEC 61000-3-6 표준을 적용하여 전기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2. 고조파 표준 개요

수용가는 계통 운영자가 지정한 측정지점에서 고조파 방출한계를 준수할 책임이 있다. 계통 운영자는 국가규정의 요구사항에 따라 정상 운전조건에서 고조파 방출수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표준은 일반적으로 공정성(이하 요구사항 1)과 일관성(이하 요구사항 2)의 두 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제정되어야 한다.

표 1. 고조파 방출한계 표준의 요구사항

Table 1. Principles of harmonic emission limit

요구사항

원 칙

목 적

1

공정성

설비비용 절감을 위해 각 수용가의 부하크기에 따라 공정한 방출한계값 배분

2

일관성

최대부하에서 계통의 전압왜형률을 기준값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각 수용가가 준수해야하는 방출한계값 설정

2.1 IEC 61000-­3-­6

IEC 61000-­3-­6는 기술보고서(Technical Report)로써 고조파의 확률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통에 연결된 수용가에게 방출한계를 할당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표준은 세부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방출한계를 규정하고 계통에 따라 고조파 할당과 관련된 원칙인 기본 전자파 적합성, 방출한계, 종합방법, 전체 고조파에 대한 영향을 제시한다. 그러나 IEC 61000­-3-­6은 고조파 할당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가 아닌 일련의 원칙을 담은 문서로 실제 계통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가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모든 고조파 상황에서 계획레벨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계통의 토폴로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망상(Meshed) 계통 및 분산전원과 같은 복잡한 계통 적용에 한계가 있다.

2.2 IEEE Std. 519

IEEE Std. 519의 그룹장은 “표준은 그 지침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측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고안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공학적 증거와 함께 그 자체의 장점이 있어야 한다.”라고 제시하고 있으나 방출한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공개하여 제시하고 있지 않다. IEEE Std. 519는 고조파 전압 및 전류의 방출한계를 제공하며 IEC 61000-­3-­6과 같이 계통 임피던스 및 수용가 전력사용 규모에 따른 고조파 전압에 기반한다.

IEC 61000­-3-­6과 달리 IEEE Std. 519의 방출한계는 특정 공식 대신 5개의 사전 계산된 고조파 전압 및 전류 방출한계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성으로 인해 요구사항 1, 2를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주 변압기 크기, 피더 수 및 계통 전압레벨과 같은 계통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IEEE Std. 519는 “선착순(First come, First served)”이라는 규칙을 적용하는데, 이는 신규 접속 수용가에게는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으며, 접속 순서에 대한 수용가 별 유/불리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IEEE Std. 519는 계통의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다른 수용가들에 의해 유입된 고조파 전류가 다양하다는 가정 하에 개발되었다. 계통에 유입되는 다양한 고조파 성분의 형태, 개별 고조파 전류의 위상각, 고조파 유입시 시간 프로파일(profile)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한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단일 수용가의 최대 개별부하 전압 고조파(maximum individual frequency harmonic voltage)가 단락 임피던스에 따른 계통의 전압 왜형률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정되었다. 그러나 IEEE Std. 519의 결정론적 방법을 채택할 경우 전압 왜형률이 요구사항 2를 위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IEC와 IEEE 표준 비교

표 2는 두 표준의 세 가지 주요 절차를 보여준다. 각 절차는 서로 다른 방법론을 기반으로 제정되어 직접 비교가 어려우므로 각 표준에 따른 고조파 규제의 동일한 결과 도출 여부를 분석하였다.

표 2. 두 표준의 세 가지 절차 비교

Table 2. Three kinds process of two standards

Category

IEC 61000­­­­-3­­­­-6

IEEE Std. 519

절차

I

적합레벨

계획레벨

계통 고조파

전압한계

전압 왜형률 한계

II

고조파 전압

방출 한계

전압 방출한계

III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전류 방출한계

3.1 CategoryⅠ. 계획레벨 (Planing Level)

계획레벨은 고조파 발생 설비의 계통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여 관리수준의 사전검토 목적으로 사용한다. 모든 계통전압 레벨에 대해 계통 운영자의 품질관리 목표값이라고 할 수 있다. 고조파 표준의 관점에서 보면 개별 수용가의 전압·전류 방출한계는 계획레벨을 기준으로 제정되므로 이의 결정은 3단계 절차 중 가장 중요한 절차이다. 따라서 계획레벨은 적합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제정되어야 하고 방출한계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야 한다.

3.1.1 IEC 61000­-3-­6

계획레벨은 고조파 발생 설비의 계통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여 관리수준의 사전검토 목적으로 사용한다. 모든 계통전압 레벨에 대해 계통 운영자의 품질관리 목표값이라고 할 수 있다. 고조파 표준의 관점에서 보면 개별 수용가의 전압·전류 방출한계는 계획레벨을 기준으로 제정되므로 이의 결정은 3단계 절차 중 가장 중요한 절차이다. 따라서 계획레벨은 적합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제정되어야 하고 방출한계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야 한다.

∎적합레벨 (Compatibility level)

적합레벨은 방출 및 내성레벨을 위해 지정된 계통에서 기준으로 사용하는 고조파 레벨이다. 일반적으로 적합레벨은 전체 시스템의 95% 확률을 기반으로 시간과 공간의 외란 변동을 모두 나타내는 지수를 사용한다(11).

∎계획레벨 (Planing Level)

계획레벨은 적합레벨 이하로 설정하여 안전 마진(Margin)을 제공함으로써 고조파 할당 절차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오류를 줄인다. 그림 1은 적합레벨과 계획레벨의 개념을 보여준다(1).

그림. 1. 기본적인 전압 품질 개념도

Fig. 1. Conceptual figure on voltage quality level

../../Resources/kiee/KIEE.2022.71.8.1084/fig1.png

표 3. 중압, 고압 · 특고압 계통에서 고조파 전압 계획레벨

Table 3. Voltage harmonics planning level of MV and HV

3의 배수가 아닌 홀수 고조파

3의 배수인 홀수 고조파

고조파 차수 h

고조파 전압 %

고조파 차수 h

고조파 전압 %

중압

고압·특고압

중압

고압·특고압

5

5.0

2.0

3

4.0

2.0

7

4.0

2.0

9

1.2

1.0

11

3.0

1.5

15

0.3

0.3

13

2.5

1.5

21

0.2

0.2

총 고조파 왜형률(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6.5%

∎계통 고조파전압 한계 (Global harmonic voltage limit)

계획레벨에 따른 계통의 전압 왜형률에 대한 전체적인 영향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IEC 61000­-3-­6은 계통의 고조파 전압한계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2는 일반적인 중압계통과 방출한계 설정을 위한 설비의 영향을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중압계통에서 기본 전압의 백분율로 표시된 개별 부하의 허용 가능한 계통영향 $G_{h MV+LV}$은 다음과 같다.

(1)
$G_{h MV+LV}=\sqrt[\alpha]{L_{h MV}^{\alpha}-(T_{h UM}\bullet L_{h US})^{\alpha}}$

여기서,

그림. 2. 설비에 의한 고조파 영향 개념도

Fig. 2. Conceptual figure on effect of harmonics by facilities

../../Resources/kiee/KIEE.2022.71.8.1084/fig2.png

$L_{h MV}$ : 중압계통에서 h차 고조파의 계획레벨

$T_{h UM}$ : 상위계통에서 중압계통으로의 고조파 전압 왜형률 전달 계수

$L_{h US}$ : 상위 계통의 계획레벨

$\alpha$ : 일반 합계법의 지수(1)

이다.

동시에 중압과 저압을 동시에 공급하는 부하가 없는 것을 고려하면 중압에서 직접 공급되는 부하들의 허용 가능한 고조파 영향($G_{h MV}$)은 식(1)의 비율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G_{h MV}=\sqrt[\alpha]{\dfrac{S_{MV}}{S_{MV}+S_{LV}\bullet F_{ML}}\left[L_{h MV}^{\alpha}-(T_{h UM}\bullet L_{h US})\right]^{\alpha}}$

여기서,

$S_{MV}$ : 고압/중압 변압기를 통해 중압에서 직접 공급되는 전체 부하전력

$S_{LV}$ : 저압에 직접 공급되는 전체 부하전력

$F_{ML}$ : 중압 및 저압 배전시스템의 두 왜곡된 부하 사이의 일치 요소(Coincidence factor)

이다.

3.1.2 IEEE Std. 519

IEEE Std. 519는 계통 고조파 전압한계 대신 전압 왜형률 한계를 사용한다. 정상 동작을 위한 “최악의 경우”에 대해 계통 전압 왜형률 한계를 총 고조파 전압 왜형률 5%로 제한하고 개별 고조파 전압 왜형률을 3%로 제한한다. 표 4는 IEEE Std. 519의 전압 왜형률 한계를 보여주며 이는 5/3 기준이라고도 정의하고 있으나 구체적 근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IEEE Std. 519의 “전압 왜형률 한계” 개념은 IEC 61000­-3-­6의 계획레벨과 비슷하지만 저압계통 단위의 전달 계수에 대한 영향을 무시하고 허용 가능한 전체 고조파 전압 한계와 전압 왜형률 한계를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를 위해 계획레벨과 계통 고조파 전압한계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IEEE Std. 519의 “전압 왜형률 한계”를 정의해야 한다.

표 4. 전압 왜형률 한계

Table 4. Limit of voltage distortion

평가지점에서의

노드 전압

개별 전압 왜형률

총 전압 왜형률(THDv)

69kV 이하

3%

5%

69kV ~ 161kV 이하

4%

3%

161kV 초과

3%

3%

3.1.3 두 표준의 비교

표 5는 두 표준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의 비교를 나타냈으며 5차 고조파 전압 불일치율이 32.33%임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표준이 계획레벨부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조파 방출한계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두 표준은 상호보완을 위해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의 일치화가 필요하다.

표 5. 중압계통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 비교

Table 5. Comparison of voltage distortion limit in MV

고조파 차수

IEC 61000­­­­-3­­­­-61)

IEEE Std. 519

불일치율

5

3.97%

3.0%

32.33%

7

2.85%

3.0%

5.00%

11

2.60%

3.0%

13.40%

13

2.00%

3.0%

33.33%

1) 식 (2)를 기반으로 계산된 결과

3.2 Category Ⅱ.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

계통 고조파 전압한계가 설정되면 요구사항 1을 고려하여 각 개별 수용가에 전압한계가 할당되고 할당된 계통 고조파 전압한계를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라고 한다. 즉,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는 모든 고조파 전류의 여기(excitation) 영향을 제외한 각 고객의 최종 전압이다.

(3)
\begin{align*} [E_{Vh}]=[V_{h}]-([Z_{h}]-Dg([Z_{h}]))[I_{h}]\\ = Dg([Z_{h}])[I_{h}] \end{align*}

여기서,

$E_{Vh}$ :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

$V_{h}$ : 고조파 전압

$Z_{h}$ : 평가지점에서의 고조파 리액턴스

$I_{h}$ : 고조파 전류

$Dg(A)$ : $N\times N$ 대각 행렬

이다.

고조파 전류의 다양성으로 인해 용량이 큰 수용가는 더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며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단일 수용가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가 계통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3.2.1 IEC 61000­-3-­6

개별 수용가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는 계약전력과 중압 계통의 용량 간 비율을 통해 계산한다. 단순화를 위해 다중 피더 특성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식(4)와 같다.

(4)
$E_{Vhi}=G_{h MV}\bullet\sqrt[\alpha]{\dfrac{S_{i}}{S_{t}}}$

여기서,

$E_{Vhi}$ : 개별 수용가의 고조파 전압 방출량 한계

$S_{i}$ : 개별 수용가의 계약전력 크기

$S_{t}$ : 변전소 주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체 부하전력

이다.

3.2.2 IEEE Std. 519

IEEE Std. 519는 계통에 연결된 수용가 수에 따라 5개의 고조파 방출한계를 제시하며, 표 6은 5개의 고조파 방출한계를 보여준다. IEEE Std. 519는 “최대 개별부하 전압 고조파(Maximum individual frequency voltage)”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IEC 61000-­3-­6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와 비슷하다.

표 6. 최대 개별부하 전압 고조파 한계

Table 6. Maximum individual harmonic voltage

평가

지점 단락비

최대 개별부하

전압 고조파

수용가 수

수용가 규모

(선로용량 10MVA 기준1))

10

2.5­­­­-3.0%

특별한 수용가

10MVA급 전용선로

20

2.0­­­­-2.5%

1-2개의 큰 수용가

5,000kVA 수준

50

1.0­­­­-1.5%

상대적으로 큰 수용가들

3,000kVA 수준

100

0.5­­­­-1.0%

5­­­­-20 중간 크기의 수용가들

500~2,000kVA 수준

1000

0.05­­­­-0.10%

많고 작은 수용가들

500kVA 이하 다수

1) 국가별로 상이하며 우리나라 배전계통의 피더당 기준용량

표 7.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IEC 61000­-3­-6)1)

Table 7. Voltage harmonic emission limits

수용가 수

최대 개별

전압 고조파

수용가 수

최대 개별

전압 고조파

특별한

수용가

3.00%2)

10개의

큰 수용가

0.58%

2개의

큰 수용가

1.83%

20개의

큰 수용가

0.35%

4개의

큰 수용가

1.11%

100개의

큰 수용가

0.11%

5개의

큰 수용가

0.95%

1000개의

큰 수용가

0.02%

1) 방출한계는 5차 고조파를 기반으로 다중 피더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평가한다.

2) 비교를 위해 5차 고조파에 대해 IEEE Std. 519와 동일한 3% 계획레벨을 사용한다.

3.2.3 두 표준의 비교

두 표준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를 비교하기 위해 식(4)를 사용하여 표 7의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를 구할 수 있다. 표 6표 7을 비교하면 두 표준의 전압 방출한계에 무시할 수 없는 차이가 있으며 IEEE Std. 519가 더 큰 한계값을 제시한다.

3.3 Category Ⅲ.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표준의 핵심요소로써 요구사항 2를 보장하는 할당방법은 고조파 전압 한계와 관련이 있다. IEEE Std. 519에 비하여 IEC 61000­-3-­6 방출 한계값은 고조파 전압 한계 및 계통 임피던스 특성으로부터 더 정교하게 유도된다.

3.3.1 IEC 61000­-3-­6

단일 피더 계통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값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5)
$E_{Ihi}=\dfrac{E_{Vhi}}{Z_{hi}}$

여기서, $Z_{hi}$는 전압을 고조파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평가지점에서 계통 고조파 임피던스이다.

표 8은 고조파 임피던스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임피던스에 대해 적용하는 세 가지 조건을 보여준다. IEC 61000­-3-­6은 식(5)와 (6)에 주입세트(Injection set) (b)를 적용한다.

표 8. 고조파 전류 평가 방법

Table 8. Harmonic current evaluation condition

주입 방법

일정 전류

일정 전력

일정 전압

주입 세트

a

b

c

$I_{h}$

K(상수)

$\dfrac{1}{\sqrt{Z_{h}}}$

$\dfrac{1}{Z_{h}}$

다중 피더계통의 경우, 상위 임피던스에서 흐르는 병렬 피더 전류로 인해 식(5)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IEC 61000­-3-­6은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평가하기 위한 다음 일반식을 제시한다.

(6)
$E_{Ihi}=\dfrac{A_{h MV}S_{i}^{(1/\alpha)}}{\sqrt{Z_{h}}}$

여기서, $Z_{h}$는 평가지점에서 고조파 리액턴스이며 $A_{h MV}$는 할당 상수, $S_{i}$는 개별 수용가의 계약전력이다.

할당 상수는 제일 먼저 계획레벨에 도달할 가장 취약한 노드의 위치가 긴 피더의 끝에 있으며, 제일 큰 계약전력을 가질 것이라는 예상을 통해 설정한다(1). 할당 상수는 다음과 같다.

(7)
$A_{h MV}=\dfrac{G_{h MV}}{\sqrt{Z_{h}}\sqrt[\alpha]{S_{MVw}R_{w}^{0.33\alpha}+S_{MVn}R_{a}^{-0.3\alpha}}}$

여기서,

$S_{MVw}$ : 가장 약한 피더에 연결된 중압 부하

$S_{MVn}$ : 남은 피더에 연결된 중압 부하

$R_{w}$ : 가장 약한 피더의 수전단 측 고장레벨에 대한 송전단의 비

$R_{a}$ : 남은 피더의 수전단 측 고장레벨에 대한 송전단의 비

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게 방출한계를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균등분산 부하라는 가정으로 인해 부정확한 면이 있다(5). 이로 인해 계획레벨을 위반할 수 있으므로 IEC 61000­-3-­6의 할당 방법은 많은 지로(branch)와 망상 계통이 있는 실제 배전계통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1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값 할당에 대해 가정 없이 IEC 61000­-3-­6의 원칙을 준수하기로 하였다.

3.3.2 IEEE Std. 519

IEC 61000­-3-­6과 달리 IEEE Std. 519는 단락비($I_{SC}/I_{L}$)를 고려하여 사전 계산된 5개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제시한다. 표 9는 IEEE Std. 519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보여준다. 사전 계산으로 인해 IEEE Std. 519는 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두 가지 요구사항을 위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표 9.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Table 9. Harmonic current limits

최대 고조파 전류 왜형률

고조파 차수(홀수 고조파)

h<11

11≤h<17

17≤h<23

23≤h<35

35≤h

TDD

<20

4.0

2.0

1.5

0.6

0.3

5.0

20­­­­-50

7.0

3.5

2.5

1.0

0.5

8.0

50­­­­-100

10.0

4.5

4.0

1.5

0.7

12.0

100­­­­-1000

12.0

5.5

5.0

2.0

1.0

15.0

1000>

15.0

7.0

6.0

2.5

1.4

20.0

ISC : 평가지점에서의 최대단락전류

IL : 평가지점에서 최대부하전류

(이전 12개월 월간 최대부하전류의 평균값)

TDD (Total Demand Distortion) : 최대부하전류에 대한 전류 왜형률

3.3.3 두 표준의 비교

두 표준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비교하기 위해 IEEE 123 노드 계통을 기반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13). 그림 3의 IEEE 123 노드 계통은 다양한 배전계통의 특성(방사형, 망상, 분산전원, 망상+분산전원)을 반영하기 위해 수정하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 및 고압 · 특고압은 제외하고 중압만을 고려한다. 즉, 계통 고조파 전압 한계는 계획레벨과 동일하며. 각 수용가가 연결된 노드의 고조파 전압을 평가하기 위해 결정론적(IEEE Std. 159) 및 확률론적(IEC 61000­-3-­6) 전류 주입 방

그림. 3. IEEE 123 노드 계통

Fig. 3. IEEE 123 node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8.1084/fig3.png

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간단히 하기 위해 5차 고조파와 표 4의 계획레벨 3%을 사용하였다. 표 10은 배전계통의 특성에 따른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E_{Ih MV}$)와 최대 전압 왜형률($V_{h}$)한계를 보여준다.

표 10. 계통형태에 따른 고조파 한계값1)

Table 10. Harmonic limits of system configuration

구분

노드

부하

(MVA)

단락

용량

(MVA)

고조파 할당 (%)

방사형

망상

분산전원

망상+

분산전원

$E_{Ih MV}$

$V_{h}$

$E_{Ih MV}$

$V_{h}$

$E_{Ih MV}$

$V_{h}$

$E_{Ih MV}$

$V_{h}$

IEC

61000

-3-6

114

2.0

59.0

3.4

3.0

4.4

3.0

4.7

3.0

6.4

3.0

111

2.0

62.0

3.5

3.0

4.6

3.0

4.8

3.0

6.7

3.0

94

1.5

60.0

3.8

2.9

6.7

2.4

5.1

2.9

10.6

2.2

96

0.5

58.0

5.1

2.9

10.3

2.3

6.9

2.9

17.0

2.0

300

2.0

65.0

3.6

2.9

4.7

2.9

5.0

2.9

7.0

2.9

92

0.5

62.0

5.3

2.9

8.9

2.4

7.2

2.9

14.0

2.2

90

0.5

65.0

5.4

2.9

8.9

2.5

7.3

2.9

13.9

2.3

IEEE

Std.

519

114

2.0

59.0

7.0

16.2

7.0

12.9

7.0

11.2

7.0

8.6

111

2.0

62.0

7.0

16.1

7.0

12.9

7.0

11.2

7.0

8.5

94

1.5

60.0

7.0

16.1

10.0

10.5

7.0

11.2

12.0

6.3

96

0.5

58.0

12.0

16.1

12.0

9.9

12.0

11.2

12.0

5.8

300

2.0

65.0

7.0

15.9

7.0

12.7

7.0

11.0

10.0

8.4

92

0.5

62.0

12.0

16.1

12.0

10.6

12.0

11.2

12.0

6.4

90

0.5

65.0

12.0

16.0

12.0

10.8

12.0

11.1

12.0

6.6

∙ GhMV : 3%, Fault level at node 149 : 291MVA,

Line : 0.6504 ohms/mile

∙ Linked switch sets : 6-16, 17-96, 39-66

1) 수용가의 모든 노드부하에 따른 정보는 (13)에서 볼 수 있다.

∎방사형(Radial) 계통

표 10에서 가장 약한 노드는 114이다. IEC 61000­-3-­6의 경우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가장 약한 노드에서 3%이다. IEEE Std. 519의 경우 16.2%로 나타났다.

∎망상(Meshed) 계통

세 개의 루프(6-­16, 17­-96, 39­-66)을 가진 시스템에서 가장 약한 노드는 111과 114이다. IEC 61000­-3-­6의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3%, IEEE Std. 519는 12.9%로 나타났다.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or, DG)

그림 3과 같이 순 정현파 전압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방사형 계통에 추가하였다. IEC 61000­-3-­6에는 발전기 추가를 고려한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계산조건이 없으며 분산전원은 일정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원으로 볼 수 있으므로 발전기의 리액턴스만 고려하였다. 가장 약한 노드는 111과 114이며 이때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IEC 61000­-3-­6은 3%, IEEE Std. 519는 11.2%로 나타났다.

∎망상 + 분산전원

망상 계통에 발전기를 추가한 계통이다. 가장 약한 노드는 114이며 이때 최악의 고조파 전압은 IEC 61000­-3-­6은 3%, IEEE Std. 519는 8.6%로 나타났다.

표 10은 계통 토폴로지와 관계없이 IEC 61000­-3-­6의 최악의 고조파 전압이 계획레벨 3%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IEC 61000­-3-­6은 계획레벨을 위반하지 않고 요구사항 2를 충족시킨다. 그러나 IEEE Std. 519의 경우 계획레벨의 3~5배 전압위반이 나타났다. 따라서 IEEE Std, 519는 요구사항 2를 충족하지 않는다.

그림 4표 10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의 추세를 보여준다. 수렴과 발산여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전원측에서 가까운 노드를 표현하였다. 그림 4(a)에서 IEC 61000­-3-­6에 의해 평가된 방출한계는 강인한 계통이 연결된 수용가로부터 더 많은 고조파 전류를 흡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계통이 서로 연계되어 강인한 계통은 수용가에서 바라보는 전원 측 계통임피던스가 작아진다. 낮은 계통임피던스는 단락전류가 커져 단락비의 증가를 가져오며 표 9와 같이 IEEE Std. 519는 고조파 전류 한계치의 증가를 계산함으로써 망상 계통에 연결된 수용가는 더 많은 고조파 전류 방출이 허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 수용가의 계통조건, 부하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할당되는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는 그림 4(a)와 같이 IEC 61000­-3-­6의 방출한계 할당이 합리적임을 보여준다. 반대로 그림 4(b)는 크기와 위치가 다른 수용가가 IEEE Std. 519의 표 9의 사전 계산된 5개의 방출한계로 인해 동일한 방출한계를 할당받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계통의 강인성에 따른 고조파 방출한계의 추세가 명확하지 않다.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의 요구사항 2 충족여부 확인을 위해 그림 4의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계통에 적용하였다. 요구사항 2를 만족하려면 전압 왜형률이 표 4의 계획레벨 3% 이하이어야 한다.

그림 5는 수용가가 연결된 노드의 고조파 전압 한계값을 보여준다. 그림 5(a)는 계통 토폴로지에 무관하게 수용가의 최종 고조파 전압 추세가 계획 수준인 3%로 수렴하므로 IEC 61000­-3-­6의 우수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림. 4. 두 가지 표준에 근거한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

Fig. 4. Harmonic current emission limits by standards

../../Resources/kiee/KIEE.2022.71.8.1084/fig4.png

그림. 5. 두 가지 표준에 근거한 고조파 전압 방출한계

Fig. 5. Harmonic voltage emission limits by standards

../../Resources/kiee/KIEE.2022.71.8.1084/fig5.png

그림 5(b)는 IEEE Std. 519의 고조파 전압 추세를 보여준다. 전압추세는 계획레벨 3%에 수렴하지 않으며, 최대 고조파 전압이 계획레벨의 3~4배 이상으로 위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모든 수용가가 계통을 합리적으로 공유할 수 없으며 전류 방출한계내의 수용가에게 전압 왜곡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계획레벨을 위반할 경우 전력회사가 전압 품질을 복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

표 11은 두 표준의 장단점과 보완사항을 나타낸 것이며, 향후 두 표준의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 현장에서 전력회사와 모든 수용가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표 11. 2가지 표준의 장·단점과 보완사항

Table 11. Harmonic current evaluation condition

표 준

장 점

단 점

보완사항

IEC

61000-3-6

높은

정확도

복잡한 계산과정

각 변수의 정형화

IEEE

Std. 519

단순한 계산과정

계통 임피던스 변화에

대한 불분명한 적용

단순화 과정제시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중압계통의 현행 고조파 표준을 비교 분석하여 두 표준의 강점과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계획레벨, 고조파 전압 및 전류 방출한계와 같은 세 가지 주요 절차의 중요한 차이점을 분석적 증거와 사례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두 표준 방출한계의 불일치로 인해 계획레벨을 위반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IEC 61000­-3­-6는 요구사항 2를 충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EEE Std. 519는 사용자가 사전에 계산된 5개의 방출한계를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수용가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를 공평하게 할당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허용된 고조파 전류 방출한계가 임계값 이상으로 전압 왜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전력회사는 IEC 61000-3-6 표준을 사용하여 고조파 전기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며 IEEE Std. 519는 공정한 방출한계 배분을 위한 요구사항 1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세계가 사용하는 두 개의 표준은 기준 도출 과정과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다른 계통조건에서 변형 및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가져야하며 사용자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 정확도를 높여가는 협업체계의 도입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2008,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Part 3-­6 : Limits- Assessment of emission limits for the connection of distorting installations to MV, HV and EHV power systems, IEC/TR 61000­-3­-6, Vol. Ed. 2.Google Search
2 
Apr. 1993., Recommended Practices and Requirements for Harmonic Control in Electrical Power Systems, IEEE Std. 519-1992Google Search
3 
2004,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Part 3-2 : Limits - limits for harmonic current emissions(equipment input current ≤ 16A per phase), IEC Std. 61000-3-2Google Search
4 
C. Duffey, Discussion and Preliminary Review of IEEE 519-1992 Harmonic Voltage and Current Limits.Google Search
5 
M. McGranaghan, G. Beaulieu, 2006, Update on IEC 61000­-3-­6: Harmonic Emission Limits for Customers Connected to MV, HV, and EHV,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hibition, 2005/2006 IEEE PES, pp. 1158-1161DOI
6 
S. M. Halpin, 2008, Harmonic limits in IEEE Std. 519: From recommendations to requirements,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 Conversion and Delivery of Electrical Energy in the 21st Century, pp. 1-2DOI
7 
S. M. Halpin, 2005, Comparison of IEEE and IEC harmonic standards,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Vol. ieee, No. vol. 3, pp. 2214-2216DOI
8 
W. Xu, 2000, Comparisons and comments on harmonic standards IEC 1000­-3­-6 and IEEE Std. 519, Harmonics and Quality of Power, Vol. 1, No. , pp. 260-263DOI
9 
W. Xu, 1995, Developing utility harmonic regulations based on IEEE Std. 519 B.C. Hydro's approach, IEEE Trans. Power Delivery, Vol. 10, pp. 137-143DOI
10 
1995,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Part 2 :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EMC)- Section 6: Assessment of the emission levels in the power supply of industrial plants as regards low-frequency conducted disturbances, IEC/TR 61000-­2-­6Google Search
11 
2002,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Part 2-2 : Environment - Compatibility levels for low frequency conducted disturbances and signalling in public low-voltage power supply systems, IEC/TR 61000-­2-­2Google Search
12 
V. J. Gosbell, R. A. Barr, 2010, Harmonic allocation following IEC guidelines using the voltage droop concept, Harmonics and Quality of Power (ICHQP), pp. 1-6DOI
13 
Power system analysis, computing and economics committee, IEEE 123 node test feeder.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준오(Jun Oh Kim)
../../Resources/kiee/KIEE.2022.71.8.1084/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and 1991, respectively.

He is working as the head of Safety & Health Dept. of KEPCO.

He joined KEPCO in 1991 and has worked in the power distribution field.

He has work careers in head office, site, and KEPCO Research Institute.

김승완(Seung Wan Kim)
../../Resources/kiee/KIEE.2022.71.8.1084/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2, and 2018, respectively.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ince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