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Intelligent LVDC Demonstration Group, Energy Convergence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Korea E-mail:bsko@keti.re.kr, dscha@keti.re.kr, chae@keti.re.kr)



Low voltage direct current, DC power quality, DC distribution system, DC home

1. 서 론

국내외 탄소 중립 정책으로 인해 송, 배전망 손실 저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태양광에너지와 같은 분산전원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 되고 있으며, 특히 기존 교류 계통에 비해 변환단계의 감소와 용량 증가 등의 장점에 의해 직류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3]. 직류 시스템은 전압의 크기에 따라 LVDC(low-voltage DC), MVDC(medium- voltage DC), HVDC(high-voltage DC)로 구분된다[4]. HVDC의 경우 100[kV] 이상의 초고압으로 지역 간 대용량 송전을 목적으로 개발되며 현재 국내 제주-해남, 제주-진도 등 HVDC를 통해 지역 간 전력공급을 수행하고 있다[5]. MVDC의 경우 1.5[kV] 이상 100[kV] 이하의 고압으로 중규모 계통 연계를 주된 목적으로 개발되며 HVDC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LVDC의 경우 1.5[kV] 이하의 전압으로 수용가 연계를 목적으로 개발 되고 있다. 한국전력에서는 bipole ±750[V]의 전압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HD 현대 글로벌 R&D센터와 해외 Relystad airport, Malaga smart city 등과 같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1].

IEC60898-3과 같은 LVDC 배전 요소 기기에 대한 국제표준이 제정되고 있으나, 이는 정격전류 125A 이하의 차단기에 대한 내용이며 이를 제외한 LVDC 배전 요소 기기에 대한 국제 표준 및 기준 등은 미비한 상황이다[6].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상호 운용성 중심의 표준 확보 및 선도를 위해 서비스 융합화, 시스템 상호연결 등 비즈니스 환경을 반영하는 시스템적 접근 표준화를 추진 중이며, 이의 첫 번째 시스템적 접근 표준화 적용 사례로 LVDC 실증사이트를 실제 연계해 비즈니스 유형을 발굴하고 세부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신규 표준 항목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수용가 연계를 대상으로 하는 unipole 750[V] LVDC 배전망에 대해 배전망 전원 공급을 하는 전력변환장치와 분산전원 연계용 전력변환장치, 직류배전용 고속도 차단기, 직류 전력 품질 측정기, DC 수용가 등으로 구성된 실증사이트를 구성하고 이의 실증 실험 결과와 이를 통한 LVDC 요소기기의 추가적인 대응방안 등을 모색하고 이를 제시한다.

2. LVDC 실증사이트 구성

그림 1은 LVDC 실증사이트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실증사이트는 크게 LVDC 배전망, DC 수용가, AC-DC 연계 수용가로 구분된다. LVDC 배전망은 unipole 750[V]로 전원 공급과 분산전원 연계를 위해 다수의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DC 수용가는 배전 전압 750[V]를 입력받아 unipole 380[V]로 운영되는 실증 구역으로 DC 주택과 DC 빌딩으로 구성된다. AC-DC 연계 수용가는 AC 시스템과 직류 시스템의 연계를 위해 구성된 실증 구역이다. 그림 2는 LVDC 실증사이트 내 LVDC 배전망, DC 수용가, AC-DC 연계 수용가를 보여준다.

그림 1. LVDC 실증사이트의 구성도

Fig. 1. Configuration of the LVDC demonstartion sit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png

그림 2. LVDC 실증사이트

Fig. 2. LVDC demonstration sit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2.png

2.1 LVDC 배전망

LVDC 배전망에서 각각의 전력변환장치들은 직류 고속도 차단기를 통해 배전망에 연계된다. DC PQM(Power quality measurement)을 통해 각 전력변환장치의 입력, 출력의 전기적 정보를 계측하고, 단락 사고 및 전력품질 사고 시 이를 기록한다.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 및 사양은 표 1에 나타나있다.

표 1 LVDC 실증사이트 구성요소

Table 1 Components of LVDC demonstration site

구분

기능 및 특징

전원공급용 컨버터

750V 배전 전원 공급(500kW)

직류 전력 품질 모의

한류 제어

PV 컨버터

태양광 발전 전력 공급(250kW)

모듈형(50kW, 5EA)

ESS 컨버터

ESS 연계 충방전(250kW)

모듈형(50kW, 5EA)

부하전원공급컨버터

DC 빌딩 전원 공급(500kW)

한류 제어

모듈형(50kW, 10EA)

멀티채널 컨버터

DC 수용가 전원 공급(5kW)

ESS, PV 연계(5kW)

모듈형(전원공급, ESS, PV)

인터링킹 컨버터

AC 수용가 전원공급(20kW)

DC 정전 시, DC 수용가 전력 공급(전력거래)

직류 고속도 차단기

직류 배전계통 전용 고속도 차단기(차단전류 5kA~10kA)

직류 누전 차단기

직류용 누전 차단기 (감도전류 15mA)

직류 아크검출기

아크 검출(750J이하 2.5s 이내)

직류 분기개폐기

DC 가전 전원 개폐

부하 과전류 보호

직류 스위치

직류용 무아크 스위치(전등)

직류 콘센트

직류용 무아크 콘센트(16A)

DC PQM

입,출력 전기적 정보 계측

전력품질사고 계측

회생부하

DC 빌딩 부하 모의(250kW)

2.2 DC 수용가

DC 수용가는 크게 DC 주택과 DC 빌딩으로 구분된다. 그림 3의 DC 주택의 구성과 같이, 멀티 채널 컨버터는 unipole 380[V]를 공급하며, 스마트 분전반 내 직류 회로 차단기, 직류 아크 검출기, 직류 누전차단기, 직류 분기 개폐기 등의 보호장치와 , 직류 스위치, 콘센트를 거쳐 DC 가전과 연계된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 및 사양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DC 가전은 제조사의 협력을 통해 가전 내 AC 정류를 위한 bridge diode 회로 제거 및 power factor collection(PFC) 기능 동작을 software적으로 제한하여 unipole 380V 전원에 동작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그림 3. DC 주택의 구성

Fig. 3. Configuration of DC hom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3.png

그림 4. 회생 부하

Fig. 4. Regenerative load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4.png

DC 빌딩의 경우 부하 전원 공급 컨버터에 의해 unipole 380[V]를 공급받으며 50[kW]급 DC electric heat pump(EHP)와 빌딩 부하 모의를 위한 회생부하로 구성되어 있다. 회생부하의 단위모듈은 기존의 3상 계통연계형 3 levelneutral point clamped(NPC) 컨버터 토폴로지이다. 이의 DC link 전압이 unipole 380[V]이므로 일반적인 3상 계통의 정류전압보다 작기 때문에 200[V]-380[V] 3상 변압기를 통해 AC 계통과 연계된다. 회생부하는 3개의 단위모듈의 병렬연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림 5의 DC 빌딩 모의를 위한 부하 패턴을 입력받아 스케쥴링 된다.

그림 5. DC 빌딩 모의를 위한 부하 패턴 설계

Fig. 5. Load pattern design for simulating DC building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5.png

2.3 AC-DC 연계 수용가

DC 시스템이 확산되는 단계에서, 기존 AC 계통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황을 가정할 때, 기존 AC 시스템과 직류 시스템의 연계 등의 목적을 시험하고자 AC-DC 연계 수용가를 구축하였다. AC-DC 연계 수용가는 인터링킹 컨버터와 AC 가전으로 구성된다. 인터링킹 컨버터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AC 시스템 및 DC 시스템 정상 운영 시 : 전력거래

- AC 시스템 정전 시 : DC 시스템을 통한 AC 공급

- DC 시스템 정전 시 : AC 시스템을 통한 DC 공급

3. 실증 시나리오

3.1 부하 패턴 시나리오

LVDC 실증사이트의 실증 시험을 위해 회생부하를 통한 DC 빌딩 부하 패턴을 설계하였다. 국내 에너지온실가스종합정보플랫폼을 통해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의 전력 소비 일일 부하 패턴 데이터를 수정하였으며 개발한 회생부하의 정격 용량을 감안하여 최대 약 240[kW]로 설계하였다. 부하패턴은 크게 주중 부하 패턴과 주말 부하 패턴으로 구분되며, DC 수용가 및 DC EHP 등을 고려하면 전체 DC 부하는 약 260[kW]로 고려된다. 그림 5는 설계된 부하패턴을 보여준다.

3.2 전력 품질 사고 모의 시나리오

현재 LVDC 배전에 대한 전력품질 기술기준은 정비되지 않았으나, 선도적 추진 및 실증 운영 시 직류 배전 계통 및 직류 배전 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안전한 보호 및 운영을 위해 한전 전력연구원과 협의된 전력품질은 그림 6과 같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 DC 전력 품질은 과전압, 전압 상승, 전압 강하, 저전압, 전압 리플, 순간 정전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은 그림 7과 같다[7]. 실증 시험 시 전력 품질 사고 모의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품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망에 연계된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이 진행되며, 전력 품질 이벤트 발생 시 안전하게 정지 후 재 기동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직류 배전 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안전한 보호 및 운영을 확인한다.

그림 6. LVDC 배전망 전력 품질 기술 기준

Fig. 6. Technical standard for LVDC power quality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6.png

그림 7. DC 전력 품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Fig. 7. Power electronic converter operation according to DC power quality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7.png

3.3 배전망 단락 사고 모의 시나리오

LVDC 배전망의 경우 다수의 전력변환장치가 연계되며, 각각의 출력에는 전압 평활을 위한 DC-link 커패시터가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전망 단락 시, 커패시터를 통한 단락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단락 전류의 발생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이 강하되며, 3상 인버터 및 부스트 컨버터와 같이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존재하는 토폴로지의 경우 입력 전위와 출력 전위간의 전위차가 발생하여 입력전원에 의한 단락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LVDC 배전망의 주요 설비인 전력변환장치가 단락 전류의 공급원이 되며, 전력변환장치는 자체 보호를 위한 software적인 보호기능을 갖기 때문에 고장 전류 발생 시 전력변환장치가 정지됨으로써 적절한 보호협조가 수행되기 어렵다. 따라서, 안정적인 LVDC 배전망 운영을 위해서는 기존의 교류 배전 계통의 보호방식과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류형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한 보호협조 방식을 적용한다[8]. 고장 발생 시 한류형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고장 전류를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추고 이를 통해 전원공급용 전력변환장치의 견딤 내력을 확보한다. 단락 전류가 한류되는 동안 고장 전류 차단을 위한 차단기의 동작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점에 가까운 DC circuit breaker(DCCB)가 동작함으로써 사고지점을 분리한다. LVDC 실증사이트의 한류기능은 표 1에서 볼 수 있듯 전원공급용 컨버터와 부하 전원 공급 컨버터가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류형 전력변환장치를 통한 보호협조를 수행하기 위해 그림 8과 같이 보호구간(zone)을 정의한다.

그림 8. LVDC 배전망의 보호구간 구분

Fig. 8. Classification of protection zon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8.png

3.4 DC 주택 내 보호기능 모의 시나리오

DC 주택은 사용자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보호기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림 3과 같이 LVDC 실증사이트 내 DC 주택에는 직류 누전차단기, 직류 아크검출기, 직류 분기개폐기 등의 보호기능을 위한 구성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의 적절한 동작 검증을 위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 누전 전류 검출 시험

- 아크 검출 시험

- 직류 분기개폐기 과전류 보호 시험

4. 실증 시험

본 논문에서는 LVDC 배전망 구성요소의 신뢰성 검증과 이의 문제점 파악 및 대안 마련의 목적으로 LVDC 실증사이트의 실증 시험을 진행한다. 실증 시험은 부하 패턴을 적용한 장시간 연속 실증 시험과 전력 품질 사고 실증 시험, 배전망 단락 사고 모의 실증 시험, DC 주택 보호기능 실증 시험을 진행한다. 실증 시, 입, 출력에 대한 데이터는 DC PQM을 통해 수집한다.

4.1 장시간 연속 실증 시험

LVDC 배전망 내 구성요소의 신뢰성 확인 및 문제점 파악 등의 목적으로 장시간 실증 시험을 진행하였다. 약 30일(720시간)의 연속운전을 진행하였으며, 3.1의 부하 패턴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직류 부하가 모의된다. LVDC 배전망 내 모의된 DC 부하 패턴과, PV 컨버터의 발전량에 따라 그림 9와 같이 네 가지의 실증데이터가 취득된다.

- 주중 부하, 태양광 발전 높은 조건

- 주중 부하, 태양광 발전 낮은 조건

- 주말 부하, 태양광 발전 높은 조건

- 주말 부하, 태양광 발전 낮은 조건

이러한 PV 발전 및 부하 패턴을 기반으로 그림 10과 같은 10일 연속 실증 데이터가 취득된다. 그림 10에서 볼 수 있듯, 부하 및 발전량에 따라 그림 9의 실증데이터가 반복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9. 부하, 발전 패턴에 따른 실증 데이터

Fig. 9. Empirical data according to load and generation pattern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9.png

그림 10. 10일 동안의 실증 데이터

Fig. 10. Empirical data during 10 days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0.png

4.2 전력 품질 사고 실증 시험

전력 품질 사고 실증 시험은 LVDC 배전망의 전력 품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망에 연계되는 전원공급용 또는 분산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 품질 이벤트 발생 시 안전하게 정지 후 재 기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증 시험이 진행된다. 전력 품질 이상에 대한 모의는 전원공급용 컨버터를 통해 수행된다. 그림 11은 전원공급용 컨버터를 통해 수행된 순간정전 파형을 보여주며 그림 12, 13은 LVDC 배전망의 전체 구성요소가 연계된 상태에서의 전력품질에 따른 실증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전압 상승, 전압 강하, 과전압, 저전압, 순간정전 등의 전력품질 사고 발생 시, 전력변환장치는 정지하고 이후 재 기동 시 각각의 전력변환장치는 이상 없이 정상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500[msec] 이내 배전망 기준전압 대비 5%의 전압 출력(37.5V)이 수행된다.

그림 11. 순간정전 발생 시 배전망 전압 파형

Fig. 11. Waveform of instantaneous interruption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1.png

그림 12. DC 전력 품질 사고 실증 시험 결과

Fig. 12. Empirical results of DC power quality event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2.png

그림 13. DC 전력 품질 사고 실증 시험 결과_계속

Fig. 13. Empirical results of DC power quality event continu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3.png

4.3 배전망 단락 사고 실증 시험

단락 사고 실증 시험은 그림 8과 같이 보호구간에 따라 한류제어를 수행하고 고장지점의 안정적인 분리와 고장 지점 분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안정적인 시스템 정지 등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다. Zone 1과 zone 2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단락 전류의 한류 제어는 전원공급용 컨버터가 수행하게 되며, zone 3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이의 한류 제어는 부하전원공급 컨버터가 수행한다.

그림 14는 zone 1 단락 사고 실증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4(a)에서 볼 수 있듯, zone 1의 단락 발생 시, 전원 공급용 컨버터는 한류제어를 수행하고 1초 이상 한류가 유지되는 경우 사고지점 분리가 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컨버터 종료가 수행된다. 그림 14(b)에서 확인할 수 있듯 사고 이후 배전망 재 기동 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는 zone 2 단락 사고 실증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단락 사고 발생 지점은 PV 컨버터 입력부이며, 그림 15(a)에서 볼 수 있듯 단락 발생 시 전원공급용 컨버터를 통한 한류 제어와 사고 지점의 DCCB\#2의 탈락으로 인한 고장 지점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그림 15(b)를 통해 PV 컨버터를 제외한 시스템 재 기동 시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6은 zone 3의 단락 발생 시 이의 실증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6(a)에서 볼 수 있듯 단락 발생 시 부하전원공급 컨버터가 한류제어를 수행한다. 그림 16(b)에서 볼 수 있듯 단락 제거 후, 수용가 공급 전압인 380[V]가 유지되어 부하 운영을 수행하며, 단락 발생 유무와 관계없이 LVDC 배전전압은 안정적으로 750[V]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4. Zone 1 단락 사고 실증 시험 결과

Fig. 14. Empirical results of short circuit event in zone 1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4.png

그림 15. Zone 2 단락 사고 실증 시험 결과

Fig. 15. Empirical results of short circuit event in zone 2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5.png

그림 16. Zone 3 단락 사고 실증 시험 결과

Fig. 16. Empirical results of short circuit event in zone 3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6.png

4.4 DC 주택 내 보호 기능 실증 시험

그림 17은 DC 주택 내 보호 기능 실증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7(a)는 누전 전류 검출 시험으로 DC 주택의 분기 중 한 곳에 누전 사고가 발생된 상황에서 사고 분기에 연결된 누전차단기의 트립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그림에서볼 수 있듯, 누설 전류 17[mA] 발생 시 누전 차단기가 동작하여 사고 분기의 안전한 차단을 확인할 수 있다[9].

그림 17(b)는 직류 아크 검출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DC 주택 내 직류 아크 발생 시 사고 분기의 아크 검출을 통한 사고 지점 분리를 확인하는 시험이며, 시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 직류 아크가 발생된 사고 분기만 차단되고 이외의 분기는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7(c)는 직류 분기

그림 17. DC 주택 내 보호기능 실증 시험 결과

Fig. 17. Empirical results of protection performance(DC hom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7.png

개폐기를 통한 과전류 보호 시험 결과로 과전류 발생 시 사고 발생 분기의 차단이 안정적으로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4.5 실증 시험 결과 분석

장시간 연속 실증 시험의 경우 LVDC 배전망 내 구성요소의 신뢰성 확인, 문제점 파악 등을 위해 진행되었다. 이러한 장시간 시험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은 크게 다음과 같다.

- 계측 노이즈에 의한 전력변환장치 정지

- 전장품 성능 저하로 인한 전력변환장치 정지

LVDC 배전망은 다수의 노이즈원이 중첩됨에 따라, 이의 전압, 전류 계측 시 많은 노이즈 성분이 포함된다. 그림 18 에서 볼 수 있듯, 장시간 연속 운전 시, 전류 계측 노이즈에 의해 시스템 정지 등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계측 노이즈에 대한 강인성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9는 전장품 성능 저하로 인해 전력변환장치가 정지된 상황을 보여준다. 전력변환장치가 정지된 경우 이와 연계된 분산전원 등은 수리가 완료되기 전까지 운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의 redundancy를 확보할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 품질 사고 실증 시험의 경우 미리 정의된 전력 품질에 따라 LVDC 배전망 요소기기의 안정적인 운전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배전망 단락사고 실증 시험의 경우, 한류형 전력 변환장치를 통한 사고 지점의 안정적인 분리 동작을 확인 할 수 있다. DC 주택 내 누전 전류, 아크 검출, 과전류 보호 또한 이의 보호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DC 주택을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18. 계측 노이즈로 인한 전력변환장치의 정지

Fig. 18. Converter fault due to measurement nois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8.png

그림 19. 전장품 성능저하로 인한 전력변환장치의 정지

Fig. 19. Converter fault due to deteriorate of electrical equipment

../../Resources/kiee/KIEE.2024.73.6.1053/fig19.png

5. 결 론

본 논문은 LVDC 배전망, DC 수용가, AC-DC 연계 수용가로 구성된 실증사이트를 구성하고 이의 실증 시나리오 수립 및 실증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증사이트 내 구성요소에 대한 안정적 연계 운전의 확인 및 문제점 도출, 이의 대응방안 등의 도출을 위해 부하패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720시간 연속운전을 수행하였다. 또한, 사고 발생 시 구성요소의 안전한 정지 및 다른 기기에 대한 영향 없이 보호 협조가 적절히 동작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력 품질 사고 모의 시나리오, 배전망 단락 사고 모의 시나리오, DC 수용가 내 보호기능 모의 시나리오를 수립하였으며, 각각의 실증 시험을 통해 구성요소의 신뢰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LVDC 배전망은 전력변환장치의 노이즈 집합체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망 내 비정상적인 신호 중첩으로 인해 계측 등의 동작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이와 관련하여 실증 시험 동안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전력변환장치 보호를 위한 software 민감도 설정

- 전력변환장치의 ADC(analog to digital)변환 정확도 향상

- LVDC 배전망 구성요소의 전자기적합성 성능 검증

전력변환장치의 자체적인 보호를 위한 software fault의 경우 LVDC 배전망의 노이즈로 인해 ADC 값의 정확도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정지 등의 오동작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VDC 구성요소는 ADC 값에 대한 강인성을 확보해야 하며, 추가적으로 내부적인 counter 사용 등을 통한 software fault 민감도 설정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배전망 노이즈로 인한 장비 오동작, gate driver 회로 파손, relay 회로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한 전자기 적합성 시험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직류 시스템은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주된 목적으로, 문제 발생에도 불구하고 이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LVDC 배전망에 연계되는 전력변환장치의 경우 redundancy를 확보함으로써 이용률 향상을 위해 이의 토폴로지 및 구성을 모듈러화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20193810100010)

References

1 
Seok-Woong Kim, Jin-Tae Cho, Young-Pyo Cho, Hong-Joo Kim, Wook-Won Kim, Jun-Woo Lee, and Ju-Yong Kim, “Operational Characteristic Analysis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Connected with DC Customers,” KIEE Society Electrical Facilities Autumn Conference, pp. 356-357, 2022.URL
2 
B.-S. Ko, G.-Y. Lee, K.-Y. Choi, and R.-Y. Kim, “A Coordinated Droop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Voltage Axis for Power Management and Voltage Restoration of DC Microgrids,” in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6, Issue 11, pp. 9076-9085, 2019.DOI
3 
Seok-Woong Kim, Wook-Won Kim, Young-Min Kim, Young- Pyo Cho, Jun-Woo Lee, Hong-Ju Kim, Jin-Tae Cho, Ju-Yong Kim,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LVDC Distribution System Using RTDS,” KIEE Society Electrical Facilities Autumn Conference, pp. 141-142, 2023.URL
4 
Changhee Han, Gilsoo Jang, Hansang Lee, “MVDC (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Technoloy Trend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1, pp. 17-21, 2019.URL
5 
Kwonchul Kim, Beopsoo Kim, Insu Kim, “A Study on the Global HVDC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HVDC in Kore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2, no. 2, pp. 321-329, 2023.DOI
6 
J.-S. Choi, B.-S. Ko, D.-S. Cha, M. Kim, and S.-Y. Oh, “Construction of LVDC Demonstration Site for Verification of Performance and Safety Function of Component in LVDC System,” 25th European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pp. 1-6, 2023.DOI
7 
S.-Y. Oh, J.-S. Choi, D.-S. Cha, and B.-S. Ko, “Research on the Converter for Power Supplying and Implementation of Power Quality in Low Voltage DC Distribution Network,”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pp. 1-5, 2021.DOI
8 
J.-S. Kim, E.-C. Lee, and S.-Y. Yun, “Protection System for LVDC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 Fault Current- Limiting Converter and Protection Zones,” in IEEE Access, vol. 11, pp. 75555-75572, 2023.DOI
9 
Jung-Soo Park, Yu-Rim Choi, “DC Earth Leakage Breaker for Protecting Human Body from Electric Shock in LVDC System for the End User’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2, no. 11, pp. 1512-1519, 2023.DOI

저자소개

고병선(Byoung-Sun Ko)
../../Resources/kiee/KIEE.2024.73.6.1053/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in 2013 and 2019, respectively. Since 2019, he has been with th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where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차대석(Dae-Seak Cha)
../../Resources/kiee/KIEE.2024.73.6.1053/au2.png

He received the M.S. degrees from Cho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ure in February, 2011, and Ph.D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in August, 2018. He has been working for Korea Electrical Technology Institute since 2011 and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채상헌(Sang-Heon Chae)
../../Resources/kiee/KIEE.2024.73.6.1053/au3.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S. Korea, in 2015, 2017 and 2022, respectively, Since 2024, he has been with th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in S.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최정식(Jung-Sik Choi)
../../Resources/kiee/KIEE.2024.73.6.1053/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control engineering from Sunchon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in 2005, and the M.S.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ure in February, 2007, and Ph.D degrees from same graduate school in February, 2011. He has been working for Korea Electrical Technology Institute since 2011 and is currently Principal Researcher and LVDC Certification Support Group Leader.