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National Railway)
  2. (Dep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3. (Dept. of Korea Railway Electrif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Korea.)
  4.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Reverse Engineering, 3D Scannning, Catenary Clamp, KRSA

1. 서 론

전기철도 시스템은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품은 정확한 설계 도면에 따라 제작되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1,2]. 그러나 부품 도면의 부적합, 오류, 치수 생략 등으로 동일 제품으로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3]. 전기철도 전차선로 부품은 국가철도공단 표준규격 KRSA (Korea Rail Standard Authority)과 한국철도표준 규격에 따라 제작되며, 각 부품의 표준규격에는 설계 도면이 포함되어 있다 [4,5]. 실제 제작을 위해 3D화, 오류 해소, 디지털 규격 변환, 표준 포맷 변환,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 생성 및 정보 연동을 위해서는 기존 부품을 분석하고 표준도면을 도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BIM 모델에 전차선로 3차원 모델이 생성될 경우 3D 모델링을 활용하여 부품 간의 간섭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설계를 수정할 수 있어, 제작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고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역설계 (Reverse Engineering)를 이용한 전기철도 시스템 부품의 표준도면을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역설계는 기존 제품을 분석하여 설계 도면을 추출하는 기술로, 이를 통해 부품의 정확한 치수, 형상, 재료 등을 파악할 수 있다 [3,6]. 역설계를 이용한 전기철도 시스템 부품의 표준도면 도출 방법을 제시는 제품을 분석하여 설계 도면을 추출하는 기술로, 철도의 요구 정밀도와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부품의 정확한 치수, 형상, 재료 등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3D 스캐닝, CAD 모델링, Point Data 축출 기술을 활용하여 부품 특성에 맞는 역설계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전기철도 시스템 부품의 표준도면 도출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차선로 금구류 중 복잡한 형상과, 자유곡면, 홀 정밀화가 필요한 현수클램프를 모델링을 통해 역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2D 표준규격 KRSA의 3D화, 부품 오류 해소, 디지털 규격 변환, 표준 포맷 변환, BIM 모델 생성 및 정보 연동 기술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본 론

2.1 역설계를 이용한 전기철도 부품의 도면 도출

역설계는 실물 제품을 분석하여 설계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설계정보 파악을 통한 제품의 개선, 부품의 호환성 검증, 경쟁사 제품의 분석, 제품의 복원 및 3D 프린팅 모델의 제작과 활용에 사용되고 있다. 제품의 역설계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3D 스캐닝, 실물 사진등을 포함한 데이터 수집과정,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3D모델링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 2D 도면 또는 3D 모델링 제작과정과 3D 모델을 분석하여 설계, 구성 및 작동과 관련된 설계정보 축출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철도 시스템의 부품에 적용가능한 기본적인 역설계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이를 통한 3D 표준도면 도출에 관한 것으로 그림 1에 고속철도용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과정을 나타내었다.

그림 1. 고속철도용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과정

Fig. 1. Reverse Engineering Process of High-Speed Railway Catenary Clamps with a Focus on Data Acquisition

../../Resources/kiee/KIEE.2024.73.6.1038/fig1.png

그림 1과 같이 전기철도 시스템 부품의 역설계를 위해서는 각 부품의 조립부, 평면이나 원형등 형상 및 좌표값과 같은 중요 접점을 분석하고 역설계를 위해 수급된 부품의 파손 여부, 마모 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레이저 스캔 전에 확인하도록 한다. 실품의 3차원 스캔을 위해서는 기준 좌푯값 설정 (X,Y,Z Axis) 설정 및 스캔 데이터의 좌우 대칭을 확인한다.

3D 스캐닝을 통해 제품의 형상 정보 수집은 고정밀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제품의 표면을 정밀하게 스캔하고, 스캔 데이터를 정제하여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도록 한다.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 모델링을 하며 표 1에 3D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었다.

표 1 역설계를 위한 3D 모델링 방법

Table 1 Step-by-Step 3D Modeling Methods for Reverse Engineering

Step

Data Acquisition

Specific emphasis

Railway Component Specifics

1단계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역설계 대상 준비

역설계 대상 재질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스캐너 선정

● 전기철도 부품 역설계는 전기적 특성, 정밀도, 조립 및 작동, 안전성, 열 및 진동, 유지보수 및 수리, 데이터 관리 및 보안 등 다양한 고려

3D 스캐닝

스캔 데이터를 정제하여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

스캐닝 노이즈 제거

3D 스캔 클라우드 데이터 노이즈 제거: 광 반사 영향 최소화를 통한 정밀 데이터 확보

2단계

3D 모델 생성

기본 형상 생성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형상을 생성

● 작동 방식과 설치 환경을 고려한 형태 설계

● 전기철도 부품에 특화된 고정 홈, 접속부, 설치 위치에 맞게 생성 위치, 크기, 형상 설정후 기능구현

● 전차선로 부품 간의 조립 시공을 위해 형상과 각도를 조정, 설치 공간 제약, 작동 조건 고려

● 전차선로 부품의 인장강도, 연신율, 화학·물성치 고려 홀 치수를 설정

● 차량 부품은 공기 역학적 설계를 고려하여 자유곡면을 정밀하게 조정

● KRSA에 나타난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설계

단면 확인 및 Sketch

기본 현상 생성 후 역설계 대상의 형상과 각도 값을 적용하여 Sketch

3D 모델링(솔리드)생성

Sketch를 기반으로 솔리드 생성 및 역설계 대상을 참고하여 모델링 수정

Feature Modification

형상 및 각도 조정

전철 부품 형상과 각도 값 적용 Sketch를 수정

홀 정밀화

홀의 치수 (직경, 깊이, 타원도 등), 거리, 깊이 등을 정밀 설정

자유곡면 정밀화

자유곡면의 형상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빛 반사가 매끄럽도록 조정

두께 및 구배 설정

전철 부품 외형과 내형의 두께 및 구배 설정

가공부 오차 최소화

전철 부품 가공부 오차를 최소화 형태 반영

3단계

3D 모델링 검증

제품검증

설계 기능, 요구사항 충족여부를 확인

● 철도 부품의 다양한 작동 조건을 시뮬레이션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 안전성, 응력분포, 변형 분석 및 프로토타입 제작 및 실험실을 통해 모델의 기능과 성능검증 고려

모델수정

제품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모델을 수정 및 개선합니다.

성능 향상, 안전성 확보, 제작 용이성 증대를 목표

4단계

최종보고

최종 모델링 결과

정확하고 검증된 CAD 모델

설계 변경 및 개선 사항 반영

제품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 포함

● KRSA등 철도 규격에 적합한 3D CAD 모델 파일과 2D 도면 도출

2.2 전기철도 부품의 역설계 결과 분석

그림 2에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결과와 3차원 스캐닝 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그림 2에서와 같이 본 논문에서 제안된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모델링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으며 스캐닝 데이터와 역설계 결과의 오차는 ±0.8 ㎜로 분석되었다. 이는 두 이미지를 비교했을 때, 역설계 모델이 3차원 스캐닝 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밀, 효율성 및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3에 2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Best Fit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Best Fit은 역설계로 생성된 CAD 파일과 3차원 스캐닝 결과의 두 데이터 세트의 일치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정렬하는 기법이다. 그림 3에서와 같이 역설계 CAD 파일과 3차원 스캐닝 결과의 Best Fit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결과는 두 데이터 세트의 평균 오차는 ±0.5 mm로 분석되어 제안된 역설계 모델링 프로세스가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3D 모델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림 2.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결과와 3차원 스캐닝 결과 : 정면 및 측면

Fig. 2. Reverse Engineering Results and 3D Scanning Results of Catenary Clamps: Front and Side Views

../../Resources/kiee/KIEE.2024.73.6.1038/fig2.png

그림 3. 역설계로 생성된 CAD와 3차원 스캐닝 데이터의 Best Fit 분석 결과

Fig. 3. Best Fit Results of Reverse-Engineered CAD Files and 3D Scanning Data

../../Resources/kiee/KIEE.2024.73.6.1038/fig3.png

그림 4는 고속철도용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과정을 통해 생성된 2차원 도면은 제품의 제조, 조립, 검사 등에 활용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투시도, 정면도, 단면도, 치수 및 기호 표기 및 표면처리가 모두 가능하며 국제 표준화 기구 등 표준이 정한 제품의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2차원 도면은 제품 제조, 조립,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철도 분야 역설계 이후 나타내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역설계 방법은 크게 분해 기반 역설계와 기반형 역설계로 나눌 수 있다. 분해 기반 역설계는 제품을 물리적으로 분해하여 각 부품의 형상, 구조, 기능 등을 분석하는 방법이며 기반형 역설계는 제품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여 역설계하는 방법이다 [7,8]. 전차선로 부품은 높은 신뢰도와 낮은 공차가 필요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3D 스캐닝, CAD 소프트웨어, Feature 생성, 홀 정밀화, 자유곡면 정밀화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철도 전차선로 부품의 역설계를 제안한 것으로 고정밀 스캐닝을 이용한 높은 정확도가 특징이다. 특히 Feature 생성, 홀 정밀화 및 자유곡면 정밀화가 가능한 효율적 방법으로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를 통해 제안된 방법과 방향의 효율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다양한 전기철도 전차선로 부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림 4. 고속철도용 현수클램프의 역설계 과정을 통해 생성된 2차원 도면

Fig. 4. 2D Drawings Generated from the Reverse Engineering Process of High-Speed Railway Catenary Clamps

../../Resources/kiee/KIEE.2024.73.6.1038/fig4-1.png../../Resources/kiee/KIEE.2024.73.6.1038/fig4-2.png

3. 결 론

본 논문은 고속철도용 현수클램프를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하여 역설계 모델링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3D 스캐닝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제하고, Feature 생성, 형상 및 각도 조정, 홀 및 곡면 정밀화, 두께 및 구배 설정, 가공 오차 최소화, 제품 검증 및 모델 수정 과정을 거쳐 신뢰도 높은 3D 모델링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현수클램프 역설계 모델링 프로세스는 3D 스캐닝 데이터와 거의 일치하는 정밀한 결과를 ±0.8 mm 오차 범위 내에서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게 도출할 수 있었다. 역설계 CAD 파일과 3차원 스캐닝 결과의 Best Fit이 거의 일치하며 평균 오차는 ±0.5 mm 이하로 분석되었으므로, 제안된 역설계 모델링 프로세스는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3D 모델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제안된 역설계 모델링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2차원 도면으로, 투시도, 정면도, 단면도, 치수 표기 및 기호 및 표면처리 등을 포함하여 제품 제조, 조립,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K. Lee, Y. Park, S.-Y. Kwon, Y. H. Cho, and H. Jeong, “Development of a Steady Arm for the Maximum Speed of 400 km/h,”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12.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742–1746, 01-Dec-2014.DOI
2 
Chul Jin Cho, Young Park, New Monitoring Technologies for Overhead Contact Line at 400km·h−1,Engineering, Volume 2, Issue 3, 2016, Pages 360-365, ISSN 2095-8099.DOI
3 
Yu Zhang, Research into the engineering application of reverse engineering technology,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ume 139, Issues 1–3, 2003, Pages 472-475, ISSN 0924- 0136.DOI
4 
Kyunsuk Choi, Joo-Uk Kim, Kiwon Lee, Kyoung-Ju Seo, Young Park, “A Basic Study on Digit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for Catenary System in Railwa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10, pp. 1495-1498, 2020.DOI
5 
Joouk Kim, Hosung Jung, Jungjoon Park, Sunwoo Hwang, Kyunsuk Choi, Young Park, “On the Manufacture of Electric Railway Components for Rapid Renew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4, no. 5, pp. 490-496, 2021.URL
6 
Lee, K., Jung, H. An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proces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for overhead line components on railway electrification. J. Electr. Eng. Technol. 17, 3085–3091, 2022. https://doi.org/10.1007/s42835-022-01209-wDOI
7 
Durupt, A., Remy, S., & Ducellier, G, “KBRE: A Knowledge Based Reverse Engineering for Mechanical Components,” Computer-Aided Design and Applications, vol. 7, no. 2, pp. 279–289, 2010. https://doi.org/10.3722/cadaps.2010.279- 289DOI
8 
Lee, SJ., Park, GJ. A novel method of reverse engineering using axiomatic design. J Mech Sci Technol, vol. 28, pp. 595-604, 2014. https://doi.org/10.1007/s12206-013-1124-5DOI

저자소개

성동일(Dong-IL Sung)
../../Resources/kiee/KIEE.2024.73.6.1038/au1.png

1996년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사), 2017년 우송대학교 철도공학과 졸업(공학석사), 현재 국가철도공단 철도혁신연구원 실용화연구처 부장

이종우(Jongwoo Lee)
../../Resources/kiee/KIEE.2024.73.6.1038/au2.png

1986년 The Ecole Centrale de Nantes 졸업(공학석사), 1993년 The University de Paris IV 졸업 (공학박사),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전기신호공학과 교수

오완식(Wan-Shik Oh)
../../Resources/kiee/KIEE.2024.73.6.1038/au3.png

2017년 우송대학교 대학원 철도시스템학과 졸업(공학박사), 2002년 4월~현재 (사)한국전기철도기술협회 본부장

이훈서(Hunseo Lee)
../../Resources/kiee/KIEE.2024.73.6.1038/au4.png

2023년 국립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학사), 현재 동대학원 동학과 석사과정

박 영(Young Park)
../../Resources/kiee/KIEE.2024.73.6.1038/au5.png

2000년 성균관대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과 졸업(공학석사), 2004년 동대학원 동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국립한밭대학교 전기시스템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